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식물
플랜트
뉴스
"
식물체
"(으)로 총 4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식물 유래 코로나19 백신이 온다
2021.08.17
세포를 키워야 한다. 반면 분자농업에서는 아그로박테리움과 접촉해 외부 DNA를 받은
식물체
를 온실에서 며칠 키운 뒤 수확해 단백질을 추출하면 되니 훨씬 간단하다. 분자농업에는 여러 식물을 쓸 수 있지만 백신의 경우 호주가 원산인 담배속 식물(학명 Nicotiana benthamiana)을 선호한다. 잎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벼가 물에 잠겼을 때 일어나는 일들
2020.08.11
벼는 침수가 되면 위쪽 줄기가 하루에 25㎝나 자라 물 밖으로 머리를 내민다. 물이 빠지면
식물체
가 쓰러지지만 말단은 중력 반대 방향으로 자라며 적응한다. 최근 일본의 연구자들은 심수 벼가 침수됐을 때 대응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을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식물생리학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 ...
목재 폐기물에서 바이오항공유 뽑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3
석유 대체 연료로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리그닌은 목재나 풀 같은
식물체
의 20~40%를 차지하는 성분이다. 종이를 만드는 과정에서 폐기물로 배출된다. 리그닌은 분해하면 오일로 바꿀 수 있는데 점성이 너무 높아 산업에서 활용하기 어려웠다. 리그닌 폐기물의 사용처는 저품질 ... ...
[강석기의 과학카페]광합성 규명 70년 만에 탄생한 인공 엽록체
2020.05.12
시스템을 개발하는 연구에 뛰어들었다. 식물이 광합성으로 만든 유기분자 대부분은
식물체
의 성장에 벽돌로 쓰이기 때문에 활용 효율이 낮다. 만일 인공 광합성 시스템을 만들어 물과 이산화탄소를 투입해 원하는 유기분자만 만들어 뽑아 쓸 수 있다면 온실기체인 이산화탄소를 없애면서 유용한 ... ...
말라리아 치료물질 '울릉도 토종 미생물'이 갖고 있다
연합뉴스
l
2018.12.06
방선균)로부터 새로운 항말라리아 물질을 발굴했다고 6일 밝혔다. 방선균은 토양·
식물체
·동물체·하천·해수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하는 세균이다. 외생포자를 만드는 점에서 곰팡이(진균)와 비슷하나, 원핵세포를 가지는 특징을 보인다. 다양한 구조의 저분자 화합물을 생산하는 방선균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토마토는 과일이 될 수 있을까?
2018.10.16
SP 유전자와 SP5G 유전자, 열매 크기에 관여하는 CLV1 유전자를 바꾸는 데 성공했다. 그 결과
식물체
에 열매가 50% 더 열렸고 열매 크기도 24% 늘어났다. 연구자들은 “식용꽈리는 향미가 독특하기 때문에 딸기(strawberry), 블루베리, 블랙베리, 산딸기(raspberry)에 이어 다섯 번째 베리(berry)가 될 수 있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무는 어떻게 겨울잠을 잘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4.14
막아 원형질 연락사가 통신을 중단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세포 사이 구멍이 막히면
식물체
내에서 성장 촉진 신호를 계속해서 만들어내도 성장이 정지된 휴면 상태가 유지된다. 식물이 저온에 장시간 노출되면 세포 사이 구멍이 다시 열리면서 휴면 상태가 풀리고 성장이 재개된다. 봄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인식하는 표적서열에 가서 DNA를 자른다. 게놈(염색체)이 두 동강난 비상사태를 맞은
식물체
는 서둘러 다시 이어붙이려고 시도하는데 그 과정에서 실수가 생길 가능성이 크다. 연구자들이 노리는 게 바로 식물의 복구시스템오류다. 이렇게 얻은 개체 가운데 3분의 1 정도에서 흰 꽃이 폈다. 즉 ... ...
탈원전 시대, 文대통령이 LNG와 신재생에너지 키운다는데
동아사이언스
l
2017.06.19
*바이오매스(Biomass)란? : 태양에너지를 받은 식물과 미생물의 광합성에 의해 생성되는
식물체
·균체와 이를 먹고 살아가는 동물체를 포함하는 생물 유기체의 총칭이다. 태양광발전은 실리콘 반도체로 만들어 빛을 받아 저장할 수 있는 태양전지를 이용한다. 태양전지가 빛을 모은 뒤 이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줄이는데 식물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2017.05.02
있다. 한편 식물이 내뿜는 생물유래 휘발성유기화합물(BVOC)도 간과하기 쉬운 문제다.
식물체
에서 나오는 기체는 다 사람과 환경에 좋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꼭 그렇지도 않다. BVOC는 이소프렌이나 모노테펜 같은 탄소원자 5개 또는 10개로 이뤄진 분자로 대기 중 질소화합물과 반응해 오존을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