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좀비를 만나면 일단 뛰어라!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울리는 좀비가 언제 들이닥칠지 알아내기 위해 몇 가지를 가정했다. 우선 좀비가 처음 발생한 장소를 시체가 있는 병원이나 무덤이라고 정했다. 또 좀비는 일반인보다 걸음이 느리고, 절대 뛰지 않는다고 설정했다. 그다음 좀비의 걸음걸이를 수학적으로 나타냈다. 울리는 좀비가 마치 술 취한 ... ...
- 수학은 평화지킴이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사이의 시간 간격을 방정식에 넣으면 다음 공격까지 시간이 얼마나 남았는지 알려 준다. 처음 일어나는 폭탄 테러를 예측하긴 어렵지만, 이후에 일어날 폭탄 테러 시기를 미리 알 수 있다. 이게 가능한 이유는 폭탄 테러가 학습 곡선을 따르기 때문이다. 학습 곡선이란 시간이 지나면서 경험이 쌓여 ... ...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인간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컨베이어 벨트 같은 이빨 재생 및 재배치 능력은 1845년 영국의 고생물학자 리처드 오웬이 처음 보고했습니다. 상어 이빨이 쉽게 빠지는 이유는 잇몸만으로 이빨을 지지하기 때문입니다. 어떨 땐 먹잇감을 물기만 해도 ‘쑥’ 빠지곤 합니다. 반면 인간의 치아는 턱뼈에 단단히 박혀 있죠.인간이 수십 ... ...
- [신의 책] 개념을 명확히 모르면 생기는 일수학동아 l2024년 04호
- n이 무한대로 갈 때 rn은 0으로 수렴합니다. 그러면 등비수열의 합은 a/(1-r)이 됩니다. 처음 봤던 등비수열의 초항은 0.9이고 등비는 1/10이었어요. 이 경우 등비의 절댓값이 1보다 작기 때문에 a/(1-r)에 대입해보면, 아래와 같아요. 이 등비수열의 합 0.9999…는 1에 수렴해요. 그런데 여기서 수렴한다 ... ...
- “문제를 해결하는 법과 제도로 국민들이 정치효능감 느낄 수 있게”_이해민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고민한 뒤, 전 세계 엔지니어들과 협업해 결과물을 내놓는 거였어요. 모든 프로젝트가 처음부터 시작하는 것도 아닙니다. 어떤 경우엔 달려가는 전차 위에 올라타서 더 빨리 달리게 할 때도 있고, 방향을 틀어야 하는 경우도 있죠. 심지어는 프로젝트를 중단하는 역할을 맡기도 해야 했어요. 상황에 ... ...
- “공학도로서 연구자 평가제도 다각화에 기여하고파”_박충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교수님의 배려로 연구실 인턴을 경험하고 대학원 입학까지 할 수 있었습니다. 대학원에 처음 갔을 땐 완전히 부서지는 느낌이었어요. 북한에서 손꼽히는 대학을 나왔으니 나름 자부심이 컸는데, 국방대는 무기 쪽에 특화돼 있어 아직까지 배우지 못한 학과 기초과학 과목이 너무 많았습니다. 다시 ... ...
- '자체발광' 발광식물 연구 히스토리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년 봄부터 구매자들의 집으로 발광 피튜니아가 배송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발광식물이 처음 개발된 건 1986년의 일이니 어언 40여 년 만에 상용화가 시작된 셈입니다. 한편, 지구 건너편 한국에는 발광식물에 매료돼 직접 개발에 뛰어든 한 소년이 있습니다. 과학동아 전지적 독자위원회 4기 활동을 ... ...
- [과동키즈] “우리의 목소리를 외계로 전하는 과학을 상상합니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특히 ‘콘택트’는 SETI와 이 작품의 원작자인 칼 세이건이란 천문학자를 제게 처음 알려준 작품입니다. 세이건처럼 외계와의 접촉 또는 소통을 과학적 방식으로 진지하게 연구하고, 우주로 메시지를 보내는 과학자들이 실재한다는 사실에서 큰 감동을 받았습니다. 제가 SF에 진지하게 몰입하기 ... ...
- [이달의 책] 은하 도슨트가 안내하는 우주의 걸작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것이 큰 즐거움인 지 박사에게 ‘날마다 우주 한 조각’의 출간은 남다른 의미가 있다. “처음 이 책의 기획을 들었을 때 천문학자의 1년을 고스란히 담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모든 천문학자는 매일 자신만의 우주를 생각하거든요. 아침에 논문들을 읽을 때부터 연구를 할 때는 물론, 쉬며 ... ...
- [만화뉴스] 세상에서 가장 못생긴 잔디밭 선발 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역력했죠. 이 대회는 고틀란드 섬에 가뭄이 지속되자 물을 낭비하지 않기 위해 2022년 처음 시작됐어요. 잔디밭을 꾸미는 데 쓰이는 많은 양의 물을 아끼자는 취지예요. 이후 미국의 영화배우이자 환경운동가인 쉐일린 우들리가 대회에 참가하며, 전 세계에서 참가가 가능한 대회가 됐어요. 환경을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