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경로
경과
코스
절차
단계
진행
d라이브러리
"
과정
"(으)로 총 11,55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인공 뇌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시뮬레이션한 뒤, 뇌와 같은 원리로 작동하는 하드웨어를 만드는 3단계로 진행된다. 이
과정
에서 블루 브레인 프로젝트와도 긴밀하게 협력할 계획이다. 브레인스케일스의 하드웨어는 지름이 20cm인 실리콘 웨이퍼로 만든다. 각 웨이퍼에는 뉴런 512개에 해당하는 칩이 384개씩 들어간다. 웨이퍼 하나에 ... ...
미션따라 변신하는 팔방미인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앞으로 로봇의 인공지능은 단순히 주위 사물을 인식하는 것을 넘어 인간과 교류하는
과정
에서 로봇 주위의 상황을 스스로 인식하게 될 것이다. 일부에서는 인간의 감정을 이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정현철 매니저는 “인공지능의 수준이 높아지면 서비스 로봇에서도 LCD 모니터가 사라질 ... ...
우주에 또다른 내가 산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관측해 모으면 우주의 참모습은 밝혀질 것이다. 지금 독자인 우리가 할 일은, 이런
과정
을 책상에 앉아 읽으며 드넓은 우주를 상상하는 황홀한 체험을 놓치지 않는 일이다 ... ...
나는 왜 빛이 있는지 알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년 이상 오래된 암석을 찾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지구는 거의 확실히 태양이 탄생하는
과정
중에 생겼을 것이므로 지구보다 태양의 나이가 적다는 것은 아무래도 말이 되지않았다.한스 베테는 별 중심부의 환경에 대해 연구했다. 간단하게 계산하면 별 중심부는 온도가 대략 1000만℃ 이상으로 ... ...
프로젝트를 ‘장악’하는 힘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학부 수업은 혼자 만들고 그려서 발표하는 식이었기 때문에 다른 사람과의 의견조율
과정
자체가 낯설었다. 처음 만든 표는 허술했다. 하지만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표는 점점 정교해졌고 의견을 조율하고 일정을 관리하는 능력도 한 뼘씩 자랐다. 교수님은 ‘프로젝트를 장악해야 한다’는 말을 ... ...
건축학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지식을 쌓으며 각자의 관심분야에 대해 연구 논문을 쓴다. 대학원생은 석사와 박사 각
과정
마다 논문을 완성해야 한다. 석·박사학위 논문은 논문 제출자격시험에 합격하는 등 몇 가지 자격요건을 만족하면 낼 수 있다. 그리고 논문 심사를 거친다. 논문의 수준이 충분히 높으면 학위를 받을 수 있다.7 ... ...
더 빨리, 더 크게, 더 높이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구소련은 우주·비행 관련 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한 나라였죠. 우주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과정
에서 큰 부품을 나를 일도 많았습니다. 안토노프 AN-225는 이런 큰 부품을 나르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때로 우주왕복선을 싣고 날았죠. 이 비행기는 최대 이륙 중량이 600톤입니다. 엄청난 무게 때문에 ... ...
Part1. 작아서 강한 큐브샛, 인공위성 성능 뺨친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성공했다”고 말했다. 선 교수는 “미국은 이미 큐브샛 개발을 대학원이 아닌 대학 학부
과정
에서 진행할 정도로 대중화됐으며 우리나라도 올해 안으로 경연대회가 진행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크기도 역할도 깨알 같은 큐브샛Part1. 작아서 강한 큐브샛, 인공위성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문제를 풀려면 뇌와 같은 하드웨어, 즉 인공 뇌를 만들어야 한다. 인공 뇌를 연구하는
과정
에서 자연스럽게 뇌가 작동하는 방식도 이해할 수 있다. 아직 우리는 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도 잘 모른다.[인공 뇌에 우리 정신을 업로드한다면 육신이 죽어도 정신은 영생을 누릴 수 있지 않을까. 그러면 ...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개구리 알은 딱딱한 껍질도 없고 발생 시간도 짧기 때문에 이런 저런 조작을 하면서 발생
과정
을 연구하기에 좋은 대상이었죠.1960년대부터 발생학 연구에 이용된 개구리가 바로 아프리카발톱개구리(african clawed frog)입니다. 뒷발 발가락 3개에 검은 발톱이 달려 있어 이런 이름이 붙었죠. 남아프리카에 ... ...
이전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