d라이브러리
"자리"(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만화로 배우는 멸종과 진화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과학에 매우 큰 영향을 끼쳤다. 독자들은 ‘코스미그래픽’에서 천문학을 빛낸 예술의 별자리를 그릴 것이다.‘볼트와 너트, 세상을 만든 작지만 위대한 것들의 과학’은 우리의 일상을 지탱하는 작고 단단한 요소들을 치밀하고 흥미진진하게 소개한다. 이 책의 저자 로마 아그라왈은 서유럽에서 ... ...
- 수학으로 설계된 롤수학동아 l2024년 03호
- 게임판은 정육각형 36개로 이뤄져 있다. 위쪽 정육각형 18개(빨간색)에는 상대방 영웅이 자리하고, 아래쪽 정육각형 18개(파란색)에는 자신의 영웅을 놓을 수 있다. 여기서는 각 캐릭터의 거리를 ‘칸 수’로 측정하자. 사실 많은 게임에서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유클리드 거리, 즉 두 점을 ... ...
- 타디그레이드 피플수학동아 l2024년 03호
- 미아가 글자를 다 입력하고 마우스로 화면 여기저기를 눌러볼 때까지도 선은 미아의 옆자리에서 물끄러미 미아의 행동을 바라보고 있었다. 아직 어떤 자료에 어떤 방식으로 접근해야 할지 전혀 떠오르는 것이 없는 모양이었다.그때였다. 미아가 화면을 보고 활짝 웃음을 지었다. 선은 곧바로 시선을 ... ...
-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 도전한 AI, 결과는?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수상자 64명 중 16명이 IMO 금메달리스트다. 걸출한 수학 실력을 갖춘 학생들이 겨루는 자리인 만큼 IMO의 문제는 어렵기로 유명하다. 단순한 암기나 기본적인 계산 능력을 넘어서 깊은 수학적 이해와 새로운 통찰력을 요하는 문제가 많다(수학을 전공하는 대학생들도 풀기 어렵다). IMO는 대수, 조합, ... ...
- [특별기획] Part1. 가벼운 블랙홀일까, 무거운 중성자별일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맨체스터대와 독일 막스플랑크전파천문학연구소 등의 천문학자들은 남반구의 비둘기자리에 있는 구상성단 NGC 1851에서 미세한 전파 신호를 포착했다. 초당 179회 이상 회전하는 밀리초 펄사 ‘PSR J0514−4002E’였다. 펄사는 엄청나게 빨리 회전하면서 전자기파를 뿜어내는 중성자별이다. 강한 ... ...
- [우주에 온 것을 환영합니다] 세상이 너를 중심으로 돌지 않아도 괜찮아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사람들은 지구는 한 자리에 고정돼 있고, 하늘이 지구 주위를 돌고 있다고 믿었습니다. 하지만 망원경이 등장하자 그 사실이 틀렸다는 게 밝혀졌지요. 하늘이 움직인다고 믿은 옛 사람들?지난해 12월, 하와이 마우나케아산에 있는 캐나다ㆍ프랑스ㆍ하와이망원경(CFHT)에 다녀왔어요. 보통 망원경 ... ...
- [SF소설] 엔딩의 발견과학동아 l2024년 03호
- 10월 말에서 11월 사이, 마지막 따뜻함이 남은 늦가을이라고 성희는 말했다. 같은 술자리에 있던 성희의 남자친구 재욱은 동의하지 않았다. 일본은 안 가서 모르겠지만 서울도 봄이 제일 예뻐요. 재욱은 그날따라 물러서지 않고, 나뭇가지에 잎은 없고 하얀 꽃만 맺힌, 말 없는 3월이야말로 서울 봄의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인공지능(AI) 그림도 예술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이렇게 인간의 고유 영역이라 믿어지던 창작 분야까지 AI가 파고들었다면, 인간이 설 자리는 없어질까요? 예술이란 그럴듯한 결과물을 만드는 것만이 아니에요. 우리가 마음으로 느끼고 생각한 것을 소통하는 것도 예술의 일부라고 할 수 있어요. 이러한 예술의 감상은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중요한 ... ...
- 세상에서 가장 큰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큰지 감도 안 오는 이 숫자는 현재까지 발견한 소수 중 가장 큰 소수다. 무려 2486만 2048자리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크기로, 읽는 데만 서너 달이 걸리며, A4 용지 한 장에 숫자가 4만 4000개 들어가도록 글자 크기를 작게 인쇄해도 무려 565쪽의 책이 나오는 숫자다. 소수니까 어떤 수학자가 찾았겠거니 ... ...
- 소수 찾는 획기적인 방법 뤼카-레머 판정법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토대로 한 알고리듬을 짜서 1952년에만 무려 5개의 메르센 소수를 찾아냈다. 스왁은 10억 자리의 수를 2개 더하는 데에 64탎(1탎는 100만분의 1초)밖에 걸리지 않는다. 로빈슨이 찾은 수 중 가장 큰 수가 뤼카가 발견한 2127 - 1 보다 17배 이상 자릿수가 크다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