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격언
금언
교훈
명언
경구
속어
속설
뉴스
"
속담
"(으)로 총 66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추석의 마음
2018.09.23
추석은 나누는 날입니다. ‘설에는 옷을 얻어 입고, 한가위에는 음식을 얻어 먹는다’는
속담
이 있는 이유죠. 따뜻한 정 추석에는 수많은 사람이 이동합니다. 고향으로 향하는 사람도 있고, 집안 어른께 인사를 올리러 다니는 사람도 있습니다. 성묘를 하느라 선산을 찾는 경우도 있습니다. ... ...
우리 아이의 첫 1000일이 중요한 이유
2018.02.04
아이가 태어나 세 살까지가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우리나라
속담
에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라는 말도 있듯이 세 살이면 삶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틀이 세워진다는 말입니다. 즉 생활습관이나 행동양식 등으로 이어지는 인성이 세 살이면 어느 정도 형성돼 그것이 평생을 간다는 말이지요. ... ...
종이와 달걀로 무거운 선반을 받쳐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1.02
낫다’라는
속담
이 있어요. ‘쉬운 일이라도 협력하면 훨씬 쉽다’는 뜻이지요. 이
속담
은 우리의 생활뿐만 아니라 과학에도 적용되는 말이랍니다. 무거운 물체를 떠받치는 데는 무조건 강한 힘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작은 힘이 여럿이 모여도 가능하거든요! 힌트 하나. 중력의 크기만큼 떠받쳐라! ... ...
[때와 곳 25] 처가: “사위 사랑은 장모”라는 말이 실감나는 곳
2017.10.07
나로서는 수저를 내려놓을 수도, 안 내려놓을 수도 없어 늘 과식하게 된다. 약간 유치한
속담
이지만 그래서 “처갓집에 송곳 차고 간다”라는 말도 생겼을 것이다. 사위가 처가에 가면 장모께서 꾹꾹 눌러 담아 고봉밥을 퍼 주니 밥이 너무 단단해 송곳으로 쑤셔서 먹어야 할 정도로 사위 대접이 ... ...
[카드뉴스] 깨처럼 고소한 물고기 전어
동아사이언스
l
2017.09.10
소리도 미각을 자극하지만 ‘전어 굽는 냄새에 집 나간 며느리가 돌아온다’는
속담
은 전어구이의 풍미를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전어를 굽다 보면 기름이 많다는 걸 알게 됩니다. 전어의 기름은 불포화지방산을 많이 함유해 성인병을 예방하고, 한방에서는 오줌을 잘 나오게 하고 위와 장의 기능을 ... ...
감싸주면 성격 버린다? 개의 경우엔 사실
과학동아
l
2017.09.07
제공 서양
속담
에 ‘위대한 선원은 결코 잔잔한 바다 위에서는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말이 있다. 부모의 보살핌 등으로 어릴 때 힘든 상황을 경험하지 않은 경우 커서도 장애물을 극복할 수 없다는 뜻이다. 적어도 개의 경우엔 이 말이 사실임이 드러났다. 에밀리 브레이 미국 애리조나대 인류학부 ... ...
[카드뉴스] 선홍빛 자태의 특별한 맛 참돔
동아사이언스
l
2017.08.22
일본에는 ‘썩어도 도미’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의 ‘썩어도 준치’라는
속담
과 같게 쓰입니다. 도미가 얼마나 맛있기에 이런 말이 생겼을까요? 일반적으로 도미라고 하면 농어목 도미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인 참돔을 가리킵니다. 참돔은 대표적인 흰 살 생선으로, 육질이 쫄깃쫄깃하고 ... ...
섬세한 예술품, 타이프라이터로 만든 총
팝뉴스
l
2017.07.05
상관없이 이 작품은, 총과 단어를 연결하는 힘 때문에 “펜은 칼보다 강하다”는 옛
속담
을 떠올리게 한다. 과연 타이프라이터는 총보다 강할 수 있을까?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
2017.05.24
반응해 신체에까지 악영향을 미친 결과이지만(‘빈대 잡자고 초가삼간 태운 격’이라는
속담
에 해당), 자가면역질환은 면역계가 내 몸의 물질을 외부 물질로 인식해 공격한 결과 신체가 손상을 입는 현상이다(‘자중지란(自中之亂)’이란 사자성어에 해당). 자가면역질환이 생소한 독자들도 ... ...
[카드뉴스] 저녁형 인간이 손해 보는 세상
동아사이언스
l
2017.04.13
개인에게 맞는 시간대에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면 사회적으로도 큰 이익이 될 겁니다.
속담
부터 바꿔야겠죠. “일어나고 싶을 때 일어나는 새가 벌레를 잘 잡는다.” - 참고: 과학동아 2013년 07월호 '저녁형 인간이 손해 보는 세상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