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d라이브러리
"
지구
"(으)로 총 6,439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진은 도처에서
과학동아
l
199408
강진은 1만명을 죽음으로 몰고 갔다. 뉴욕 팰리세이드에 있는 라몬트-도허티(Lamont-Doherty)
지구
관측소의 레오나도 세버와 존 G. 암브루스터의 말에 따르자면, 이 지진은 사람들이 큰저수지에 물을 가득 채워넣었기 때문에 발생한 것인지도 모른다.그러나 다른 과학자들은 저수지가 위험하다는 견해에 ... ...
미래인간, 진화의 시나리오
과학동아
l
199408
준엄하게 경고하는 시나리오가 등장했다. 문명의 또 하나의 산물인 공해가 인간을 이
지구
상에서 더이상 살지 못하게 해 결국 인류는 절멸할 것이라고 예언한 듀갈 딕슨의 저서 '미래의 인간(MAN AFTER MAN)'이 그것이다. 비록 공상과학 소설같지만 이 이야기는 공해가 인간에게 어떤 무서운 결과를 ... ...
(1) 생태계 황폐화, 더 이상 살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408
있다. 딕슨이 제시한 가장 드라마틱한 상상은 인간이 공해로 인해 적응이 불가능한
지구
환경에서 유전공학과 의학을 이용해 인간개조나 새 인간 창조로 살아가고 진화해 간다는 것이다 ... ...
(4)
지구
떠나 새 행성을 살 곳으로
과학동아
l
199408
가버린다. 드디어
지구
위에는 생물이 모두 사라진다.그리고 다시 장구한 세월이 흘러서
지구
는 거대한 규모의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화산들이 폭발하게 된다. 해저화산의 부근에는 엄청난 에너지가 공급되기 시작하고 다시 미세한 박테리아와 같은 생물이 나타난다. 또다시 생명의 새로운 진화가 ... ...
한국곤충-삶의 신비
과학동아
l
199408
다양성을 낳는 본질을 이해하는데 중요성이 있고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지구
상에는 현재 전 생물의 4/5를 차지하는 약 1백50만종의 곤충이 보고돼 있다. 해마다 새로운 신종이 1천5백-1천8백여종씩 추가로 보고되고 있다.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는 곤충은 현재 약 1만5천 종 쯤 학계에 보고돼 ... ...
생물- 인류의 조상, 과연 원숭이인가
과학동아
l
199408
나타나고 마침내 인간으로까지 발전된 것이다.20억년전 과거로 노새를 타고 갈 수 있다.
지구
표면이 가장 깊게 갈라진 틈은 미국 서부에 있는 그랜드 캐년이다. 노새를 타고 가면 이 협곡 벼랑 끝에서부터 맨 밑바닥까지 하루가 다 걸리지 않는다.첫번째로 통과하는 암석은 이미 약 2억년이나 오래된 ... ...
(2) 2050년 바닷물 넘쳐 한반도 면적 준다
과학동아
l
199407
기회를 상실할 경우 우리는 이같은 재앙을 피할 수 없을지 모른다.기후와 환경의 변화는
지구
상의 대다수 인류에게 매우 심각한 생활의 어려움을 야기시킬 것이다. 더욱 우리의 마음을 무겁게 하는 것은 첫째, 그 변화가 현재 일어나고 있으며 또 앞으로 가속되리라는 전망이다. 만일 그 변화를 ... ...
혜성·소행성의 정체
과학동아
l
199407
7월17일 새벽 드디어 슈메이커-레비 혜성이 목성에 충돌한다. 수소폭탄 수천만개에 상당하는 에너지를 분출하는 이 충돌은 우리에게 어떤 교훈을 남길 것인가.
지구
를 위협하는 떠돌이 천체 소행성과 혜성의 모든 것을 알아보자. ...
(2) 혜성, 10여개 매년
지구
접근
과학동아
l
199407
발사했다. 인공위성을 이 혜성의 핵으로 투입해 큰 성과를 거두었다. 1986년 대접근시에는
지구
의 남반구에서 더욱 관측하기 쉬운 궤도를 가졌다. 천문 관측 기지가 북반구에 많이 있었던 탓에 약간의 실망을 안겨 주었다. 그러나 이 세기적인 천문 현상에 많은 나라가 합심하여 도전한 결과 큰 성과를 ... ...
"경제발전, 다양한 생물 보전서 비롯"
과학동아
l
199407
및 생태계 보전과 복구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연구와 교육 등이다."생물다양성은
지구
생태계 유지와 인류생존에 필수요소입니다. 심포지움에서 채택된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국가계획안'은 청와대와 환경처 및 과기처에 제출될 예정이며 향후 대대적인 국민운동을 벌여 나갈 계획입니다. ... ...
이전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