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곤충의 몸도 뚫는 거미의 송곳니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독일 막스프랑크 콜로이드 계면연구소 피터 프레젤 교수 연구팀과 오스트리아 비엔나
기술
대 연구소는 이처럼 거미의 송곳니가 강력한 이유를 밝혀낸 논문을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터리얼스’ 4월 17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브라질 늑대 거미의 일종인 ‘쿠피니어스 살레이(Cupiennius salei)’의 ... ...
꽃집 장미는 모두 성형미인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붙이면 줄기나 잎도 꽃잎처럼 화사한 색을 가진 식물체를 만들 수 있다.유전자조작
기술
을 이용한 성형수술의 용도는 미용만이 아니다. 실내공기를 정화하고 토양 속 중금속을 정화하는 기능성 식물을 만드는데도 이용되고 있다. 2011년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의 이수영 농업연구사는 산화방지효소를 ... ...
반도체 행성 3D 대공사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있다.반도체는 얼마나 더 발전할까. 오래전 반도체의 한계라는 말이 유행했지만 반도체
기술
자들은 나노 공정에 진입하며 그 한계를 뛰어넘었다. 22나노 공정이라는 막다른 길에 도달하자 설계 구조의 패러다임을 바꿨다. 3D 트랜지스터 다음은 무엇일까. 어떤 구조가 등장할지, 아예 반도체 물질을 ... ...
차세대 연료전지 나노
기술
로 상용화 앞당긴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글쓰기, 책읽기를 게을리 하지 않았으면 합니다.”성 교수는 10년 뒤에는 연료전지
기술
이 가파르게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금 고등학생들이 연구자의 길로 들어선다면 본격적으로 연구를 시작할 시기다. 성 교수는 현재 고등학생들이 관심을 가지고 지켜볼만한 분야라며 연료전지에 매력을 ... ...
나는 과학고로 대학간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등을 운영한다. R&E 과정도 있다. 대학 교수 및 박사급 연구 인력의 전문적 지도와 과학
기술
첨단 시설 설비를 활용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준다. 다양한 과학 동아리 활동을 통한 탐구활동, 해외 이공계 대학 탐방 등 다양한 경험과 수월성 교육이 이뤄지도록 힘쓰고 있다. 이와 같이 ... ...
과학을 품은 조선 온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게다가 미래의 씨앗까지 가져왔다고? 명예기자들이 조선 온실을 통해 우리나라 농업
기술
이 얼마나 뛰어난지 알리고 농업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달았구나! 나도 명예기자들을 통해 농업의 중요성에 대해 다시 한 번 더 느끼게 되었도다. 여봐라~, 자랑스러운 명예기자들에게 큰 상을 내리거라 ... ...
난 게임 하면서 수학 공부한다! 제3회 온라인수학게임대회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문제의 난이도에 따라 가중치도 있으니 참고하자. 지난해 대회에서 최고상인 교육과학
기술
부장관상을 받은 서윤지(경북 포항 제철서초 6), 김호준(서울 영도초 5) 학생에게 고득점 비법을 들어 봤다.비법1. 빠른 시간 안에 계산할 수 있도록 미리 연습하기!김호준 : 게임은 미션을 얼마나 잘 ... ...
슈퍼컴퓨터보다 뛰어난 양자컴퓨터가 소인수분해한 수는?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계산 알고리즘으로 소인수분해를 한 가장 큰 수는 21에 불과했다. 그런데 최근 중국 과학
기술
대 연구팀은 새로운 양자 계산 알고리즘을 개발해 세 자리 숫자인 143을 11과 13으로 소인수분해 했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양자 알고리즘으로 좀 더 큰 정수의 소인수분해를 할 수 있을 ... ...
아이디어가 번쩍! 수학적인 특허소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중에
기술
과 수학을 잘 조합해 많은 발명품을 만든 헤론을 추천합니다. 수학이면 수학,
기술
이면
기술
! 두 가지 능력을 모두 갖춘 사람이니까요.응용수학의 선구자 헤론고대의 수학자 헤론의 수학은 이론을 넘어서 응용분야에 관심이 많았다. 수학적인 지식과 사고력을 기초로 기계 발명에 혼신을 ... ...
Intro. 해양 미션 임파서블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없다면 어떨까. 상상 속에서만 존재했던 ‘해저도시’가 절실해진다. 현재 과학과
기술
이 해저도시를 만들 수 있을까. 육지에서처럼 편안하고 안전한 바다 생활이 보장될 수 있을까. 비현실적이고 불가능한 상상을 가능케 하는 과학과 공학의 세계 속으로 ‘풍덩’ 빠져보자.▼관련기사를 계속 ... ...
이전
496
497
498
499
500
501
502
503
5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