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살찌지 않는 건강식 문어과학동아 l2010년 03호
- 습성 때문에 다리가 떨어져나간 것이다. 그런데 문어의 수놈은 8개의 다리 중에서 다른 7개의 다리보다 짧은 다리를 하나 가지고 있다. 이 다리를 생식팔 혹은 교접팔이라고 한다. 생식팔은 수놈의 생식기 역할을 하는데, 다른 팔보다 가늘고 끝부분에 빨판이 없다.수놈은 생식팔을 사용해 외투막 ... ...
- π-day 파티에 입장! 오늘의 주인공, 파이를 만나자!수학동아 l2010년 03호
- 이름이지.파이의 날은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이미 널리 퍼진 기념일이야. 기념파티는 1987년 3월 14일 샌프란시스코 과학관에서 시작됐어. 은퇴한 물리학자 래리 쇼 박사가 처음으로 이 행사를 주관했지. 그 뒤로 샌프란시스코에서는 파이의 날을 기념일로 정해서 매년 행사를 열고 있어. 올해는 22번째 ... ...
- [허풍의 퍼즐 세계일주] 찰스와 시계공장수학동아 l2010년 03호
- 규칙만 알면 금세 고칠 수 있겠어.”“정말? 아까 11시에 1시, 12시에 3시 30분, 1시에는 7시 15분이었어. 지금이 2시인데 1시 45분이야.”“아~, 그럼 1시간 뒤에 몇 시를 가리킬지 규칙을 통해 알아보자. 그리고 1시간 뒤에 확인해 보면 시계가 규칙적으로 움직이는지 알 수 있잖아.” 2. 초콜릿마을 ... ...
- 고민타파! 키에 대한 모든 것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3호
- 때 치료가 필요한지 알아보자.1년에 4㎝는 커야 해만 2세 이후부터 만 4세까지는 1년에 약 7㎝ 정도 자라고, 이후부터 사춘기까지는 1년에 5~6㎝ 정도 자라는 게 보통이야. 사춘기 동안에는 빠른 성장이 일어나면서 남자는 약 25㎝, 여자는 20㎝ 정도 자라게 돼. 사춘기가 지나면 성장이 멈추기 때문에 ... ...
- π-day 즐기기 1 파이 체험하기수학동아 l2010년 03호
- 얻은 숫자를 말해 볼래? 3.156? 3.153이라고? 너희들이 측정을 훨씬 잘했구나. 나는 3.179…가 나왔어. 끝까지 나눠지지는 않지만 소수점 아래 두, 세 번째 자리까지 보니 동그란 물건마다 다들 비슷비슷한 값이 나오잖아~! 이론적인 값 3.141592…와는 살짝 차이가 있지만, 이게 바로 원의 둘레에 대한 ... ...
- π-day 즐기기 2 원주율에서 나를 찾자!수학동아 l2010년 03호
- 분수로는 정확히 나타낼 수 없는 무리수라는 사실이 1767년에 독일 수학자 람베르트에 의해 만천하에 공개됐지. 그런데 나에 대한 사람들의 호기심은 계속되고 있어. 요즘도 슈퍼컴퓨터를 동원해 누가 더 많은 자리값을 알아 내는지 경쟁해. 그 기나긴 파이값 속에는 온갖 재미있는 수의 배열도 있어. ... ...
- 측정과 어림, 통계의 시작수학동아 l2010년 03호
- 전국초등학교, 중학교 학생 5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맛있다’라는 결과가 75%를 차지했어요. 이는 98% 신뢰수준에 오차범위가 ±5%포인트였다고 합니다. 여러분도 솔깃한가요? 그럼, 통조림을 맛보러 가 봅시다!근삿값에 대한 개념트리근삿값 구하기는 통계에서 중요합니다. 근삿값은 실제로 ... ...
- 지구의 붉은 눈물수학동아 l2010년 03호
- 화산학자들은 산 주변에서 지진의 횟수가 늘고 증기가 새어 나오는 것을 발견했다. 6월 7일 산의 한 쪽이 부풀어 오르자 화산의 30km이내에 살고 있는 사람들을 피난시키기 시작했다. 5일 뒤 발생한 폭발의 결과, 화산재는 40km 떨어진 곳에도 30cm두께로 쌓였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π와 함께 ... ...
- 숫자로 풀어 보는 바둑의 원리수학동아 l2010년 03호
- 과 같이 된다. 이번에는 의 경우보다 두 돌의 간격을 더 넓힌 과 의 경우를 보자. 주어진 숫자의 크기를 보더라도 의 경우가 이나 의 경우보다 더‘효율적’임을 알 수 있다. 효율적이란 말은 두 돌이 미치는 힘이 더욱 넓고 크게 퍼져나갈 수 ... ...
- 현재의 과학적 상상력은 왜 과거만 못할까과학동아 l2010년 03호
- 것도 앞으로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식의 대통합 vs 전문화 1997년 미국 하버드대 교수인 사회생물학자 에드워드 윌슨은 ‘컨실리언스(Consilience)’라는 책을 내놓으며 ‘지식의 대통합’이라는 학문의 가장 오래된 화두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모든 학문의 아버지로 이름을 올리고 ... ...
이전4964974984995005015025035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