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니시
와니스
nice
nisu
뉴스
"
니스
"(으)로 총 64건 검색되었습니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잊혀진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8
자르는 방법으로 면역 작용을 한다는 것이다. 다우드나 교수와 샤르팡티에 교수, 식스
니스
교수가 발견하고 메커니즘을 밝힌 Cas9은 바로 이 과정에 관여하는 단백질이다. 하지만 이 크리스퍼 자체를 발견한 연구자들 역시 이번 수상과는 인연이 없었다. 이번 수상은 철저히 ‘크리스퍼 ... ...
"여드름 발생 메커니즘 찾았다…여드름 예방·치료법 개발 기대"
연합뉴스
l
2020.06.09
밝혀냈다. 권 교수는 "이 지방분해효소 구조는 다른 하위유형 큐티박테리움 애크
니스
가 분비하는 지방분해효소에 모두 공통으로 적용된다"며 "이 연구가 여드름 치료법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여드름 치료법은 증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부작용도 있을 수 있는데 ... ...
[표지로 읽는 과학]아마존과 아프리카 탄소 흡수능력을 잃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07
1990년대와 2000년대 초 인류가 발생시킨 이산화탄소의 15%를 흡수한 것으로 조사됐다. 워
니스
후바우 벨기에 중앙아프리카박물관 생물학과 연구원 연구팀은 1983년부터 2015년까지 아마존과 아프리카 지역의 열대우림을 관찰한 결과를 이번주 네이처에 소개했다. 후바우 연구원이 박사후연구원으로 ... ...
AI, 환희로 찌푸린 얼굴 보고 “화났군요”
2020.02.24
직시하고 영향력 확대를 진지하게 재고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알레익스 마르테
니스
(Aleix Martinez) 오하이오주립대 교수는 아마존이 내놓은 얼굴인식 및 감정인식 기술이 완벽하지 못하다는 과학적 근거를 제시했다. 그는 “얼굴인식을 통해 감정을 파악하는 기술은 인간이 행복할 때는 ... ...
굿바이 2019, 과학동아 선정 과학기술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19.12.30
넘어서는 ‘양자우월성(quantum supermacy, 양자우위)’을 처음 달성한 것입니다. 존 마르티
니스
미국 UC샌타바버라 교수팀과 구글 인공지능(AI)퀀텀팀은 논문에서 현존하는 최고의 슈퍼컴퓨터로 푸는 데 1만 년 걸리는 난수 증명 과제를 3분 20초, 즉 200초 만에 시커모어가 풀었다고 설명했습니다. 현존 ... ...
양자우월성 달성하고 블랙홀 찍고…BBC가 뽑은 올해 대단한 스토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7
컴퓨터보다 월등한 성능을 구현했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구글 제공 지난 10월 존 마르티
니스
미국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대 교수와 구글 인공지능(AI)퀀텀 연구팀은 기존 최강 슈퍼컴퓨터로 푸는 데 1만년 걸리는 과제를 200초만에 푸는 새로운 양자컴퓨터 칩 ‘시커모어’를 개발하고 성능을 ... ...
기후변화에 맞선 용감한 십대 툰베리, 네이처가 뽑은 올해 인물
동아사이언스
l
2019.12.18
슈퍼컴퓨터의 성능을 일부 뛰어넘는 양자우월성을 최초 달성했음을 증명한 존 마르티
니스
구글 양자컴퓨터 연구책임자(미국 UC샌타바버라 교수), 중국에서 일어난 장기 이식 사례의 대부분이 기증자의 동의 없이 진행됐다며 증거를 공개한 웬디 로저스 호주 매쿼리대 임상윤리학과 ... ...
[인류와 질병] 몸니, 옷과 함께 진화하다
2019.11.16
1916년 로차 리마는 티푸스를 일으키는 원인균을 발표하면서 하워드 리케츠와 스타
니스
라우스 폰 프로바제크를 기리는 뜻으로 리케치아 프로바제키(Rickettsia prowazekii)라고 명명했다. 하지만 실속(?)있는 영광은 다른 사람에게 돌아갔다. 프랑스의 의사 샤를 니콜(Charles Nicolle)은 파스퇴르 연구소에서 ... ...
[표지로 읽는 과학] 1만 년짜리 난제 4분 내에 푸는 양자컴퓨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0.26
있다. 그래서 기존 컴퓨터로 풀기 어려운 복잡한 문제도 단번에 풀 수 있다. 존 마르티
니스
미국 UC샌타바버라 교수팀과 구글 전문가들은 현존하는 최고 성능의 슈퍼컴퓨터로도 1만 년 걸리는 난제를 단 200초만에 풀어버리는 양자컴퓨터 칩 '시커모어'를 개발하고 실제로 실험을 통해 성능을 ... ...
논란의 구글 양자컴퓨터 칩 드디어 공개..."양자우월성 달성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3
개발해 특정 과제에서 슈퍼컴퓨터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인 것은 확실해졌다. 존 마르티
니스
미국 UC샌타바버라 교수와 구글 인공지능(AI)퀀텀팀은 “기존 최강 슈퍼컴퓨터로 푸는 데 1만 년 걸리는 과제를 3분 20초(200초)만에 푸는 새로운 양자컴퓨터 칩 ‘시커모어(플라타너스라는 뜻)’를 개발하고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