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설
가공
꾸밈
조작
가상
공상
상상
뉴스
"
허구
"(으)로 총 53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정자의 생각돋보기]가상현실의 승리
동아일보
l
2016.03.12
갖고 있다. 그러나 빗자루를 타는 해리 포터에게는 그 원본이 되는 실체가 없다. 그저
허구
의 이야기를 꾸며내 속이 텅 빈 이미지를 만들었을 뿐이다. 이처럼 원본 없는 이미지가 바로 시뮬라크르다. “사원에 그 어떤 헛된 것(우상)도 금하노라”는 성경 구절의 ‘우상’이 바로 시뮬라크르다. ... ...
[중력파에서 감자까지]중력파 발견 기념, 주말은 SF 영화로
동아사이언스
l
2016.02.13
빼놓을 수 없다. 이젠 지구 근처가 아니라 아예 다른 행성인 화성으로 보냈다. 그만큼
허구
가 많이 더해졌고, 영화를 보고 난 사람들의 감상은 하나같이 똑같았다. ‘공돌이다, 공돌이가 나타났다!’라고. ‘마션’은 화성을 뜻하는 영단어인 마스(Mars)에 ~하는 사람이라는 뜻의 접미어 ‘tian’을 ... ...
“사람의 영혼은 눈에 담겨 있다”
2015.10.18
보이는 것과는 다르게 창의적으로 표현했다. 그는 “내가 추구하는 것은 사실도
허구
도 아닌 무의식”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사실적인 표현을 넘어 추상적인 개념을 담으려는 시도는 당대에는 드물었던 현대 미술의 특성이기도 하다. 모딜리아니의 아내 잔느의 초상. 선명하게 빛나는 눈동자가 ... ...
아이폰과 영화 ‘터미네이터’의 공통점
2015.10.11
모습을 바꾼다. 최근 이런 영화 속 액체금속 기술이 부쩍 성장하고 있다. 영화 속
허구
가 24년의 시간을 지나 현실로 들어오고 있는 셈이다. ● 美 연구진, 액체물질 순식간에 고체로 T-1000이 스크린에 처음 등장 한 건 1991년 개봉한 영화 ‘터미네이터2: 심판의 날’이다. 당시 T-1000 역을 맡았던 ... ...
인간은 정말 뇌의 10% 밖에 사용하지 못할까
2015.05.25
난치병을 치료한다는 내용의 영화 ‘아일랜드’. 영화 속의 이야기는 모두 허무맹랑한
허구
일 뿐일까. 박태현 서울대 화학공학과 교수의 ‘영화 속의 바이오테크놀로지’는 영화 속에 등장한 생명공학 지식의 허와 실을 정리한 책이다. 영화 속 이야기들은 실현불가능해 보이지만 대부분의 ... ...
‘사이코패스’가 말하는 사이코패스
2015.03.22
정도로 계획적일 수 있고, 냉철하며 지적이다. 그렇다면 사이코패스는 존재하지 않는
허구
인가. 사이코패스 진단 여부를 판단하는 데는 캐나다 정신과 전문의 로버트 헤어 박사의 PCR-L 테스트가 널리 쓰인다. 40점 만점에 25~30점이 일반인과 사이코패스를 구분하는 경계선으로 본다. 하지만 그 ... ...
6억 년 전 해면 동물 화석 발견
2015.03.16
대폭발(5억4200만 년 전부터 수백 만 년 사이에 다양한 동물 화석이 갑자기 나타난 사건)은
허구
라는 다윈의 주장은 틀렸지만 그 전에도 다양한 생명체가 존재했을 거라는 주장은 맞다는 것이다. 즉 캄브리아기를 전후해 동물의 형태가 급변하면서 화석으로 남기 쉬운 구조의 동물이 등장했기 때문에 ... ...
SF로 포장해 철학으로 버무린 로봇 영상물
2015.03.15
바탕으로 쓰여진 작품이란 뜻이다. 스토리는
허구
지만 작품에 나오는 과학과 기술은
허구
여선 안 된다. 과학적으로 불가능한 설정을 우겨 넣으면 이건 SF가 아니라 ‘판타지’가 된다. 마법과 마술, 기공이 난무하는 비과학적 스토리와 별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이다. 두 발로 걷는 로봇 경찰의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전 KAIST 수학과의 한 교수가 당시 기자였던 필자에게 보낸 e메일이 생각났다. 끈이론의
허구
성을 주장한 글이었는데 당시 필자는 ‘수학자분이 왜 이런 글을…’이라고 생각하며 모르는 체했다. 그때 ‘초끈이론의 진실’을 알고 있었다면 좋은 기획거리가 됐을 거라는 생각이 문득 든다. ... ...
영화 ‘인터스텔라’의 옥에 티, 찾아봤습니다
2014.11.14
이용해 정보를 보낸다. 김 교수는 “블랙홀 안에서 중력을 자유자재로 조종하는 설정은
허구
”라며 “통일장이론을 완성한다고 해도 이것으로 인해 인류의 삶이 드라마틱하게 바뀌는 일도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