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단
이교
사교
뉴스
"
사이비교
"(으)로 총 1,704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성 비염 있으면 햇빛 많이 쬐어야…비타민D 보충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5.01.08
아주대병원 제공 중년 및 노년기 만성 비염 환자의 70%가 비타민D 부족 상태인 것으로 확인됐다. 비타민D 결핍은 만성 비염 증상을 악화시키므로 평소 비타민D를 잘 보충해야 한다. 아주대병원은 박도양 이비인후과 교수가 박상철 한림대병원 교수와 함께 만성 비염과 비타민D 결핍 사이의 연관 ... ...
7일부터 전국 대부분 '한파특보'…충청 이남 서해안 폭설
동아사이언스
l
2025.01.06
눈이 내리는 5일 서울 종로구 장사동 일대 건물 지붕에 하얀 눈이 쌓여있다. 연합뉴스 제공 7일부터 강추위가 시작된다. 11일까지 전국 대부분 지역에 한파특보가 내려질 가능성이 높다. 7일부터 10일까지 충청 이남 서해안 쪽에 많은 눈이 쏟아지겠다. 6일 기상청은 이날 자정부터 충청과 전북서 ... ...
[동물do감] 생쥐도 '부익부 빈익빈'…어린 시절 행운이 평생 차이로
동아사이언스
l
2025.01.03
생쥐는 대표적인 사회적 동물로 수컷 생쥐들은 먹이나 번식 등을 두고 경쟁한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부익부 빈익빈'은 부유한 사람이 더 부자가 되고 빈곤한 사람은 더 가난해지는 사회적 불평등 현상을 말한다. 어린 시절 '운 좋게' 우위를 점한 수컷 생쥐도 평생에 걸쳐 사회적 위치를 유지할 ... ...
[동물do감] 침팬지, 견과류 깨는 능력 개인차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02
암컷 침팬지가 6살이 된 2004년 견과류를 깨트리는 모습(왼쪽)과 20살이 된 2017년 동일 작업을 하는 모습. Nature Human Behaviour 제공. 침팬지의 견과류 깨기 능력을 비교해본 결과 보다 정확하게 단시간 내 타격에 성공하는 침팬지들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가 들수록 더 잘 깨는 경향도 확인됐다. ... ...
"가운데 낀 아이, 다른 형제자매보다 협조적"
동아사이언스
l
2024.12.24
출생 순서와 협조적인 성격 사이의 연관성이 확인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태어난 순서가 성격 형성에 영향을 미칠까. 일부 연구자들은 가족 내 위치가 성격을 결정 지을 수는 없다고 보고 있지만 23일 이를 반박하는 연구가 발표됐다. 적어도 협조적인 성격 특성은 출생 순서의 영향을 받는다는 ... ...
현생인류-네안데르탈인 4만 9000년 전 첫 사랑 나눴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3
체코 즐라티 쿤과 독일 라니스 지역에 살던 초기 현생인류의 상상도. Tom Bjorklund 제공 아프리카에서 이동한 초기 현생인류인 호모사피엔스와 유럽에 살던 네안데르탈인의 교배가 시작된 것은 기존 학계가 추정했던 시기보다 최근과 가깝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호모 사피엔스가 아프리카를 떠나 ... ...
꽃 색깔·도로 방향…이미지 세부정보 놓치지 않는 AI 모델
동아사이언스
l
2024.12.13
기존 이미지 변환 AI 학습에서는 색상이나 방향 등 중요한 시각적 세부정보를 잃는 경향이 있어 한계를 보였다. KAIST 제공 꽃 색깔이나 차로 방향 등 이미지의 세부 특징까지 스스로 학습하고 이해하는 범용 인공지능(AI) 모델이 개발됐다. 의료 영상 분석이나 자율주행, 로보틱스 등의 분야에서 시각 ... ...
[사이언스얼라이브2024] 숏츠 영상 소비 세대에 과학 지식 어떻게 전달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12.12
12일 연세대 신촌캠퍼스IBS관에서 열린 ‘2024 사이언스얼라이브’에서 ‘유튜브와 커뮤니케이션’을 주제로 한 라운드테이블이 열리고 있다. 사이언스얼라이브 제공. ”2021년 7월 등장한 숏츠는 사고 과정의 다원화에 큰 장애가 됐습니다. 59초 미만의 짧은 영상을 스와이핑(일직선 드래그) 형태로 ... ...
친환경 열전 소재 대량 생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08
구리황화물(CuS) 기반의 열전 소재 대면적·대량 생산 기술 개요. 화학연 제공 국내 연구팀이 물체 사이의 온도 차이로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 열전 소재를 저렴하게 대량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상용화되면 웨어러블 기기나 산업 폐열 회수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화학연구원은 조동휘 ... ...
[과학사 극장] 장영실의 초상화는 진짜 얼굴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24.11.30
과학동아 제공 장영실은 조선 세종 시기를 대표하는 과학기술자다. 우리에겐 수많은 과학 기구를 만들어낸 인물로 영화와 드라마의 주인공으로 너무나 잘 알려졌다. 그러나 친숙한 인상과는 달리 장영실에 관해 정확히 묘사한 사료는 거의 남아있지 않다. 장영실을 둘러싼 오해를 풀어보자. 과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