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쁨
악
불량
흉함
불꽃
화염
뉴스
"
불길
"(으)로 총 147건 검색되었습니다.
미 前 FDA국장 "3주뒤면 미국서 백신 공급이 수요 앞지를수도"
연합뉴스
l
2021.04.12
국장은 "우리는 (앞으로) 이런 핫스폿들을 보게 될 것"이라며 "따라서 우리는 이런 확산의
불길
을 끄기 위해 자원을 이들 핫스폿에 몰아넣는 습관을 들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 ...
[인간 행동의 진화]새로운 관계를 추구하지 않는 사랑
2021.04.04
지나간 억지 미소. 뭔가 예전보다 줄어든 고개의 까닥거림. 그 신호를 간파한 연인은
불길
한 예감에 괴로워하는 것이다. 단 하나의 사랑 사랑은 관계를 오래 유지하게 해주는 기능이 있다. 그런데 그게 전부가 아니다. 흥미롭게도 새로운 관계를 추구하려는 시도를 자발적으로 중단시키는 기능도 ... ...
비행기에서 포착한 무시무시한 구름
팝뉴스
l
2021.03.23
알기 어렵다. 사진 속 검은 물체는 바로 구름이다. 비행기를 타고 가던 중 이 무섭고
불길
한 구름을 보게 되었다고 한다. 해외 네티즌들은 검은 구름이 살아 있는 괴물 같다면서 놀라워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 ...
전기연구원 실험실에서 질산 폭발... 연구원 1명 다쳐
동아사이언스
l
2021.02.16
연구원 1명이 화상을 입는 등 다쳐 병원으로 이송됐다. 연구원은 방호복을 입고 있었으나
불길
이 옷소매에 붙으면서 양쪽 손에 화상을 입었다. 연구원은 병원에서 2도 화상을 진단받고 치료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원이 폭발에 놀라 피하던 중 실험실 후드에 왼쪽 손을 부딛혀 골절 여부 등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야생 벼가 식량 위기 구원투수 될까
2021.02.16
정도만 다를 뿐 경향은 같다. 그런데 왠지 이게 올해만의 현상이 아닐 것 같은
불길
한 예감이 든다. 급격한 기후변화로 거의 해마다 기상이변이 일어나다 보니 이제 흉년이 안 들면 다행이라고 느껴질 정도다. 지구의 다른 지역도 마찬가지다. 실제 국제 농산물 시장에서 밀과 콩(대두)의 가격이 ... ...
모더나 "남아공 변이 바이러스 대응할 백신 촉진제 개발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1.01.26
않기 때문이다. 파우치 소장은 또 “영국에서 발견된 변이바이러스와는 다르고 더
불길
한 남아프리카공화국 변이바이러스가 더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파우치 소장은 “현재 접종중인 코로나19 백신의 효과가 남아공 변이바이러스에 약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난다”며 “백신 업그레이드가 ... ...
[이덕환의 과학세상]이제는 방역 패러다임 바꿔야 한다
2020.12.23
대구 동산병원으로 이송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꺼져간다고 착각했던 코로나19의
불길
이 무섭게 되살아나고 있다. 화려했던 지난 3월의 'K방역'의 성공 신화에 취해 좌고우면할 때가 아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저 수준이라는 인구 10만 명 당 감염자 46.3명, 사망자 0.8명은 허울 좋은 통계일 ... ...
불타오르네, 불타는 식탁과 초연한 남자
팝뉴스
l
2020.11.22
사진이 도저히 설명하기 힘든 상황을 담고 있다. 어떤 이유에서인가 탁자 주변에
불길
이 타오르기 시작한 것이다. 어떤 일이 있었을지 종잡기 어렵다. 더 미스터리한 것은 남자의 반응이다. 아무렇지 않은 듯이 그 자리에 앉아 있다. 합성사진일까? 해외 네티즌들은 고개를 갸웃거리며 시선을 ... ...
[인간 행동의 진화] 점성술과 인플루엔자
2020.11.22
인플루엔테(influente)에서 유래한다. 인플루엔자의 주기적인 유행이 바로 천체의
불길
한 움직임에 의한 영향이라고 여겼다. 땅에서 일어나는 변화는 하늘을 바로보며 ‘점’ 칠 수 있었다. 점성술의 시작이다. 해와 달, 별 동양의 사주명리도 일종의 점성술이다. 결국 사주란 시간의 주기적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말벌, 북아메리카 접수할까
2020.10.06
자리에 ‘재래종’을 쓰면 한 세대 뒤인 2050년 한반도 생태계의 모습이 아닐까 하는
불길
한 생각이 든다. 오백년 도읍지를 필마로 돌아드니 산천은 의구하되 인걸은 간데 없네 어즈버 태평연월이 꿈이런가 하노라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