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호"(으)로 총 3,5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작명 좀 해주세요…포스팅 l20250727
- 곧 (이 아니라 작가 귀차니즘 땜에 많이 늦게) 나올 신작이 마법물 웹툰 인데요..이름 좀 지어주십쇼..영어이름이어야 되고 흔한거 말구 뭔가 마법 느낌나는? 이름이면 좋겠어요..1.쥔공의 벺(성격:소심)2.남주(성격: 저도 몰라요..)3.쥔공 뽜둴4.쥔공 마둴참고로 쥔공네 가족 성은 '스테리'입니당젭알요...ㅠ 전 작명 모태요호호.,.. ...
- 한국항공우주산업 현장 미션을 다녀왔습니다!기사 l20250725
- 맨 위에 실립니다. KAI에서 만드는 차세대 인공위성 4호는 내년에 스페이스X로켓으로 발사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 차세대 인공위성 4호는 산불 등 자연재해를 관측하는 역할을 할 거라고 합니다. 인공위성 만드는 곳 옆에는 발사환경 시험실이 있는데 여기는 로켓이 올라갈 때 등 여러가지 상황에서 인공위성이 견뎌낼 수 있는지 시험하는 ...
- 괴수8호에 빠졌어요포스팅 l20250725
- 히흫히히힣힣헤헿ㅎㅎ아직 보지는 않았는데~ 그냥 귀여워요~최애.. 맞춰보세용~~근데 제 괴8 최애가 무슨 제 귀칼 최애랑 성우가 같던뎁ㅋㅎㅋㅎㅋㅋㅋㅋ 아 너무 커여워요 ...
- [어과동 500호] - 바다가 오염기사 l20250725
- 그 큰 태평양 바다가 오염되고, 태평양 바다에 이어져 있던 강들도 오염되기 시작했다. 그 오염된 강물은 다른 바다로 흘러가기 시작했고, 결국 한강도 오염이 되었다. 인간들이 마실 물은 점점 줄어들었고, 물고가들도 때 죽음을 당하고 있다. 강물을 마시는 동물들은 물론이고 그 동물을 먹은 사람들고 많이 죽고 있다. ...
- 최상현 연구원님의 강의를 듣고기사 l20250723
- 한 질문들과 최상현 연구원님의 답변이다. 1. 어떻게 인공위성을 만드는 직업을 갖게 되었는 지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아리랑 1호가 발사되는 모습을 보고 나도 저런 발사체를 쏘고 인공위상을 만들고 싶다고 생각해 꿈을 꾸게 되었습니다.’ 2. 지금 하시고 있는 일이 뿌듯하고 보람차다면 그 이유가 무엇인지 듣고 싶습니다. ‘지금 KAI에 들어온 ...
- [우주기자단 현장미션] 인공위성도 눈, 귀, 뇌가 있어요기사 l20250723
- KF-21, 헬기, 보잉.에어버스 항공기, 무인기, 인공위성 등을 만듭니다. 현재 만들고 있는 인공위성은 무게 약 700kg의 차세대 중형위성 5호입니다. (사진: KAI 홈페이지) 인공위성은 우주선의 꼭대기에 달려서 우주로 발사됩니다. 인공위성은 어디를 돌고 있는지에 따라 종류가 다릅니다. (챗GP ...
- 최상현 연구원님! KAI가 뭐에요? (우주 기자단 아홉 번째 현장 미션)기사 l20250722
- 배경화면에 있는 인공위성 사진에 대한 질문을 많이 받았습니다. 그 인공위성은 바로 차세대중형위성 5호 였습니다. 차세대중형위성 5호는 KAI에서 만든 인공위성으로, 모습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 KAI 홈페이지 이번 파트는 시대별로 사람들이 우주를 바라보는 관점에 대하여 설명했습니다. 먼저, 과거의 우주는 어떨까요? 과거의 우주 ...
- 제주 소라가 동해로 갔다고?! [ 어과동 500호 ] ; )기사 l20250716
- 안녕하세요! 양은채 기자입니다. 오늘은 제주소라가 동해로 간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제주소라가 동해로 간 이유는 대체적으로 우리가 사용하고있는 화석연료때문인데요.화석연료 사용으로인한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되고있기 때문입니다.온난화가 가속화되어 제주소라가 왜 동해로 갈까요?그 이유는 소라는 25도 내외에서 자라는 소라 유생이 해류를 타고 뜨거워진 제주 해역보다 ...
- [어과동500호] 살아움직이는 애완인형의 등장!기사 l20250716
- 안녕하세요. 오아린 기자입니다. 자기가 좋아하는 인형이 실제로 살아움지이면 얼마나 좋을지 생각해 본적이 있나요? 실제로 인형에게 생명 마이크로칩을 심으면 마치 살아움직이는 기술이 개발되었습니다. 애완 동물이 아닌 애완 인형의 시대가 열렸습니다. 애완 인형과 생활하고 있는 한 사람을 인터뷰 해 보았습니다. Q : 실제로 애완 인형과 함께 생활하는 건 어떤가요 ...
- [어과동 500호] 공룡,다시 출현하다기사 l20250716
- 인류는 지금까지 발전해 왔고 앞으로도 계속 발전할 거다. 이게 인류의 놀라움이다. 최초의 인류 오스랄로피테쿠스부터 현제의 인류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까지, 어쩌면 새로운 인류가 탄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공룡도 발전하고 멸종했다. 그리고 다시 복원됬다. 만약에 인류가 멸종하면 다른 생물이 우리를 복원하는 날이 올지도 모른다. 어쩌면.....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