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풀지 않고 필요한 정보 알아내는 암호 체계과학동아 l2010년 01호
- 뺄셈처럼 두 항을 연산해 하나의 새로운 항을 만드는 과정이다.예를 들어 함수 f (x)=7x는 다음 식처럼 덧셈구조를 덧셈구조로 그대로 유지해준다.즉 식의 왼쪽 편처럼 먼저 덧셈을 한(3 + 11) 다음에 f 를 적용한 결과인 f (3 + 11)이, 오른쪽 편처럼 따로따로 f 를 적용하고(즉 f (3)과 f (11)을 계산해 놓고) ... ...
- 지식과 논리 갖춘 창의력이 관건과학동아 l2010년 01호
- 밟으려면 중등 3년, 고등 3년, 대학학부 4년, 대학원 석사 2년, 박사 과정 평균 5년으로 총 17년의 시간이 소요된다. 이에 반해 영재교육 과정은 중등 2~3년, 영재학교(과학고) 2년, 대학학부과정 단축으로 2~3년, 대학원 석박사 통합과정 5년으로 약 12년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이러한 교육기회를 잘 ... ...
- 미래 대 예측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1호
- 북아메리카판의 경계이다. 두 판이실제로 갈라지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수 있다. ©Chris77여섯째 날 10억 년 뒤 인류의 흔적은?여섯째 날, 여우가 나를 데리고 간 곳은 지구 밖 우주였어. 그런데 우주 멀리에서 본 지구는 파란색이 아니라 노란색이었어. 이상하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여우가 설명해 줬어 ... ...
- 2부. 훌륭한 리더는 수로 다스린다!수학동아 l2010년 01호
- 세종실록에 측우기란 말이 처음으로 등장했을 때 알려졌어요. 그 길이를 1자 5치, 지름 7치로 한다고 명확히 밝혔습니다. 이 때 길이의 기준은 1자의 길이가 20.81cm였던 주척이었습니다.비가 온 양을 재는 방법도 문서로 명확히 남아 있습니다. 특히나 비의 양을 잴 때는 자· 치 · 푼까지 정확하게 재고 ... ...
- 미래 기후 예측 빙하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6호
- 빙하가 얼마나 줄어들었는지를 보여 주고 있다. 위의 사진은 2006년 7월(왼쪽)과 2007년 7월(오른쪽)에 알래스카 주 배로시 항구를 찍은 것으로, 빙하로 뒤덮였던 항구 앞바다가 1년 뒤에는 빙하가 모두 사라져 검게 나타나 있다. 위성사진을 분석해 보니 1년 만에 100만㎢의 빙하가 사라진 것으로 ... ...
- 특종! 맹꽁이 생태보고서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6호
- 우렁찬 소리를 내는 수컷에게 폭~ 안겨 짝짓기를 시작해.맹꽁이는 주로 비가 많이 오는 6~7월에 비로 생긴 물웅덩이나 도랑물에서 1년에 한 번 짝짓기를 해. 수컷이 암컷의 뒤로 가서 앞다리로 겨드랑이 아래를 껴안고 있으면 얼마 뒤 암컷의 몸에서 알이 나오지. 수컷은 그 위에 정액을 뿌려 수정란을 ... ...
- 1969 vs 2020 달을 향해 쏴라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3호
- 있습니다. 먼저 오는 7월 한국 최초의 우주발사체 KSLV-1(나로)로 인공위성을 발사한 뒤, 2017년까지 1.5톤짜리 탐사선을 쏘아 올릴 수 있는 KSLV-2를 만들 예정입니다. 이어서 2020년에는 달 궤도 탐사선을, 2025년에는 달 착륙선을 보낼 계획입니다.한편, 카이스트의 권세진 교수는 지난 해 11월 소형 달 ... ...
- 다윈은 아르헨티나에서 무엇을 보았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3호
- 박사님의 답사기를 통해 알아보세요~.1832년 7월 5일 리우데자네이루를 출발한 비글호는 7월 26일 우루과이의 몬테비데오에 도착했다. 다윈은 여기서 무엇을 관찰했을까?혹시 다윈의 흔적이 남아 있을까 싶어 몬테비데오의 역사박물관을 비롯한 10여 개의 박물관을 찾았다. 그러나 다윈과 관련된 ... ...
- 완전궁금! 올 여름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2호
-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올해부터 장마가 사라지기라도 하는 걸까요? 보통 6월 말에서 7월 말까지 비가 많이 내리는 기간을 장마 기간이라고 하는데, 최근 10년 동안 우리나라 기후가 변해 장마가 끝난 8월에도 비가 많이 내리게 되었답니다. 그래서 더 이상 장마가 끝났다고 알리는 게 의미 없게 ... ...
- Part 1. 편견 부수기수학동아 l2009년 12호
- 성별이 아닌 외형적인 차이가 수학 실력을 좌우한다는 주장도 있다. 영국의 연구팀은 7세 어린이 75명의 손가락 길이를 잰 다음 수학과 언어능력을 측정했다. 그 결과, 넷째 손가락이 긴 어린이는 수학 능력이 뛰어나고, 짧은 어린이는 어학 능력이 뛰어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엄마 뱃속에서 ... ...
이전5035045055065075085095105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