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tooth
뉴스
"
투스
"(으)로 총 58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상+]땅굴 파고 자원 찾는 두더지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4
드릴링부는 이빨로 토양을 긁어내는 두더지종 중 하나인 ‘치젤
투스
’를 모방했다. 치젤
투스
는 머리의 높은 자유도를 이용해 몸체보다 큰 굴을 뚫는다. 이를 모방해 개발한 드릴비트는 굴착 때 커지며 넓은 면적을 파낸다. 로봇의 크기보다 2.7배 정도 큰 굴을 파낼 수 있다. 잔해 제거는 크고 강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해부학 시대의 도래
2020.04.16
근대 해부학의 시대를 연 사람이 바로 두 번째로 소개할 사람이다. 그의 이름은 세르베
투스
와 함께 프랑스 파리대학에서 동문수학했던 안드레아스 베살리우스(1514~1564)이다. 베살리우스는 벨기에 출신으로 그의 가문은 대대로 의사집안이었다. 1533년 파리대학에 입학했는데 당시로서는 드물게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금 대신 약을 만든 파라켈수스, 연금술의 새 장 열다
2020.03.05
파라켈수스(1493~1541). 그의 본명은 필리푸스 아우레올루스 테오프라스
투스
봄바스
투스
폰 호헨하임(Philippus Aureolus Theophrastus Bombastus von Hohenheim)으로 꽤 길다. 나는 수업시간에 항상 이렇게 긴 이름을 다 보여주며 학생들에게 악담하기를 즐긴다. 위키피디아 제공 파라켈수스가 당대 가장 위대한 ... ...
[표지로 읽는 과학]진핵생물 진화 밝힐 고세균 배양 성공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6
가장 가까운 조상으로 여겨진다. 연구팀은 배양한 아스가르드 고세균의 이름을 ‘칸디다
투스
프로메테오알캐움 신트로피움(Candidatus Prometheoarchaeum syntrophicum)’으로 명명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 고세균의 성장속도는 매우 느리다. 2배 정도 증식에 14~25일 정도가 걸리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고세균 ... ...
유전자치료제 시대 오려면 '고비용-면역반응' 숙제 풀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11.06
개발해 최근 임상 3상을 마쳤다. 툴젠은 2016년부터 말초신경계질환인 샤르코마리
투스
에 대한 유전자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식약처에 승인받을 당시 자료와 주성분이 달라 결국 판매 중지되기는 했지만 코오롱생명과학에서 개발해 시판했었던 인보사 케이주도 유전자치료제였다. 가장 큰 한계... ...
진주에서 가장 완벽한 중생대 백악기 도마뱀 발자국 화석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6
발견된 새로운 도마뱀 발자국’이라는 뜻의 ‘네오사우로이데스 이노바
투스
’라는 이름을 붙였다. 김 소장은 “이제까지 백악기 도마뱀 발자국 화석은 경남 진주의 1억 1000만 년 전 지층과 하동의 1억 년 전 지층에서 각각 하나씩 발견된 게 전부였다”며 “이번에 국내 세 번째이자 세계 세 번째로 ... ...
집단지성으로 신약 개발하는 ‘타깃 팩토리’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수 있는 KRS는 그 자체를 표적으로 하는 약물을 만든다”며 “신경성 질환인 샤리코마리
투스
병은 GRS의 돌연변이가 관여하므로 그 돌연변이만 표적으로 하는 약물을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배양실에서 실험 중인 권남훈 책임연구원. 사진 남승준 연구단이 2010년 사업을 출범한 이후 ... ...
원시 고래는 네 발로 헤엄쳤다
과학동아
l
2019.04.29
벨기에왕립자연사박물관의 척추 고생물학자인 올리비에 램버트 박사는 “페레고세
투스
파시피쿠스와 현생 고래 사이에 존재하는 다양한 원시 고래 화석들을 찾아 분석하면 고래가 전 세계 바다로 퍼질 수 있었던 경로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16/j.cub.2019.02.05 ... ...
지금까지 이런 게놈은 없었다…컴퓨터로 디자인한 인공게놈 첫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4.02
카울로박터 에텐시스 2.0의 유전자(인공 유전자)들을 끼워 넣은 뒤 카울로박터 크레센
투스
의 유전자들이 발현하지 못하도록 차단한 것이다. 그 결과 인공 유전자 680개 중에 580개가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비트 크리스틴 교수는 ”추가 연구를 통해 카울로박터 에텐시스 2.0의 게놈을 가진 인공 ... ...
국내 연구팀, 몽골에서 아기 신종 공룡 ‘고비랍토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몽골과학원, 중국지질과학원 등과 함께 신종 오비랍토르 공룡 ‘고비랍토르 미누
투스
(Gobiraptor minutus)’를 발견해 국제학술지 ‘플로스원’ 6일자에 발표했다. 오비랍토르는 1924년 몽골에서 처음 발견된 수각류 공룡(앞발을 들고 날렵하게 움직이던 육식 또는 잡식성 공룡)이다. 뿔 공룡인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