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간
도중
사이
틈
중도
동안기후
기후
d라이브러리
"
동안
"(으)로 총 9,45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 자연사 10대 사건
과학동아
l
200404
땅에는 30억년의 역사가 담겨있다. 그
동안
한반도에는 어떤 일들이 일어났을까?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과학동아는 과학의 달 4월을 맞아 공동으로 한반도 자연사 10대 사건을 선정했다. 국내 지질학자들이 땅속에서 찾아낸 한반도 과거와 미래의 사건을 만나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01. 맨틀에서 탄생한 한반도
과학동아
l
200404
대류가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다. 이 에너지 순환 때문에 지각은 지질시대
동안
모였다가 흩어지고 다시 어딘가에서 만나는 운동을 되풀이해 왔다. 따라서 태초 지구에 대한 연구에서 핵심 중 하나는 정밀한 고지도를 복원하는 일이다.고지도를 만들기 위해서는 당시의 주요 대륙에 대한 고지자기학, ... ...
05. 백악기 경상도는 공룡 천국
과학동아
l
200404
후기에 처음 지구상에 출현해 중생대를 마감하면서 모두 멸종했다. 이 기간
동안
알래스카에서 남극까지 모든 대륙에서 공룡이 번성했다.하지만 모든 나라에서 공룡 화석이 발견되는 것은 아니다. 공룡이 살았다는 사실과 화석으로 산출된다는 것은 전혀 다른 의미이기 때문이다.공룡화석을 ... ...
09. 간빙기가 베풀어준 천혜의 갯벌
과학동아
l
200404
1백41종, 규조류가 1cm2당 20만 개체가 서식하고 있을 정도다. 덕분에 우리 조상들은 그
동안
서해 갯벌에서 얻어낸 동식물로 호사스런 밥상을 차려왔다.육지였던 서해 이처럼 좋은 갯벌이 한반도의 서해에 넓게 형성된 까닭은 무엇일까? 여기에 답하기에 앞서 서해 바다를 먼저 얘기해야겠다. 갯벌은 ... ...
4층 높이 전자현미경 대덕에 등장
과학동아
l
200404
참가한 학생들에게 인기가 매우 높았다.이에 힘입어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은 그
동안
축적된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부터 ‘첨단장비 활용 연구 체험프로그램’을 종합적인 교육프로그램으로 확대시켰다.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 (표)와 같다 ... ...
꿈꾸고 성공한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0404
횡재한 화학자는 또 있다. 러시아의 드미트리 멘델레예프는 35세이던 1869년 2월 17일, 3일
동안
뜬눈으로 원소들 간의 규칙성을 연구하다 그만 잠이 들고 말았다. 그런데 낮잠에서 깬 후 무엇인가를 삽시간에 적어 내려갔다고 한다. 원자량과 비슷한 성질을 한데 묶는 수수께끼를 풀어낸 것이다. ... ...
두개의 혜성, 봄하늘을 가르다
과학동아
l
200404
되는 시기는 5월 하순부터이며 이번에는 초저녁 서쪽하늘에 그 모습을 드러낸다. 이 기간
동안
혜성은 고물자리에서 바다뱀자리로 빠른 속도로 이동한다. 동시에 서쪽하늘에서 급속도로 고도가 높아지므로 관측 조건은 나날이 좋아진다. 5월말 혜성의 밝기는 4등급대로 4월말에 비해 다소 어두워져 ... ...
미래 문화 이끌 제품 기획하는 곳
과학동아
l
200404
이뤄지는지를 조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도 개발했다.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서핑하는
동안
마우스가 어떻게 움직였는지가 기록으로 남게 되는데, 이를 ‘마우스 트랙커’라고한다.이처럼 KAIST 인간중심 인터랙션 디자인 연구실의 연구원들이 새로운 제품을 디자인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과정은 ... ...
06. 일본 떨어져 나가 동해 열리다
과학동아
l
200404
그들에게 선점당했다. 그나마 동해와 울릉분지의 이름을 국제적으로 쓸 수 있는 것도 그
동안
국내 지질학자들의 헌신적인 연구와 노력 덕분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한반도 자연사 10대 사건 01. 맨틀에서 탄생한 한반도 02. 바다에서 육지로 떠오른 강원도 03. 두 대륙이 충돌해 한반도 형성 0 ... ...
빛깔 좋은 딸기가 몸에도 좋다
과학동아
l
200404
“예전에 비해 딸기가 훨씬 커진게 사실”이라며 “이는 성장호르몬 때문이 아니라 그
동안
꾸준히 이뤄진 품질개량 덕분”이라고 말한다. 최근에는 딸기의 가장 큰 약점인 보관성을 개선한 품종개발이 한창이다. 좀더 단단한 과육을 갖는 품종이 나오면 유통기간을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이처럼 ... ...
이전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