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뉴스
"
에너지
"(으)로 총 7,477건 검색되었습니다.
UNIST, 접는 천연색 발광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17
좋으며 색조절도 간편해 디스플레이에 천연색 이미지을 표현할 수 있다. 전기
에너지
를 빛
에너지
로 바뀌는 부분을 뜻하는 ‘활성층’으로 페로브스카이트를 활용하는 PeLED가 많이 개발됐다. 기존 PeLED는 금속 전극의 한계로 유연성이 낮고 불투명했다. 연구진은 투명하고 유연한 은나노와이어와 ... ...
아·태지역 미세먼지건강 문제 연구할 WHO 전문센터 서울에 들어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6
거쳐 올해 5월부터 본격 업무를 시작한다. WHO 아·태 환경보건센터는 대기질·
에너지
·보건, 기후변화·보건, 물·생활환경 등 3개 팀으로 운영된다. 아·태 지역의 환경오염과 기후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과학적 정보와 증거 확보, 환경오염 저감과 건강증진을 위한 지침과 정책방향 ... ...
25억년 전, 미생물은 황으로 호흡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6
들어 황산염 호흡 미생물은 황산이온(SO42-)을 물(H2O)와 황화수소(H2S)로 바꾸는 과정에서
에너지
를 얻는다. 지구는 45억 년 전 탄생한 뒤 약 20억 년 동안 대기 중에 산소가 거의 없는 환경이었으므로, 이 같은 무산소 호흡을 하는 미생물이 많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황산염 호흡 미생물도 최소한 35억 년 ... ...
건축물처럼 쌓아 만든 고효율 '수직형 다이오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16
오른쪽 상단)팀이 전자수송 특성 실험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에너지
손실은 최소화하면서 매우 높은 온도 등 극한환경에서도 작동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수직형 다이오드’를 국내 연구팀이 최초로 개발했다. 초박형 디스플레이나 태양광 패널 등 거친 환경에서 ... ...
배터리 충전 없이 체온으로 웨어러블 기기 24시간 작동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5
통해 흡수한 열
에너지
를 전기
에너지
로 변환한다. - 자료: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처럼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었던 것은 사람 피부의 땀샘 형태를 모사한 덕분이다. 일반적인 형태의 패치를 피부에 붙이면 구조 차이에서 비롯된 미세한 틈 때문에 열 손실이 생긴다. 연구진은 피부에 맞닿는 얇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 몸에 운동이 필요한 이유
2019.01.15
건강을 위해 매일 따로 ‘1만 보’를 걷거나 이에 상응하는 운동을 해야 하니 시간과
에너지
낭비가 아닐 수 없다. ‘뭐 우리만 그런가? 동물인 이상 움직여야지...’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미국의 월간과학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 실린 글에 따르면 우리 인간은 유독 많은 신체 활동을 ... ...
본조르노 MIT 교수 "기후변화 막기 위해 재생
에너지
와 원자력 함께 가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1.14
한국형 신형가압경수로 ‘APR1400’과 같은 고효율 신형 원자로를 설치한다면 한국에서
에너지
부분의 탄소배출량을 현행의 5분의 1로 줄일 수 있다"고 제시했다. 이날 열린 심포지엄에는 본조르노 교수 외에도 데이비드 프티 미국 아이다호국립연구원(INL) 연구원과 존 파슨스 MIT 슬론경영대학원 ... ...
쥐가 움직일 때 변화하는 뇌 신경세포 관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1.14
게 특징이다. 과학자들은 지금까지 small GTPase 활성을 관찰하기 위해서 ‘형광공명
에너지
전달(FRET)’이라는 방식을 이용했다. 이는 2가지 형광단백질 간 형광 세기 변화 비율을 측정해 세포 활성화를 관찰하는 기법이다. 그러나 FRET 방식은 광유전학을 적용하기 어려웠다. 광유전학은 빛을 이용해 ... ...
中, 창어4호 달착륙 당시 영상 공개…표면 온도 측정 돌입
동아사이언스
l
2019.01.14
데이터를 가지겠다는 의도로 분석된다. 탄메이 중국공간기술연구원은 “창어 4호는 태양
에너지
가 부족한 밤에는 중국과 러시아 과학자들이 함께 만든 방사성동위원소 열원을 이용해 온도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중국은 이번 창어 4호의 달 뒷면 착륙 성공으로 미국과 러시아보다 앞서 세계 ... ...
여당 중진 건설재개 요청한 ‘신한울 3·4호기’ 어떤 원전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1.14
상반된 주장을 내놨기 때문이다. 송 의원의 발언에 대해 민주당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
전환산업 육성특위 위원장을 맡고 있는 우원식 의원은 “송 의원의 발언에 대해 유감으로 생각한다”는 페이스북 글을 올려 여당 내부 갈등도 드러났다. 이에 따라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가 이슈가 되고 ... ...
이전
499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