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인
뉴스
"
일부인
"(으)로 총 9,017건 검색되었습니다.
애플·삼성 등 스마트폰 보안 취약점 11개 발견…4개는 미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25.07.25
KAIST와 경희대 공동연구팀이 찾아낸 스마트폰 네트워크 보안 취약점을 이용해 스마트폰 통신을 실제로 마비시키는 시연 장면. 초당 23메가바이트(MB)로 데이터가 전송되다가 조작된 패킷이 주입되자마자 데이터 전송이 중단되고 이동통신 신호가 완전히 사라졌다. KA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4세대 이 ... ...
"금, 녹는점 14배 온도서 고체상태 유지"…이론 한계 넘어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5.07.25
금속 원소인 금(Au)의 녹는점은 섭씨 1063도다. 금이나 은을 포함한 일부 고체 물질은 가열 방법에 따라 알려진 녹는점을 넘어서도 고체 상태를 유지하는 '과가열(Superheating)' 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미국 연구팀이 고체 금(Au)을 녹는점보다 약 14배 높은 온도까지 가열하고 매우 ... ...
손짓만 하면 컴퓨터에 명령…메타 '손목밴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25
미국 메타 연구팀이 개발한 무선 입력장치 '뉴로모터 인터페이스'. 간단한 손짓만으로 컴퓨터에 글자를 입력하고 다양한 명령을 내릴 수 있다. Reality Labs/Meta 제공 미국 메타 연구팀이 간단한 손짓만으로 컴퓨터에 글자를 입력하거나 다양한 명령을 내릴 수 있는 손목 밴드를 개발했다. 근육이 약하 ... ...
학생들이 본 반복되는 실험실 사고…"업무 과중으로 주의력 무뎌져"
동아사이언스
l
2025.07.25
6월 4일 폭발 사고가 발생한 KAIST 연구실 현장. 이 사고로 20대 KAIST 대학원생이 눈을 포함한 얼굴에 중상을 입었다. 황인영 대전유성소방서 조사관 제공 한양대와 KAIST, 충남대까지 연구실 폭발·화재 사고가 이어지면서 학생들이 다치는 안타까운 일이 발생했다. 동아사이언스는 연구실 사고가 반복 ... ...
[동물do감] 조류 타고 에너지 아끼며 먹이 찾는 '펭귄 항해술'
동아사이언스
l
2025.07.24
긴 항해 후 서식지에 모여 있는 마젤란펭귄. 로리 윌슨 영국 스완지대 교수 제공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는 마젤란펭귄은 조류(潮流)를 능숙하게 활용한다. 에너지를 아끼고 먹이를 더 효율적으로 찾는다. 바다 한가운데서도 놀라운 방향 감각과 전략적 움직임으로 정확히 둥지로 돌아오는 펭귄의 ... ...
'노래하는 새' 명금류, 미적 감각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4
마다가스카르 북부의 호박산바위지빠귀 수컷. 밝은 깃털 아래 숨은 흑백 띠가 색을 더 선명하게 만들고 있다. 위키미디어 제공 '노래하는 새'라는 뜻의 명금류(鳴禽類) 중 일부는 밝은 깃털 아래에 숨겨진 검정 또는 흰색 띠를 활용해 깃털 색을 더욱 선명하게 보이도록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 ...
반려견 사진 찍어 VR·AR에 '쏙'
동아사이언스
l
2025.07.24
주경돈 울산과학기술원(UNIST) 인공지능대학원 교수팀이 개발한 AI 모델 '도그리콘(DogRecon)'으로 개 사진 한 장만을 사용해 실내에서 움직이는 3차원 아바타를 생성한 모습. UNIST 제공 단 한 장의 사진만으로 반려견의 3차원(3D) 아바타를 만들어 움직임까지 구현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이 나왔다. ... ...
"화학물질 1+1은 독성이 2 이상일 수도"…시민과 '과학논문' 읽는 학생 연구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3
16일 오전 서울시립과학관 3층 하늘마루홀에서 진행된 시민 참여 프로그램 '리딩 사이언스'에서 양가을 서울시립대 환경공학부 석사과정생이 'ToxMix: 제품 속 혼합물, 독성을 말하다'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이병구 기자 2bottle9@donga.com '논문의 효능: 기초 개념 정리, 최신 정보에 먼저 닿는 데 도움, ... ...
전기 감지하는 헬멧으로 적 알아보는 '나무매미'
동아사이언스
l
2025.07.22
머리 위 정교한 헬멧 구조는 나무매미가 전기장을 감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Roberto Eizemberg 제공. 개미처럼 생긴 작은 곤충 '나무매미(treehopper)'는 머리를 감싼 화려한 '헬멧'으로 정전기를 감지하고, 이를 이용해 친구와 적을 구별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다니엘 로버트 영국 브리스톨대 교수 ... ...
전공의·의대생 복귀 특혜 논란…'입법 전선'으로 갈등 이동
동아사이언스
l
2025.07.22
서울 시내의 한 대학병원 전공의협의회 사무실. 연합뉴스 제공 전공의와 의대생 복귀 논의가 속도를 내고 있지만 특혜 논란이 거세지면서 의정 갈등 해결이 새로운 국민에 접어들고 있다. 환자단체와 전공의 단체 모두 갈등의 해법을 국회 입법 과정에서 찾고 있어 논의의 중심축이 의료현장에서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