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Future] 한국 온 지 9개월, ‘닥터 왓슨’ 뭐하세요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많이 모으는 일도 중요하지만 빅데이터로 무엇을 할 수 있을지가 더 중요하다”며 “
사람
의 뇌가 여러 기억을 모아 통합적인 예측을 하듯, AI도 데이터를 이용해 병의 발생이나 예후를 현재보다 정확하게 추측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AI가 현대의학도 완벽하게 해결하지 못하는 난치병에서 ... ...
[Culture] 명상과 전두엽의 과학적 관계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인지 기능을 담당한다. 때문에 전두엽이 발달한
사람
은 자신의 일을 포함해 다른
사람
과의 관계를 유지할 때 유연하게 대응한다. 이는 청소년 인성교육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최근 사회적 문제로 부상한 스마트폰 및 게임 중독도 명상을 통해 완화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인수 ... ...
[수학뉴스] 흑백 사진 속 색깔 찾아주는 인공지능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정한 색이지만 나머지 부분은 자연스러운 색깔을 띠는 컬러 사진으로 바꿨어요. 게다가
사람
들이 흔히 떠올리는 색을 탈피한 작품도 만들 수 있었어요. 교수팀은 용량이 큰 이미지를 무리 없이 다룰 수 있는 방법을 찾으면 이 콘볼루션 신경망이 이미지 산업에 널리 쓰일 것이라고 전망했어요 ... ...
Part 1. 아무도 모르는 우주의 모양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둥글 거라 믿었다. 어떤
사람
은 정이십면체인 축구공 모양이라 생각했다. 또, 어떤
사람
은 정십이면체 모양이 타당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과연 우주가 어떤 모양인지 알아낼 수 있을까?우주의 모양을 관찰하려면 우주 밖으로 나가 우주를 관찰해야 한다. 지구 밖 우주에서 지구를 바라본 것처럼 ... ...
날아가던 새가 야구공에 맞을 확률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주장했지만, 누가 봐도 그건 새똥이었다. 그리고 3년 뒤 이 사건을 대대적으로 다룬
사람
들이 나타난다. 축구와 관련된 영상을 만들어 소아함 환자를 돕는 ‘슛포러브’다. 이들의 설명은 꽤 정교하고 수학적이었다. 슛포러브팀은 애슐리 영 선수 입에 똥을 싼 새는 상공 11.27km까지 날 수 있는 ... ...
네 감정을 맞혀볼까? 취조실에 나타난 표정분석기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한 장. 하지만 이 알고리즘도 한계가 있습니다. 무표정이 아닌 다른 표정을 억지로 짓는
사람
의 가짜 표정은 구분해내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표정 종류에 관계없이 가짜표정을 구분해내는 연구도 진행 중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올해 처음으로 가짜 표정과 진짜 표정을 잘 구별하는 ... ...
Part 1. 택시가 낸 수학 문제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사실을 들킬까 봐 조마조마했는데 벌써 걱정입니다. 앗, 잠깐 택시 기사님, 여기 탈
사람
있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알아두면 쓸모 있는 신비한 수학사전 알쓸신수!Part 1. 택시가 낸 수학 문제Part 2. 두 유 노우 ‘김치’?Part 3. 런웨이에 선 ... ...
[DJ CHO의 롤링수톤] 자우림의 ‘17171771’ 숫자 암호와 사랑 고백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숨기는 카이사르 암호도 단순하지만 유명한 암호지요. 1990년대 삐삐를 이용하던
사람
들도 참 다양한 방법으로 암호를 만들었습니다. 사랑한다는 표현도 다양한 숫자 암호로 나타냈지요. 슬프게도 이별을 고하는 메시지도 있습니다. 유사한 발음을 이용한 메시지 012982(영원히 굿바이) 처럼요. 171 ... ...
[SW 기업 탐방] 흙 없이 잘 크는 기특한 반려식물 피스찰리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물을 주는 불편한 방법을 더 좋아했다. 나날이 챙겨야 하는 부담감을 줄이되 키우는
사람
의 역할은 남겨두는 피스찰리의 전략이 반려식물 문화를 널리 퍼뜨릴지 지켜보자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9호
해요. 이때는 X-선을 이용하지요. ‘단백질 결정학’이라고 부르는 이 분야를 개척한
사람
은 영국의 과학자인 도로시 호지킨이랍니다.1910년 5월 12일에 태어난 호지킨은 옥스퍼드대학교에서 화학을 전공하고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박사 과정을 시작했어요. 그리고 1934년, 위에서 소화를 돕는 효소인 ... ...
이전
497
498
499
500
501
502
503
504
5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