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자
에너지
에네르기
스페셜
"
원자에너지
"(으)로 총 29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우린의 재발견
2023.06.14
타우린이 많은 굴.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살다 보면 어떤 대상이나 상황을 대할 때 선입견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는 걸 깨닫곤 한다. 생체 분자인 타우린도 그런 경우로 오징어에 많이 들어있다거나 감성을 자극하는 CF로 유명했던 한 에너지(피로회복) 드링크의 주성분이라는 걸 알았음에도 별로 궁금 ... ...
[표지로 읽는 과학] X선의 위대한 도약, 단 한 개의 원자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3.06.03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이번주 표지로 확대된 원자들의 모습을 담았다. 다양한 원자배열을 보여주는 다소 흐릿한 이미지 위로 ‘아토믹 파워(ATOMIC POWER)’라는 큼지막한 문구가 삽입돼 있다. 이 문구 아래로는 ‘X-ray가 단일 원자의 원소와 화학적 특징들을 동시에 포착하다’라는 문 ... ...
[과기원은 지금] UNIST, 금속 화합물로 리튬 전지 성능 크게 향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4.26
왼쪽부터 이현욱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 김민호 UNIST 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제공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이현욱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와 김민호 연구원 연구팀이 금속 플루오라이드(MxFy) 화합물을 활용한 연구를 통해 리튬 전지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켰다고 25일 밝혔다. 연구팀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빗해파리 신경계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3.04.23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21일 ‘빗해파리’의 모습을 표지로 실었다. 빗해파리는 해양 무척추동물로 형태가 호두처럼 생겨 ‘바다의 호두’란 별명을 갖고 있다. 특이하게 빗해파리는 무지갯빛을 띤다. 움직이는 섬모가 있는 띠가 빛을 산란시킨 탓이다. 표지는 빗해파리의 내부 신경 ... ...
[커버링클라이밋나우] 尹 대통령 "원전·수소 비중 높이고 CCUS 기술혁신 속도"
동아사이언스
l
2023.04.21
윤석열 대통령은 20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개최한 ‘에너지와 기후에 관한 주요 경제국 포럼(MEF) 정상회의’에 영상으로 참석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은 20일 “이제 기후위기는 전 세계 공통의 언어가 됐다”며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40% 줄이기 위해 원전과 수소 등의 비중 ... ...
[표지로 읽는 과학] 신소재 '맥신'을 합성하는 새로운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3.03.26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이번주 표지에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찍은 구형 모양의 나노물질 '맥신(MXene)'을 실었다. 주사전자현미경은 시료를 전자선으로 주사해 시료 표면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검출해 3차원 영상으로 표현한다. 맥신의 2차원 층은 수직으로 쌓인 다음 미세한 구형 구 ... ...
[과기원은 지금] KAIST, DGIST 2023년도 학위수여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17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학생들이 학위 수여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제공 ■ KAIST는 17일 오후 2시 대전 본원 스포츠 콤플렉스에서 2023년도 학위수여식을 개최한다. 이번 학위수여식은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3년 만에 졸업생 전체가 참여하는 행사로 진행됐다. 박사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전자구조 제어 기술을 통한 고성능 리튬-황 전지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1.20
이진우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KAIST 제공 ■ KAIST는 이진우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한정우 포스텍 교수, LG에너지솔루션 차세대전지연구센터 공동 연구팀이 통해 기존 대비 에너지 밀도와 수명 안정성을 대폭 늘린 리튬-황 전지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팀은 리튬 폴리 설파이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산화탄소로 만드는 생분해플라스틱
2023.01.10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학술지 ‘네이처’는 2023년 새해 첫 호인 5일 자에 다소 김빠지는 연구 결과를 실었다. 출간되는 논문과 특허의 파괴성(disruptiveness)이 갈수록 떨어진다는 것이다. 파괴성은 기존 연구 성과나 이론을 뒤집을 혁신적인 결과를 뜻하는 용어다. 한마디로 연구 경향이 혁신보다는 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탄소에 대한 저주, 도 넘었다
2022.12.07
많은 사람들이 탄소를 악마로 인식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지구를 뜨겁게 달아오르게 만들고 있는 ‘탄소’에 대한 사회적 거부감이 심각하다. 지구촌의 산업현장과 일상생활에서 탄소를 퇴출시켜 버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국제 사회에서 상당한 설득력을 얻고 있다. 탄소를 줄이자는 ‘저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