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신
자아
자체
도자기
도기
자기자신
본인
d라이브러리
"
자기
"(으)로 총 5,818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루살이의 진짜 수명은?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뒤에 비둘기를 놓아주면 맑은 날에는 태양 나침반을 활용해 방향을 찾지만 흐린 날에는
자기
장 감각에 혼란이 생겨 집을 찾지 못하게 된다.비둘기는 일단 낯익은 장소에 돌아오면 한번 날아본 적이 있는 장소를 잘 기억하므로 기억을 더듬어 둥지로 찾아간다 ... ...
유인탐사를 위한 전초전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태양의 양극지역은 아직까지 한번도 관측되지 않은 곳으로 이번에 그곳의 태양풍과
자기
장을 관측한다면 우리는 태양의 전체 모습을 알아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우주선은 황도면을 떠난 공간을 비행하면서 태양의 입체적인 구조를 밝힐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마스 업저버(Mars Observer) 우주선은 ... ...
일본, 수륙양용 리니어모터카 구상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일본 규수(九州)대학 공학부를 중심으로 한가지 거창한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간토(関東) 간사이(関西) 규슈지방을
자기
부상방식에 의한 무인수륙양용 ... 일조한다.기술적인 문제는 거의 해결됐기 때문에 이 계획은 국철의 지상
자기
부상열차계획보다 빨리 실현될 가능성이 많다고 한다 ... ...
고슴도치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이솝우화는 능청스럽고 음흉한 고슴도치의 감춰진 성격을 잘 표현하고 있다. 겨울잠을
자기
도고슴도치는 보통 태어난지 8개월~1년이 되면 완전히 다 자란다. 발정기는 5~7월과 8~9월에 오는 것이 일반적이다. 발정기에 접어든 암컷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수컷을 찾아 다닌다. 때로는 오줌과 똥 등의 ... ...
동물전기설을 극복하고…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헤엄치는 사람(泳者)의 법칙'을 발표했다. 여기서 그는 '사람이 물속에서 전류의 방향과
자기
몸을 일치시켰을 때 전류가 발에서 머리쪽을 향해 흐르고, 또한 관찰자가 얼굴을 자침 쪽으로 향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전류는 항상 북을 가리키는 자침의 극을 왼쪽으로 치우치게 한다'라고 썼다. 이 ... ...
상품의 꼬리표 대신 DNA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PCR의 산업적 이용은 곧 실현될 전망이다. 가장 서두르고 있는 곳은 향수 회사.
자기
회사 상품인지 아닌지를 구별하기 위해 DNA꼬리표를 붙여 위조향수를 막겠다는 것이다. 또 꼬리표가 되는 DNA의 농도는 극히 낮아 위조회사들이 흉내내는 것이 거의 불가능할 만큼 안전장치 역할까지 한다.진품과 ... ...
1. 아무도 접근을 막을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그럴듯한 해커모임도 없었지만 그러한 사정은 제3세대에게 조금도 문제가 되지 않았다.
자기
침실에 컴퓨터를 설치할 수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무엇을 해킹하고 어떠한 해커 윤리를 선택하는가' 하는 문제는 해킹 그 자체를 통해 풍부해지는 내용에 의해 결정될 수 밖에 없었다.1980년 1월 켄 ... ...
1.판구조론으로 들어 본 지구의 숨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주도로 이뤄졌는데 몇가지 놀라운 사실이 밝혀졌다.그들은 암석중에 남아있는 잔류
자기
의 방행과 복각을 측정한 결과, 시대에 따라 극의 위치가 달라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처음에는 자극자체가 움직이는 것으로 생각했으나 얼마 후 지각이 이동하게 되면 마치 자극이 이동한 것처럼 보일 거라는 ... ...
2. 영화「워게임」이 실제 상황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만드는 과정에서 실력부족으로 미완성의 프로그램이 짜여져 이 프로그램이 무한정
자기
복제를 계속하거나, 장난으로 바이러스프로그램을 만들었는데 자신도 모르게 악성바이러스로 변형된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사상 최대의 바이러스사건은 1988년 11월 2일에 발생했다. 이날 저녁 미국의 주요 ... ...
뭘 먹느냐가 성격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민속의 하나인 축제도 역시 식품을 얻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크리스마스 때 각자
자기
집에서 케이크를 만들어 먹는 유럽인의 습관은 17세기 이후부터 생겼다는 설이 있다. 그 이전에는 영주 집에서 큰 케이크를 만들어 소작인에게 한쪽 씩 나누어 주었을 뿐이다 ... ...
이전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