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매거진
잡지책
간행물
저널
정기간행물
리뷰
비평
어린이과학동아
"
잡지
"(으)로 총 418건 검색되었습니다.
ㅋㅋㄱ스토리콘 너무 웃김ㄹㅇ
포스팅
l
20240410
무슨 사진 올릴 때마다 출처 쓰라면서 엄청 신경 쓰는 것 같이 하더만 정작 대놓고 남의 만화 가져온 웹툰은 안 잡네요여기 뭐 섹션이 많고
잡지
회사라 바쁜 건 알겠지만 그래도 요즘은 스토리콘이 포스팅보다 이용자 수가 더 많을 텐데 못해도 불펌은 관리하면 좋겠습니다..ㅇㅇ ...
새솔누리 - 240325 - 2
탐사기록
l
20240325
날이 흐려서 핸드폰 카메라가 초점을 잘
잡지
못했다. 꽃봉오리가 금방 필것 같다. 주말에 오면 피어있을거 같다. ...
떡밥 풀기
포스팅
l
20240311
당시에 바로 ㅇㅇ을 이루지 못한다.7. 시스요 이에와라는 아무런 힌트도 없이 암호를 전부 해석하였다.8. 젠유로 칸은 '길몽' 이란
잡지
에서 활동했다.9. 이중성.10. 젠유로 칸의 발언 중 '내 의도가 먹히지 않았네' 비스무리한 발언이 있다.11. 민들레 씨앗의 특성.12. 외전2의 대사.13. 키라츠네 규타치는 '아무 계획' 도 없이 '즉흥 ...
지구사랑탐사대 활동 후기
기사
l
20240211
봄이 시작되면 4월경 발대식을 시작으로 지사탐 대원으로 활동이 시작됩니다. 지사탐 발대식에 참여하게 되면 책이나 어과동
잡지
, 온라인에서만 만났던 장이권 탐사대장님과 섭섭박사님도 만날 수 있습니다. 정말 좋겠죠? 시민과학프로젝트를 함께 하는 생태연구자님께 어떤 연구를 하는지에 대한 소개와 지사탐 탐사 생물종 공개와 일 년동안의 활동에 대해 ...
12월 공모전 당선작이 안 나오는 이유 가설들
포스팅
l
20240126
미룰 이유가 마땅한게 없네요 가설4) "까먹었다"-그냥 단지 기억 속에 까마득히 잊어버린 그런 상황-아무리 그래도 명색이 어린이
잡지
사고 여태까지 행사며 이벤트며 공모전이며 이것저것 했는데 이거 하나를 까먹을까요,.. 그것도 이렇게 오래 씩이나 이렇게 정리하고 보니까 진짜 왜 공개를 안 해주시나 싶네요진짜 적자 난 건 아닐 거 ... ...
어과동이 이렇게 인기있는건지 몰랐었는데
포스팅
l
20231218
학교 친구들이 저가 여기 활동 하는거 보고 뭐냐고 물어서 어린이과학동아 뭐시깽
잡지
사이트 라고만 설명했는데사이트는 몰라도 어과동
잡지
를 거의다 알더라고요..?(그래서 어린이과학동아는 알고 어과동은 모름) 어과동이 이렇게 유명한건지 몰랐네요 ...
화학 어려운 정도 좀 알려주세요+생명과학
포스팅
l
20230911
한 몇 페이지 정도 나오나요? 세포나 염색체나 DNA/RNA 같은 기본 개념은 조금 아는데 그 어느 부분이 어려운지 좀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화학도 화학의 핵심이나
잡지
같은 것들 좀 읽어서 결합 종류나 몰, 족과 주기나 전자 껍질이나 양성자 중성자등 기초 개념은 조금 알아요. 화학이나 생명 과학 난이도 좀 알려주세요(현 과학 중3 진도 . ...
도착 : 상반의 고귀함 [7장. 고뇌와 고비와 고통과]
포스팅
l
20230907
제가 기름을 넣어야 해서 주유소 좀 잠시 들렀다 가겠습니다."라고 확신해두었다. 이렇게 확신의 어조를 해두어야 뭐라고 꼬투리를
잡지
않을 것 같았다. "주유소 주인장이... 거, 주인장-" 내가 주유소 주인장을 불러보았지만 아무도 나오지 않았다. 당연하다. 주유소 주인장은 쿠토하와 술집에서 뻗어있을 것이다. 이원의 기억이지만 쿠토하는 술을 ...
레고 드림즈 기자단 참석행사
기사
l
20230814
않았을까 싶습니다. 레고 드림즈 제품과 꿈에 대해 좀 더 깊이 알고 체험하고 호기심을 키울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또한 과학동아
잡지
에서 자주 만나던 섭섭박사님과 홍승우 작가님을 직접 만나서 이야기를 듣고 그림을 그리는 과정도 볼 수 있었던 것이 좋은 기회였습니다 ... ...
[챌린지] 한국 균학 발전에 헌신한 김삼순 교수님
기사
l
20230730
A와 빛의 상호관계를 주제로 연구를 하셨습니다. 이 과정에서 여러편의 논문을 [일본농예화학회지]에 발표하고 세계적인 과학
잡지
[네이처] 에도 2편의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그리고 이 논문들을 종합하여 1966년 [다카아밀라제 A의 광불활성화]라는 제목의 학위논문을 제출하여 한국인 최초의 여성 농학박사가 되었습니다. 귀국한 교수님은 건국대학교 교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