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쉬움
간편
편리
d라이브러리
"
용이
"(으)로 총 671건 검색되었습니다.
게놈프로젝트의 신병기로 떠올라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생물학의 완성이라고도 불리는 게놈프로젝트, 즉 유전자계획의 일환으로 그 작업을
용이
하게 해주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알다시피 '생명의 맨하탄 프로젝트'로 통하는 게놈계획은 전세계가 참여하고 있다. 우리도 예외는 아니어서 유전공학센터를 중심으로 연구가 서서히 진행되고 있다.1백35년 전 ... ...
찌르레기 둥우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습기를 높여주는 역할도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보다는 흡혈충 방제(防除)
용이
라는 설명이 더 적절해보인다.흡혈충들은 어린 새들에게는 치명적인 존재다. 한 예로 둥우리에 진드기가 번식하면 부화한지 얼마안되는 어린새들은, 매일 적게는 전체혈액의 10%에서 많게는 40%까지 빼앗겨 수일내로 ... ...
미용의 적-변비 치질 등 합병증이 더 무섭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박영대교수(내과)의 얘기를 들어보자."장세척은 그동안 대장의 내시경검사나 X선검사를
용이
하게 할 목적으로 이용해 왔습니다. 따라서 이를 변비를 비롯한 소화기병 치료에 사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어요. 의학적으로 전혀 근거가 없다는 얘깁니다. 뿐만 아니라 효과도 의심스럽습니다. 장세척을 ... ...
피코초 시대로 돌입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선보였다. 화합물반도체가 아니면 실현곤란한 피코초 수준의 속도를 고집적이
용이
한 실리콘으로 실현한데 큰 의미가 있다. 이를 이용한 슈퍼컴퓨터 광통신용칩 등이 3년이내에 제품화될 예정이다.히타치는 광기술을 이용해 16메가 S램용 메모리셀을 개발했다. 시제품의 크기는 9.5평방미크론(μ)으로 ... ...
줄어드는 삼각주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농경은 불확실하기 짝이 없는 빗물에 의존했으나 점차 농부들은 수자원의 공급이 보다
용이
한 가까운 강가로 이동했다.천수농경을 벗어나고자 강가를 찾음은 너무도 당연한 것이기에 농부들이 그렇게 이동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요하지 않았을 것 같지만, 실제로 논에 물을 대고 홍수에도 대비할 수 ... ...
나만 엉뚱하게 이해하고 있는 게 아닐까?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있어 화학에 필요한 정보를 얻으려면 언제든지 도서관에 가서 이것저것 뒤져보는 것이
용이
하다.미국의 이공계 대학들은 대부분이 대학원 위주로 운영되기 때문에, 학부과정에서는(한국에 비해) 전공과목을 그리 많이 수강할 수 없다. 따라서 대학에서 같은 4년을 공부한 한국과 미국의 대학생을 ... ...
PARTⅢ 메탄과 암모니아의 변신 생명의 씨앗은 어디에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원시적인 생명체를 발견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경주돼 왔다. 이러한 탐색은 결코
용이
한 일이 아니었으나, 최근에 이르러 34억년 이전의 암석에서 생명체가 존재했던 증거가 드디어 발견됐다. 이 고대암석을 얇은 절편으로 만들어 현미경으로 관찰해보았더니 세균의 흔적같은 것이 나타났다 ... ...
남북과학기술교류 물꼬트는 한국의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경우가 적지 않으며 아울러 남한과의 과학기술교류도 전반적인 화해무드에 편승해 보다
용이
해지리라는 낙관론이 대두된다. 일례로 우리쪽 학자들과 접촉했던 북한학자들은 "89년 8월 김정일선생께서 남한과학자들과 허심탄회하게 만나라고 하셨다"는 발언을 해, 남북과학기술교류에 대해 북한측이 ... ...
2. 퍼스널 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칩세트(ship set, 여러개의 LSI를 1개의 칩으로 모은것)로 압축했다. 컴퓨터의 생산이 훨씬
용이
해졌으며, 불량률과 생산수율이 개선되었고, 가격은 급격히 하락했다. 실제로 'PC'(퍼스널 컴퓨터)란 명칭을 IBM에서 사용한 후 IBM은 기본적인 아키텍처만을 제시했을뿐 오히려 클론업체들이 훨씬 기술발전에 ... ...
식인종을 떨게 하는 「꼬마」 프라이온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핵산의 존재에 대한 학설이 정립돼 있지 않은 상태다. 전자현미경을 통한 관찰도 결코
용이
한 작업이 아니기 때문이다.처음에 학자들이 그 병원체를 바이러스로 보았던 까닭은 이렇다. 우선 당시의 과학적인 상식으로는 단순한 단백질이 질병을 일으킬 수 없었다. 또 설령 단백질이 존재하는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