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성
특질
특색
성격
개성
성질
기질
스페셜
"
특징
"(으)로 총 801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대우받을 '자격'이 있다고 믿는 사람들
2024.02.03
바라는 사람들이 있다. 흔히 ‘자격 의식(sense of entitlement)’이 심한 사람들이 보이는
특징
이다. 이들은 흔히 주변 사람들에게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며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를 입히더라도 자기 자신의 이익만 챙기는 이기적인 모습도 자주 보인다. 또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비윤리적인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대인 유골에서 발견된 다발성 경화증의 기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1.13
주요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동양인과 흑인에게선 발생률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특징
도 있다. 얌나야족이 가진 다발성 경화증 유전자는 과거에는 이들의 생존을 도왔을 것으로 추정됐다. 이들이 주식으로 삼았던 양이나 소를 통해 전파되는 전염병에 걸리지 않도록 면역력을 제공했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에게 건포도를 주면 안 되는 이유
2023.12.27
대신 뭔가 풍부함이 부족하고 철망으로 건더기만 분리하는 프렌치프레스는 그 반대
특징
에 찌꺼기가 남는 단점이 있다. 책의 저자는 집에서 프렌치프레스로만 커피를 마셨다고 한다. 그런데 2020년 발표된 한 논문을 읽고 충격을 받아 그 뒤로는 드립 커피만 마신다고 한다. 노르웨이 사람 50여만 명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포유류 최초' 생쥐의 뇌세포 지도 완성
동아사이언스
l
2023.12.16
유전적 변이
특징
이 발견됐다. 인간, 원숭이 등의 유전자와 비교한 결과 이같은
특징
은 동일하게 관찰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연구팀은 다발성 경화증 등을 일으키는 유전적 변이가 포유류 전반에 공통으로 존재한다고 결론을 냈다. 연구팀은 이번에 완성된 생쥐 뇌세포 지도는 인간을 포함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힘든 경험'이 자신 전부를 설명하지 않는다
2023.11.25
사건을 겪고서도 잘 회복하고 되려 이를 통해 더 ‘성장’했다고 하는 사람들의
특징
에 대한 연구를 본 적이 있다. 다양한 연구들에서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이야기하는 요인은 끔찍한 경험에서도 어떤 ‘의미’를 발견하는 것, 삶을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 이어가는 것, 또 이 사건 하나만 가지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겨울철 당기는 피부도 촉각일까
2023.11.15
낮에도 5도 내외다. 이처럼 추위가 찾아오면 동시에 공기도 건조해지는 게 우리나라의
특징
이다. 그러다 보니 피부 관리에 소홀하면 문제가 생긴다. 고온다습한 여름을 나는 건 고역이지만 대신 씻고 나서 굳이 로션을 바를 필요가 없다. 그런데 요즘은 씻고 나서 그냥 두면 피부가 당기는 불편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금화조의 구애에서 발견한 도파민 분비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3.11.11
잘 적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른 무리의 새와도 마찰 없이 잘 지낸다.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구애를 할 때는 좋은 소리로 노래를 부른다는 것이다. 제시 골드버그 미국 코넬대 교수가 이끄는 공동 연구팀은 음주, 노래, 구애와 같이 뇌의 보상회로를 자극하는 각 활동이 이뤄질 때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상대 행동에 '악의적 해석'하는 사람들
2023.11.04
경우가 많다. 이는 성격 특성 중 신경증(neuroticism)과 관련된
특징
이기도 하다. 이런
특징
을 가진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결혼했을 경우 관계의 질이 별로 좋지 못하고 자신의 행복도가 낮을 뿐 아니라 ‘상대의 행복도’ 또한 낮추는 경향을 보인다. 결과적으로 비교적 높은 이혼율을 ... ...
[일상 속 뇌과학] 보잘것 없는 생물도 배우고 기억할까
2023.10.27
자라나는 모습을 관찰한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doi.org/10.1104/pp.41.6.1014). 이 식물의
특징
은 줄기를 문지르면 빠르게 감기는 것인데 이 때 빛이 충분한 환경이 필요로 하며, 어둠 속에서 줄기를 문지르면 당연히 줄기는 감기지 않는다. 콩의 줄기가 외부 환경에 반응하여 감기기 위해서는 빛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의 '에이즈' 치료제는 폐기처분된 항암제
2023.10.22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과정에서 얻은 지식이 언제든 재활용될 수 있는 점이 의학의
특징
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1. Samuel Broder. The development of antiretroviral therapy and its impact on the 2. HIV-1/AIDS pandemic. Antiviral Research 85(1):1, 2010 2. 세계보건기구 웹싸이트. https://www.who.int/home/search?indexCatalogue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