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배
양성
경작
양식
교화
수예
사육
뉴스
"
배양
"(으)로 총 947건 검색되었습니다.
면역항암 효과 높이는 단백질 발견…장내미생물서 발굴
동아사이언스
l
2024.12.30
생균 기반 치료제 개발이 불가능하다. 연구팀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난
배양
성 미생물의 참조유전체 분석으로 TANB77이 보유한 섬모 단백질이 면역세포를 활성화해 면역항암치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음을 예측하고 이를 세포 및 동물실험으로 검증했다. 연구팀은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 ... ...
새해는 뱀의 해…신약 소재 가능성 드러난 뱀 독소의 재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12.30
뱀 독소와 유사한 독을 쉽게 생성할 수 있는 뱀 줄기세포 기반 오가노이드(미니장기)를
배양
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뱀 독소만이 가진 특성을 활용한 신약 개발의 역사는 짧지 않다. 미국식품의약국(FDA)과 유럽의약품청(EMA)이 최초로 승인한 동물 독소 기반 약물인 '캡토프릴'이 뱀 독소 기반 ... ...
나방에서 폐플라스틱 처리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26
유래한 사이토크롬 P450의 DNA를 뽑아서 효모에 발현시켜 대량으로 사이토크롬 P450를
배양
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인공지능(AI) 기반 시뮬레이션을 통해 사이토크롬 P450 플라스틱 산화기전을 최초로 규명하는 데에도 성공했다. 시뮬레이션으로 발굴한 효소의 폴리에틸렌 플라스틱 결합 ... ...
음식물 쓰레기가 디저트로 둔갑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2.25
아몬드 껍질과 바나나 껍질 등 30가지의 음식물 쓰레기에 뉴로스포라 인터메디아를
배양
한 뒤 기름에 튀겼어요. 이 요리를 시식한 61명은 1점부터 9점까지의 점수를 매겼고 평균 6점이 나왔습니다. 연구를 이끈 바유 힐-마이니 연구원은 "5점보다 높은 평균 점수를 받은 것으로 보아 많은 사람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네이처 선정 2024년 과학계를 빛낸 10명
동아사이언스
l
2024.12.21
CAR)-T세포 치료제를 환자의 몸에 주입한 것이다. 현재는 환자의 면역세포를 체외에서
배양
하고 수를 늘려 치료제로 쓴다. 환자마다 따로 세포치료제를 만들어야 하는 셈이다. 후지 교수의 연구처럼 다른 사람의 면역세포를 이용하면 대량 생산할 수 있다. 상용화한 치료제로 자가면역질환 치료 ... ...
2024년 과학 이슈·신기술 담은 '올해의 단어'
동아사이언스
l
2024.12.20
영국 과학자들은 지난 7월 스템브리오에 관한 자발적 지침을 발표했다. 스템브리오를
배양
하는 기간을 자유롭게 하되 스템브리오 연구를 감독하는 위원회를 설치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9월 12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도 스템브리오 같은 인공배아 기술에 대한 생명 윤리 논의가 ... ...
덜 먹으면 덜 늙는 이유 뭘까…분자에서 단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12.19
칼로리 제한 시 수치가 높아지는 약 200개의 분자를 발견했다. 그리고 해당 분자들을
배양
세포에 도입해 어떤 분자가 단백질 ‘AMPK’를 자극하는지 확인했다. AMPK는 칼로리 제한과 같은 에너지 부족 상태에서 다양한 생화학적 경로를 활성화하는 단백질이다. AMPK는 배가 고플 때 활성화돼 혈당을 ... ...
[의학바이오게시판] 고대안암병원, 다빈치5 아시아 최초 도입 및 첫 수술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2.16
치료제의 기반 기술을 마련하는 것이 목표다. 미세중력(microgravity) 환경을 활용한 세포
배양
공정도 최초로 도입한다. 사업 기간은 올해부터 2028년까지 총 54개월이고 연구비는 총 90억원 규모다 ... ...
수컷쥐 정자 질주 비결, '갈고리' 머리에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6
가설도 제시했다. 연구팀은 “기차 가설은 여태까지 관측 기술의 한계로 2차원으로
배양
된 실험실 접시에서만 관찰됐다”면서 “이번 실험에서 실제 생식기관 내부를 관찰해 분석한 결과 기차 형태로 모여 이동하는 소수의 군집이 발견되긴 했지만 이들의 이동 속도가 개별 정자에 비해 빠르지 ... ...
2024 한국과학상에 윤주영·선웅, 한국공학상에 조형희·백종범
동아사이언스
l
2024.12.12
치료 연구 수준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선웅 교수는 인간 만능줄기세포를 활용해 체외
배양
환경에서 생체 특징을 모방한 미니척수 제작기법을 개발했다. 척수발달질환 연구 및 약물 독성 평가 시스템에 활용된다. 선천적 기형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발달장애인 신경관결손 등 난치 질환 연구에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