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규
신임
신
뉴스
"
새로운
"(으)로 총 11,862건 검색되었습니다.
7월 과학기술인상에 김상현 연세대 교수…그린바이오수소 분야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그린수소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데 일조할 계획"이라며 "기존 공정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 개발로 미래 세대에 기여하고 싶다"고 밝혔다. - doi.org/10.1016/j.cej.2024.154709 - doi.org/10.1016/j.cej.2023.14568 ... ...
한국판 '딥시크' 만들 수 있다…서울대 연구진 '고성능 한국어 LLM'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사후 학습 등의 개량 기법을 적용한 한국어 특화 LLM이다. 연속 학습은 기존 모델에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로 학습시켜 능력을 확장하는 과정이고 사후 학습은 사용자의 질문·응답 등으로 추가 미세조정하는 학습 과정이다. 한국어의 문법적 특성을 반영한 토크나이저 Thunder-Tok은 기존 라마 ... ...
구본경 IBS 단장, 유럽분자생물학기구 외국인 회원 선출…국내 세번째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기반으로 조직 재생, 암 발생 초기의 세포 동역학을 분석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구 단장은 2024년 유럽연구위원회(ERC) 시너지 그랜트에 선정돼 약 160억원 규모의 대형 공동연구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있다. 국내 기관 소속 연구자로는 처음이다. ERC ... ...
천연물 '아카세틴'에서 지방간질환 치료 단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수 있다는 분자 수준 기전을 최초로 밝혔다”며 “LAMTOR1–MTORC1–AMPK 축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자가포식 유도 메커니즘은 향후 천연물 기반 간질환 치료제 개발의 중요한 실마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org/10.1080/15548627.2025.251905 ... ...
'숨 턱턱' 폭염은 이제 일상…유럽선 46도, 한국은 이미 열대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올해 여름도 유럽에 기록적 폭염이 발생하면서 폭염은 이제 일시적 기상이변이 아닌
새로운
기후 현실임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한국도 폭염으로 펄펄 끓는 가운데 유럽 사례를 타산지석 삼아 폭염에 철저히 대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클레어 눌리스 유엔 산하 세계기상기구(WMO) ... ...
암세포만 '반짝'…형광빛으로 암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25.07.01
선별할 수 있는 최초의 형광 프로브”라며 “이번 연구는 글라이칸 기반 암 진단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고 말했다. doi.org/10.1021/jacs.5c0302 ... ...
ETRI, 디지털 신원 지갑 국제표준 개발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01
분산 네트워크를 활용해 중앙 기관 없이도 신원 정보를 증명하고 통제할 수 있게 해주는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 ID다. ETRI 연구진은 국제표준 개발을 통해 △디지털 신원 지갑의 글로벌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국제표준 특허 개발 △공적표준화 기구와의 연계 기술 개발 △금융·공공·산업 ... ...
장내 미생물로 난치성 뇌종양 면역치료 효과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01
연구진이 장내미생물과 그 대사산물을 활용해 뇌종양의 면역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전략을 세계 최초로 입증했다. 향후 미생물 기반 면역치료 보완제 개발 단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이흥규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장내 미생물 생태계 변화에 주목해 교모세포종 ... ...
[과기원NOW] 버려진 일회용 마스크, 땅 속 생명까지 위협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6.30
함께 머리카락보다 작은 전자부품부터 일상용품까지 손쉽게 붙였다가 떼어낼 수 있는
새로운
접착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온라인판에 지난 5월 28일 게재됐다. ■ GIST는 27일 행정동 1층 '명예의 전당'에서 최무진 나눔테크 ... ...
뇌세포가 당을 해독제로 바꾼다…치매 예방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6.30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알츠하이머병 같은 퇴행성 뇌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 전략의 단서를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판카즈 카파히 미국 버크노화연구소 연구원 연구팀은 신경세포 안에 저장된 당(글리코겐)을 특정 효소로 분해하면 뇌세포의 손상을 줄이고 생존을 연장할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