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쪽"(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1억짜리 아이언맨 수술, 받으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인공지능이 사람과 비슷한 존재가 돼 나타날 거라는 데만 관심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한쪽에선 사람의 신체를 업그레이드 해 로봇과 비슷하게 만드는 이른바 ‘인체 플랫폼’ 기술이 속도를 내고 있다. 이와 함께 ‘아바타’가 벌일 수 있는 신종 범죄 우려와 오작동에 따른 윤리·법적 문제, ... ...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높아진 거였죠.연구팀은 2014년 다시 한 번 쥐를 대상으로 실험을 했어요. 이번에는 쥐의 한쪽 눈을 약시로 만든 뒤, 3주간 하루 4시간씩 달리기를 하도록 해 시각을 자극한 거예요. 그리고 2주 뒤 뇌를 관찰한 결과, 약시였던 눈쪽의 뇌기능이 정상 수준으로 회복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어요.즉, 어린 ... ...
- [출동! 섭섭박사] 살아 움직이는 라바램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구조에 따라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띠는 전기적인 성질을 갖게 돼요. 그런데 구조가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면 한 가지 전하의 성질이 크게 나타나지요. 이 상태를 ‘극성’이라고 해요. 물은 극성 액체인 반면, 기름은 전기적으로 아무런 성질을 띠지 않는 무극성 액체예요.‘섞인다’ 혹은 ... ...
- [생존전략 2] 널리 퍼지는 꽃가루수학동아 l2016년 04호
- 결과, 새로운 사실을 발견했다. 꽃가루가 흘러갈 방향을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일단 한쪽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하면 일정한 반경 내에서 비슷한 방향으로 갈지(之)자를 그리며 움직일 확률이 높았다. 꽃가루가 퍼지는 불규칙한 모양을 정리한 수학식브라운은 꽃가루 외에도 유리와 금속, 돌을 ... ...
- [소프트웨어] 응답하라, 1996! 20년간 사랑받은 명품 게임 바람의 나라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상황을 문자로 묘사한다. 예를 들면 ‘서쪽에는 계단이 있고, 동쪽에는 관리실이 있고, 한쪽에 다른 층으로 갈 수 있는 승강기가 설치돼 있다’라고 알려 준다. 그런데 이런 상황을 그림으로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때로는 설계가 엉터리인 경우가 있었다. 예를 들어 동쪽으로 100m를 이동한 뒤 ... ...
- [지식] 광케이블 통신망 효율 높이기수학동아 l2016년 04호
- 가정했습니다.원래 문제에서는 짧은 쪽이든 긴 쪽이든 방향을 정하고 나면 데이터는 한쪽 방향으로만 보낼 수 있습니다. 만약 처음에 시계방향으로 보내기로 정했다면 필요한 데이터 9를 모두 시계방향으로 보내야 하지요. 하지만 조건을 약하게 만든 문제에서는 9 중 3은 시계방향으로 보내고, 6은 ...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플래시가 잔뜩 터졌고, 그는 자리에 주저앉았다. 대국을 중계하는 커다란 화면 한쪽의 디지털시계가 오후 4시 18분에서 19분으로 넘어가고 있었다. 그로부터 정확히 10분 뒤에 이 9단이 돌을 던졌다.김 9단이 집을 세기 5분 전까지만 해도 해볼 만하다는 분위기였다. 바둑리그의 감독이자 해설자로 ...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멈추었다.너무나 커다란 크기로 내가 펼쳐져 있어서, 전체를 움직여 생각을 할 때 한쪽에서 시작된 생각이 다른 쪽으로 도착할 때까지 광속으로 신호가 전달 된다고 해도 너무 오랜 시간이 걸려서 더 이상 정상 기능을 할 수 없는 한계에 도달한 것이다. 그것이 광속 한계였다. 옛날식으로 ... ...
- [Knowledge] CCTV에 기록된 그 날의 진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1층의 창문을 깨고 그 안으로 화염병을 던지고 도주했다. 화염병이 터진 1층 강의실 한쪽 면에 있던 책장에 불이 번지면서 강의실 전체가 불에 그을렸다.이로써 피고인은 피해자 소유인 시가 1억 원 상당의 강의실 1개를 불태웠다.법 보행 분석 전문가의 감정서용의자는 2004년부터 2011년 8년간 9차례 ...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하지만 인류가 우주를 이해하는 폭은 획기적으로 넓어질 전망이다. 이전까지 빛이라는 ‘한쪽 눈’만으로 우주를 봤다면, 이제 중력까지 포함해 ‘두 눈’으로 우주를 보게 되는 셈이다.자세히 설명하면 이렇다.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약400년 전 망원경을 발명한 뒤부터 인류가 우주를 관측해 온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