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쓰는사람"(으)로 총 2,32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모래, 어디에 쓰이는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1년에 400억 톤이라니, 정말 많은 모래가 사용되는구나. 그런데 사람들은 이 많은 모래를 어디에 쓰는 거지? 모래는 도시가 되었다!모래에는 여러 광물이 섞여 있어요. 주변 환경에 따라 비율은 조금씩 다르지만, 대부분 석영이 차지하고 있지요. 석영은 단단하고, 다른 물질과 잘 반응하지 않아요. ... ...
- Part 1. 기구 타고 날씨와 우주를 관측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기구는 1782년 발명된 이후부터 수많은 사람들을 태우고 하늘을 날아왔어. 지금도 관광이나 레저 스포츠로 기구를 많이 사용해. 하지만 기구는 과학 연구에도 중요한 몸이란 말씀! 어디에 쓰이냐고? 탈것에서 날씨를 관측하는 도구로!‘기구’는 바깥보다 기구 안의 공기를 가볍게 만들어 위로 뜨 ... ...
- Part 3. 하늘소, 앞으로 어떤 영향을 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갑자기 늘어난 하늘소 무리가 산림 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줄까 봐 걱정된다고?에이~, 걱정 안 해도 돼. 우리는 생태계에서 ‘분해자’ 역할을 하는 이로운 종이란다. 하늘소가 늘면 오색딱따구리도 늘어난다?!곤충은 최대한 많은 알을 낳고 가장 뛰어난 자손이 살아남게 하는 방법으로 번식해요. ... ...
- Part 2. [물의 비밀] 오줌은 절대 안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깨끗한 수영장, 염소가 책임진다!인공 파도풀에서 놀다 보면 원하지 않아도 수영장의 물을 먹게 돼요. 또 피부와 머리카락, 각막 등 몸 이곳저곳이 물에 직접 닿기 때문에 수영장 물은 항상 깨끗하게 관리돼야 하지요.그래서 인공 파도풀을 포함한 수영장을 지을 때는 물을 깨끗하게 정화할 수 있는 ...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도심 놀이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새끼 손톱만 한 검정색 개미의 정식 명칭은 일본왕개미(Camponotus japonicus)다. 그런데 겨울이 되면 그 흔했던 일본왕개미조차 눈에 잘 띄지 않는다. 왕개미뿐만이 아니다. 추운 겨울,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 최근 ‘한국 개미(자연과생태)’라는 책을 펴낸 ... ...
- Part 1. 레고 덕후 수학자의 신기록 도전기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레고 블록의 수가 400~500개만 되도 3~4시간을 꼬박 앉아 만들어야 작품을 완성할 수 있어요. 그런데 3000개가 넘는 블록을 단 10분 만에 조립했다면 믿어지나요? 2015년 1월 28일, 미국 윌리엄스타운 공연예술극장 62센터에서 윌리엄대학교 대학생 59명과 윌리엄스타운초등학교 학생 10명이 레고 스타워 ... ...
- [Origin] ‘신의 저주’도 옛말, 에이즈 예방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올해 10월 부산에서 에이즈의 원인인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에 감염된 사실을 숨기고 성매매를 한 여성과 이를 알선한 남성이 체포됐다. ‘부산 에이즈 성매매 사건’으로 알려지며 온 나라가 들썩였다. 뜻밖에도 온라인 쇼핑몰에서 HIV 자가 검사 키트의 판매량이 급증했 ... ...
- Part 4. 거대로봇, 기하학으로 일어서다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마지막으로 소개할 하이라이트는 거대로봇이에요. 아래 왼쪽에 있는 사진을 보세요. 이 로봇은 우리나라의 로봇제작 기업인 한국미래기술이 개발한 ‘메소드-2’라는 거대로봇입니다. 마치 영화 아바타나 매트릭스에 등장하는 2족 보행 로봇과 정말 비슷하지 않나요? 실제로 사람이 조종석에 타서 ... ...
- [과학뉴스] 아프리카인 피부색 결정 유전자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흔히 아프리카인의 피부색은 검다고 표현하지만, 실제로는 검은색의 정도가 다양하며 이런 피부색 차이를 유발하는 유전자 변이가 새롭게 확인됐다. 사라 티시코프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교수가 이끄는 국제 게놈 연구팀은 아프리카 대륙에 사는 2092명을 대상으로 팔 안쪽 피부의 빛 반사율을 ... ...
- Part 1. 배트맨의 검은 배트슈트, 최소 두께 가진 최강 그래핀으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물질을 이루는 원자들 간의 결합력이 강할수록 총알이 관통하기 어렵다. 그런 의미에서 ‘그래핀(graphene)’이라는 ‘21세기 나노 소재’는 특별하다. 그래핀은 탄소 원자들이 강력한 공유결합을 통해 육각형 벌집 모양으로 연결돼 있다. 두께는 0.3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 m) 정도. 2차원 평면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