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방
구역
지대
지구
고장
존
시골
d라이브러리
"
지역
"(으)로 총 6,49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진징후 5가지 현상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이러한 주요 구조물에 내진설계 규정의 법적 강화가 전혀 없는 상태다.따라서 서울
지역
에 홍성지진이나 황해지진과 같은 규모의 지진이 발생한다면 그 피해는 엄청날 것이다. 이 문제를 우리 세대에 해결하지 않으면 우리는 후손에게 무서운 지진공포를 넘겨주게 된다.지진대비책으로는 다음 ... ...
1. 두개골 비슷, 첫 발견때부터 파충류 분류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살기에는 부적합했을 것이다.또한 오스트레일리아 남부에서 발굴된 공룡의 경우도 그
지역
이 백악기에는 오늘날보다 위도가 최소 35-40도 남쪽에 위치하여 상당히 추웠을 것이므로 공룡의 생활습성에 관한 여러가지 추측을 낳고 있다. 극지에 생존했던 공룡은 동면을 했거나 따뜻한 곳으로 ... ...
"자연과 인간 함께 사는 방법을 배웠다"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그리고 효과적인 탐사를 위해서 미리 오리엔테이션을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이번 탐사
지역
은 어느 새가 많으니까, 무슨 새는 여기서만 볼 수 있으니까 유의해서 미리 공부하라든가, 또 쌍안경과 망원렌즈는 어느 규격품을 사라든가 등을 오리엔테이션 시간에 알려주면 실속있는 탐사가 될 것입니다 ... ...
기상이변의 말썽꾼 엘니뇨 현상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적도
지역
의 약$\frac{1}{3}$을 차지하는 태평양상의 중규모 순환의 파동은 세계 각
지역
으로 전달돼 곳에 따라 홍수 가뭄 또는 혹서와 냉해현상을 일으킨다. 이에 따라 세계적인 기상이변이 더 많이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셋째는 대기중 온실기체 증가로 인한 지구 온난화 때문으로 볼 수 있다. 1991년 ... ...
음식물 쓰레기 처리의 과학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혼입으로 인한 가축피해 우려 등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또한 대도시
지역
에서는 운반상의 문제가 음식물 찌꺼기의 사료화에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사료의 상당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사료화는 매우 바람직한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 분야다.음식물 ... ...
옛지도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그리고 청구도는 우리나라 전체를 한장으로 그리지 않고 1백리와 70리의 방안에 해당하는
지역
을 책의 1쪽으로 하여 상하 2권의 책으로 만들었다. 이러한 방식은 현재 우리나라의 5만분의 1 지형도를 7백여매로 나누어 그리는 것과 같은 원리다. 다만 5만분의 1 지형도는 낱장으로 되어 있으나 청구도는 ... ...
특수공법건축 지진 이겨낸다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확보하는 면진 기술(免震技術)도 실용화되고 있다(그림1).내진설계의 중요성은 지진 피해
지역
에서 명확히 드러나고 있다. 일본 효고현 남부대지진에서도 내진설계가 잘된 최근에 지어진 건물들은 큰 피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3년 있었던 괌섬의 규모 8.2의 대지진시에도 내진설계가 잘된 ... ...
대양천문대 개관 기념 별밤 축제 개최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활용해
지역
주민들의 계몽에 앞정서는 것은 흔한 일"이라며 "이번 별밤 축제가
지역
사회의 과학문화 보급과 중고생들의 과학교육에 조금이라도 보탬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1. 일시:1995년3월7일(화요일)오후6시-9시2. 장소:세종대학교 대양홀, 대양천문대(서울 성동구 구의동 소재)3. ... ...
2. 온난화현상 일시적-곳곳서 빙하기 조짐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상승이 1.5-4.5℃에 달하리라 예측하고 있다.그러나 지구 역사를 통한 온도의 기록은 빙하
지역
이 확장되고 지구 온도가 곤두박질치는 빙하기가 우리 세대 어느 때라도 시작될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빙하기를 향하는 온도의 하강은 지금까지 알려진 점이적인 진행이 아니라 급격한 것이었기 ... ...
심해저 열수
지역
, 희귀생물의 보고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있기 때문에 '태양을 먹는 생물'이라 불린다. 70년대 후반 이후 심해의 열수(熱水) 분출
지역
에서 발견된 생물군집은 지각이 벌어진 틈에서 뿜어져나오는 메탄황화수소 등을 에너지 원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지구를 먹는 생물'이라 불린다.지금까지 생물이 없다고 생각되던 심해저에는 사실은 다양한 ... ...
이전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