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d라이브러리
"
확인
"(으)로 총 8,489건 검색되었습니다.
2010 개인게놈 시대 개막 선언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얼굴 반을 덮은 수염과 연한 녹색 눈, 키가 190cm는 돼 보이는 거구(나중에 PGP 사이트에서
확인
해보니 193cm였다!)의 하버드대 의대 유전학과 조치 처치 교수를 GET 컨퍼런스가 열리기 전날인 4월 26일 그의 연구실에서 만났다. 처치 교수는 대학원생 시절인 1970년대 중반부터 지금까지 DNA염기서열분석 ... ...
걸어 다니는 발전기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1mW=10-3W)를 생산한다.카자카리 교수는 “이 기술은 라디오파를 쓰는 센서나 위성위치
확인
시스템(GPS)센서 같은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며 “현재 휴대전화 수준의 휴대기기에 전기를 공급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
어느 6 · 25 참전군인의 60년 만의 귀향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만들고 있는, 전사자 유해와 유가족의 DNA샘플의 데이터베이스가 거의 전부입니다. 신원
확인
은 자료와의 싸움과도 같습니다.” 이어 그는 “해외에 비해 국내에는 유해 발굴과 감식에 꼭 필요한 법의학과 체질인류학을 전공한 기초과학자들이 턱없이 부족하다”며 “우리 시대의 진정한 실사구시 ... ...
[culture] 한여름 기운 되찾아주는 패류의 왕 전복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있는 먹을거리였다는 사실은 조개무지에서 전복 껍데기가 흔히 발견되는 것으로 쉽게
확인
할 수 있다. ‘산에는 산삼, 바다에는 전복’, ‘진시황이 찾던 불로초가 전복’, ‘중국의 황제 왕망이 나라가 망할 위기에 처하자 근심으로 식욕을 잃어 오로지 전복만으로 끼니를 때웠다’는 이야기도 ... ...
개인게놈 시대 미리 맛보기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원장은 최근 ‘네이처’에 기고한 글에서 “SNP 칩은 유전성이 있는 질병의 일부만을
확인
할 수 있지만 관련 데이터베이스가 빠르게 늘고 있다”며 “이를 반영해 소비자에게 직접 유전적 위험성을 예측해주는 서비스는 얼리어답터에게 매력적인 상품”이라고 평가했다. 세계 최초 전체 게놈 분석 ... ...
꿀벌보다 못한 인간의 선거방식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여러 가지 정보를 무시하고 단지 외모만으로 뽑는 이유가 어릴 적 버릇 때문이 아닌지를
확인
하고 싶었다. 연구팀은 2002년 프랑스 의회선거에 나선 출마자들을 이용했다. 그리고 스위스인의 어린이와 어른을 실험에 참여시켰다. 먼저 첫 번째 실험에서는 684명의 어른을 대상으로 했다. 연구팀은 ... ...
날갯짓 하는 로봇새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수 있게 됐다. 바람이 불더라도 어느 정도 안정성을 유지하며 비행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
됐다.군사작전이나 화성탐사에 활용 가능로봇새 비행체는 고정익 비행체와 회전익 비행체의 장점을 모두 갖췄다. 고정익 비행체인 정찰기는 일단 저속으로 비행하는 게 어렵고, 조그마한 틈으로 들어가지 ... ...
멸종위기종 산양의 복원 현장 설악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산양과 염소에도 이 마커들을 적용해봤다. 그 결과 11개 마커가 잘 들어맞는 것으로
확인
됐다. 또 이 실험을 통해 우리나라 산양은 일본 산양과 속이 다르다는 결과도 얻어냈다. 이 교수는 “개체 검사는 어느 지역에 산양이 몇 마리가 살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 효과적인 도구이고 집단 간 DNA 분석이 ... ...
끼고 자기만 해도 눈이 좋아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안과 검진을 받아야 한다. 보통 3~6개월마다 시력과 각막의 변화를
확인
하고, 각막의 건강 상태를 검사한다. 렌즈 표면에 흠집이 생기지 않았는지, 모양이 변하지 않았는지도 꼭 점검해야 할 부분이다. 렌즈의 수명은 2년 내외다. 정기적인 검사가 중요한 또 다른 이유는 ... ...
2010 노벨상 석학 대중강연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학생 시절 ‘과연 우리 세포 안에 있는 단백질은 무엇일까’라는 의문을 품었다. 이를
확인
하려면 세포 내 단백질 생성 공장인 리보솜의 구조부터 밝혀야 했다. 결국 그는 1970년대 말 누구도 시도하지 못했던 리보솜 구조 연구를 시작하기로 결심했다.모두가 무모하다고 했던 연구는 뜻하지 않은 ... ...
이전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