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스페셜
"
분자
"(으)로 총 1,031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업그레이드된 단백질 설계 AI…백민경 교수도 참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4.21
치료법 개발 길을 확대할 수 있다. 그런데 단백질은 혼자 기능하지 않는다. 다른 생체
분자
와 결합해 구조가 변화하기 때문에 단백질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비단백질 화합물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로제타폴드 최신 버전인 ‘로제타폴드 올 아톰’은 단백질뿐 아니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과의 전쟁 '게임체인저' 나왔나
2024.04.17
샤프론은 다른 단백질의 구조를 안정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다. RMC-7977라는
분자
딱풀(molecular glue)로 CYPA와 라스가 가까워지면서 신호를 전달할 단백질이 라스에 접근하지 못해 사실상 꺼진 상태가 된다. 연구자들은 변이 라스 단백질이 있는 암 환자에서 얻은 암세포 100여 가지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마이크로바이옴과 단백질의 긴밀한 관계
동아사이언스
l
2024.04.06
생물학적 기능과 작용과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분자
적 수준에서 마이크로바이옴이 인간 생리에 관여하는 메커니즘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노아 팜 미국 예일대 의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인간의 세포와 마이크로바이옴 간의 상호작용을 자세하게 규명한 지도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본서 사망자 나온 붉은누룩의 비밀
2024.04.03
있는 오크라톡신A(위)도 만들 수 있다. 오크라톡신A
분자
의 일부(오른쪽)와 시트리닌
분자
의 구조가 꽤 비슷함을 알 수 있다. 이번 홍국 건강보조식품 사건은 홍국균이 만든 시트리닌과 오염된 푸른곰팡이가 만든 오크라톡신의 시너지 작용으로 신장독성이 커진 게 원인일지도 모른다. 독성학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이 잘 자라려면 오후에 강한 빛 있어야
2024.03.20
에 만들어진 당
분자
는 주로 녹말로 전환돼 저장되고 장일 조건의 오후에 만들어진 당
분자
는 그대로 남아 세포 내 농도가 올라가며 MIPS1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비가 오거나 흐린 날이 많으면 식물이 잘 자라지 않는다. 그렇다면 빛의 세기가 식물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데도 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렌지 없는 오렌지주스 나올까
2024.03.06
비교해 오렌지 향기의 특성을 부여하는
분자
26개를 찾았고 이 가운데 7가지 에스터
분자
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흥미롭게도 감귤녹화병에 걸린 오렌지의 열매는 오렌지 느낌의 향이 약한데 분석 결과 에스터 농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기 프로파일 그래프로 가로축은 ... ...
[과기원NOW] KAIST, 흡연과 음주가 구강암을 촉진하는 새로운 기전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21
다른 표적 물질에 대한 압타센서를 탑재한 캡슐 용액을 섞어줌으로써 동시에 여러 표적
분자
를 독립적으로 감지하고 각각의 농도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바이오센서스 앤 바이오일렉트로닉스'에 최근 게재됐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송영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1000만원대 전기차, 어떻게 가능할까
2024.02.21
때 양극에서는 칼슘이온(Ca2+)와 전자(2e-), 산소
분자
(O2)가 만나 칼슘산화물을 만든다. 산소
분자
의 입장에서는 환원반응이 완전히 일어나면 산화칼슘(CaO)이 만들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산소원자 사이의 결합(-O-O-)이 끊어져야 하므로 쉽지 않은 과정이다. 게다가 충전 과정에서 역의 반응이 일어나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광우병' 단백질 '프리온', 바이러스로 오인된 이유
2024.02.17
원인이 되었다. 필자가 한동안 헌혈을 못하게 하는 원인이 된 행사(2000년 국제생화학-
분자
생물학회)의 기조강연자는 하필이면 1997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프루시너(Stanley B. Prusiner, 1942- )였다. 그는 “감염에 대한 새로운 생물학적 원리인 프리온을 발견”한 업적으로 노벨상을 수상했다. 처음 ... ...
[표지로 읽는 과학]
분자
수준에서 관찰한 감귤 오일 형성 과정
동아사이언스
l
2024.02.11
않은 상태다. 연구팀은 오일 분비선의 발달 과정과 에센셜 오일의 생합성 과정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기 위해 유전자 매핑과 유전체 교정 기술을 이용했다. 이를 통해 오일 분비선의 발달에 관여하는 두 가지 전사 인자와 유전자 활성을 강화하는 시스-조절 인자를 확인했다. 연구팀은 오일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