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류"(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페이지 뉴스] ‘눈썹코입술턱’ 옆모습 결정하는 유전자 32개 확인과학동아 l2021년 03호
- WARS2/TBX15 유전자 영역은 중앙아시아 등지에서 살다가 약 4만 년 전 사라진 친척 고인류 데니소바인으로부터 기원한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이 유전자 영역이 허리와 엉덩이에 분포된 체지방 비율과도 연관이 있으며, 이는 데니소바인이 추운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 생긴 진화의 산물이라고 ... ...
- [한페이지 뉴스]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나팔 소리는?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인류가 구석기 시대에 악기로 사용한 나팔고둥(Charonia lampas)의 음색을 분석한 결과가 나왔다. 프랑스국립과학연구소(CNRS) 선사시대예술연구센터와 프랑스 툴루즈대 등 공동연구팀은 1931년 프랑스 피레네산맥의 마르술라스 동굴에서 발견된 나팔고둥의 연대와 내부 구조, 소리를 분석한 결과를 ... ...
- 명화 속 빛의 비밀, 데이터는 알고있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년 동안 인류는 그림을 그렸다. 제대로 된 도구가 없을 땐 동물의 뼈를 들고 동굴 벽에 그림을 그렸고, 종이가 없으면 파피루스 식물로 그와 비슷한 것을 만들어 썼다. 종교나 왕권의 막강한 힘에 어쩔 수 없이 입맛에 맞춘 그림을 그린 시기도 있지만 이는 오히려 더 강한 반발감을 일으켜 결과적으로 ... ...
- 해마다 찾아오는 동물 전염병, 살처분 대신 백신 접종 고려할 때과학동아 l2021년 03호
- 34.7%라는 높은 치명률을 보입니다.일반적인 AI와 달리 고병원성 AI가 문제인 이유는 인류와 가장 친숙한 가금류인 닭과 칠면조에 치명적이기 때문입니다. 감염도 빠르고, 일단 감염되면 치명률도 90%에 이를 정도로 높습니다. 대부분 24시간 안에 폐사하기 때문에 치료도 쉽지 않습니다. 때문에 AI에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내 몸의 모든 단백질 한눈에 단백체 지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기록한 ‘단백체(Proteome) 지도’를 만들고 있었다. 한국인을 위한 단백체 지도2003년 인류는 거대한 과학적 성과를 이뤄냈다. ‘인간게놈(유전체)프로젝트’를 통해 인간 세포의 약 30억 쌍의 DNA 염기에 담긴 유전정보를 모두 해독해냈다. 이렇게 해독한 염기서열 정보를 토대로 유전자의 기능을 ... ...
- [이달의 과학사] 인류, 가장 깊은 바다에 도착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이른 아침, 스위스의 해양학자 자크 피카르와 미국의 해군 중위 돈 월시는 잠수정 ‘트리에스테’를 타고 태평양에 뛰어들었어요. 지구에서 가장 깊은 바다인 마리아나 해구를 탐험하기 위해서였죠.마리아나 해구는 태평양판이 필리핀판 밑으로 들어가면서 만들어진 구조예요. 마리아나 해구에서 ... ...
- [하야부사 2호] 왜 류구를 찾아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탑재체를 설계하는 데 쓰였습니다. Q류구의 샘플이 과학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요?인류 최초로 소행성에서 샘플을 가져온 하야부사 1호의 경우, 수 μg* 분량밖에 안되는 샘플을 지구로 보내왔습니다. 이를 통해서도 하야부사 1호가 탐사한 소행성의 유형과 지구에서 흔히 발견되는 운석의 유형 ... ...
- [쇼킹 사이언스] 2000년간 보존된 인간의 뇌, 그 비결은 유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교수는 “고대 인류의 뇌가 이렇게 완벽하게 보존되는 일은 흔치 않다”며, “고대 인류 연구의 지평이 넓혀졌다”고 말했어요. 연구팀은 후속 연구로 이번에 유해가 노출됐던 열기의 정확한 온도, 화산재가 식을 때의 냉각 속도를 알아내서 어떻게 유해의 뇌가 유리 상태로 변했는지 자세히 알아볼 ... ...
- 기후위기의 마지노선, 심해가 끓고 있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기후변화 위기에 직면했다. 널리 알려진 표층 수온이나 해수면 상승 이야기가 아니다. 인류의 손길이 제대로 닿지 않은, 미지의 세계 심해마저 기후위기에 따른 수온 상승에 몸살을 앓고 있다. 2015년 12월 12일 프랑스 파리에 전 세계 190여 개국이 모여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힘을 모으기로 ... ...
- [KAIST 50년] 과학, 사회에 말 걸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세계 최초로 인류세연구센터를 만들었다. ‘재난’ ‘참사’ ‘변화’ ‘위기’와 같이 인류가 처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꾸준히 모색하고 있다.대학원이 앞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할 부분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대해 김 교수는 “지금까지 ‘살 만한’ 나라를 만드는 데 기여했다면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