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기"(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단공류, 절대온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문제가 발생했나 봐. 아, 오리너구리는 어디에 속하냐고? 단공류(單孔類, monotreme) 18세기 후반, 호주에서 오리너구리를 처음으로 목격한 영국인 생물학자들은 혼란에 빠졌어요. 부리와 털을 가진 오리너구리가 마치 포유류와 조류를 섞어놓은 모습처럼 보였거든요.지금은 오리너구리가 ... ...
-
- [기획] 상온 초전도체, 100년을 기다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기다렸다니까요! 이렇게 긴 시간동안 무슨 일이 있었는지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 [1] 20세기 초 “엄청 낮은 온도에서 저항은 어떻게 변할까?”저항이 발생하는 원인은 전기를 운반하는 전자가 진동하는 원자핵과 부딪치기 때문이에요. 만약 온도를 엄청나게 낮춰 원자핵의 진동을 멈춘다면, ... ...
-
- [기획] 상온 초전도체, 어디에 쓸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몸속의 원자를 진동시키고 이때 발생하는 전자기파로 몸속을 촬영하죠. 자기장의 세기가 강할수록 해상도가 높아져요.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좋은 MRI는 3T(테슬라)의 자기장으로 몸속을 촬영하는데, 지난 2018년 미국 미네소타대학교 연구팀은 10.5T의 MRI 장비로 신체를 촬영하는 데 성공했답니다 ... ...
-
- 베토벤, 내가 제일 잘 나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베토벤이 서양 음악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작곡가라고 발표했어요.연구팀은 18세기부터 20세기에 활동한 서양 음악 작곡가 19명의 곡 900개를 ‘네트워크 이론’으로 분석했어요. 네트워크 이론은 다루고자 하는 대상을 점과 선으로 나타내 데이터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는 방법이에요. 분석하고자 ... ...
-
- [이달의 과학사] 섭씨 온도를 만든 셀시우스 태어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했지요. 하지만 그의 이름을 역사에 길이 남긴 건 온도 체계를 만든 일이었어요.17~18세기까지만 하더라도 온도를 재는 믿을 만한 체계가 없었어요. 온도를 대충 느끼거나 측정할 수는 있지만, 정확히 지금 몇 도인지 숫자로 말할 수 없었다는 거지요. 온도 체계를 만드는 일은 언제나 특정 온도에서 ... ...
-
- 데이터로 작곡한 교향곡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단백질의 기본 구성단위인 아미노산을 음으로 바꿨어요. 아미노산의 분자량으로 소리의 세기를 표현하고, 아미노산이 물 분자와 결합하는 성질에 따라 소리의 특징을 달리했어요. 물과 친한 친수성이면 소리가 울리고, 물을 싫어하는 소수성이면 딱딱 끊어지게 표현했지요. 박자는 우리 몸에서 ... ...
-
- [쇼킹 사이언스] 페루에서 길이 37m 그림 발견! 2000년 된 고양이라옹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문명 때 그려졌어요. 크기가 너무 커 하늘에서 봐야만 명확하게 드러나기 때문에, 20세기 비행기가 개발되면서 처음 발견됐지요. 1994년에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됐고요.이번에 발견된 고양이 지상화 역시 다른 나스카 지상화와 같은 방식으로 그려져 있어요. 나스카 사막은 회색을 띠는 석회 ... ...
-
- [우주화장실] 똥? 버리든가 먹든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배설물 속에 들어있는 미생물이 어떤 변화를 겪었는지 연구해야 한다는 거예요. 반세기가 지난 지금도 이 미생물이 살아 있을까요? 배설물, 재활용해!버려왔던 대변을 재활용하려는 노력도 있어요. 미국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의 핵물리학자 잭 밀러 연구팀은 똥으로 우주 방사선을 막을 수 ... ...
-
- [과학뉴스] 오시리스 - 렉스 탐사선, 소행성 ‘베누’와 하이파이브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베누’는 평균 지름이 492m로, 거대한 바위로 이루어져 있어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2세기 말, 2700분의 1의 확률로 베누가 지구와 충돌할 수 있다고 발표했죠. 베누를 탐사하기 위해 NASA는 2016년 오시리스-렉스 탐사선을 발사했어요. 이 탐사선은 2018년 베누에 도착한 뒤, 상공에 머물며 여러 ... ...
-
- [헥!헥!핵물리학자] 눈에도 안 보이고, 내 몸도 통과한다고? ‘유령입자’ 중성미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보지는 못했지만 이런 입자가 아마 있을 것 같다!”며 예측한 사람이 있었어요. 바로 20세기 양자역학에 큰 영향을 끼쳤던 오스트리아 이론물리학자 볼프강 파울리였죠.파울리가 단서를 얻은 것은 1930년대 이뤄지던 중성자 붕괴 실험에서였어요. 당시 물리학자들은 중성미자가 있는지도 몰랐기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