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Bridge. DNA 메틸화로 기자의 신상을 털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특히 최근에는 DNA에 메틸기가 붙으면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DNA 메틸화’가 그 사람의 연령이나 생활 습관을 기억한다는 연구 결과가 많이 나오고 있다(4파트 참조). 과학수사에서도 이런 좋은 정보를 놓칠 리가 없다. 기자와 익명을 요구한 H 기자, L 연구원의 DNA로 신상을 털어봤다.DNA ... ...
- Part 2. 몸 속 생태계의 주인 - 기생충의 귀환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실제로 우리가 기생충을 이용해 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갈 길이 멀어 보인다. 먼저 사람들의 기생충에 대한 혐오가 걸림돌이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기생충 자체가 아닌 기생충의 단백질을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 중이지만 기생충 자체를 이용하는 것보다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이다.지금까지 ... ...
- [매스미디어] SHOW ME THE MONEY 6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이 형식을 지켜야 해서 랩보다 더 엄격하게 리듬을 만들고 있다.이런 공통점 때문에 어떤 사람은 랩을 ‘입으로 표현하는 시’라거나 랩은 ‘노래와 시의 중간에 있다’고 말한다. 물론 랩은 노래로 부르는 게 목적이므로 시와 분명히 구분되지만 외국의 일부 대학교에서는 래퍼 카니예 웨스트가 쓴 ... ...
- [DJ CHO의 롤링수톤] NASA를 꿈꾸던 소녀, 우주를 노래하다!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새로운 지구를 찾기 위해 파견된 우주비행사에 관한 글이요.프로젝트를 시작한 사람들은 우주비행사를 재우고, 그가 잠든 사이에 우주선을 띄워 보냅니다. 하지만 우주선에서 깨어난 우주비행사는 혼란에 빠집니다. 500년 동안 잠들어 있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됐거든요. 노래가 흘러나오는 동안 ... ...
- Part 2. 유전자 조각 맞추기 퍼즐수학동아 l2017년 08호
- 그리고 마침내 20세기 후반에 인간과 유인원의 관계도 드러났습니다. 영장류에는 사람과로 분류되는 인간과 유인원 가족인 침팬지, 보노보, 고릴라, 그리고 오랑우탄이 있습니다. 그 결과 오랑우탄이 인간의 특징을 가장 적게 갖고 있고, 보노보와 침팬지의 DNA는 98% 이상이 우리와 같았습니다.이런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과학기술의 집합체, 휴대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저는 전문가 모드를 사용해요. 드론이 충돌하거나 추락할 경우 프로펠러가 손상되거나 사람이 다치는 것을 막기 위해서 프로펠러에 ‘가드’라는 액세서리를 붙여요. 프로펠러 가드를 붙이지 않으면 전문가 모드로 조종할 수 있어요.드론 파이터는 크기가 작아서 360° 회전이 가능해요. 또한, ... ...
- Part 4. 아이디어가 반짝! 착한 디자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신생아에게 털모자를 전달해 왔어요.반짝이는 아이디어로 이 아기들을 돕기 위해 나선 사람들이 있어요. 바로 광고 전문가 5~6명이 모여 만든 ‘아이디어 프리’가 그 주인공이지요.아이디어 프리는 태양열을 이용한 바구니인 ‘선큐베이터’를 생각해 냈어요. 바구니 안에 열 저장 능력이 뛰어난 ... ...
- [과학뉴스] 뇌가 크면 외국어를 잘한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연구팀은 아쿠아포린4 유전자의 발현이 적은 사람들도 연구한 결과, 이 유전자가 발달한 사람에 비해 뇌 크기가 작을 뿐만 아니라 언어 학습능력이나 유창하게 말하는 능력이 떨어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신경세포가 아닌, 비신경세포도 학습 역할에 크게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힌 이 연구 결과는 ... ...
- [Focus News] 햄버거병, 햄버거는 억울하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낮아일각에서는 햄버거만 HUS를 일으키는 것이 아니며, 동시에 제조한 햄버거를 먹은 사람 중 환자가 나오지 않았다는 점, 또 아이가 먹은 햄버거의 패티가 돼지고기라는 점을 들어 억측이라는 주장을 하고 있다.그 가운데 아이가 소고기가 아닌 돼지고기로 만든 햄버거를 먹었기 때문에 HUS와는 ... ...
- [Issue] 미국 개기일식, 과학자들도 ‘스탠바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빛을 흡수하거나 방출한다. 530.3nm의 파장은 당시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분광선으로, 사람들은 코로나에 새로운 원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원소의 이름을 코로늄(Coronium)이라고 붙였다.그로부터 70년 뒤, 코로늄은 새로운 원소가 아니라 전자를 13개나 잃어버린 철 원자라는 것이 밝혀졌다. ... ...
이전5035045055065075085095105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