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확인"(으)로 총 8,489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방사선으로 쓰러졌던 주노, 구사일생으로 회복!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시스템만 작동하는 ‘안전 모드’에 돌입했어. 12월 22일에 NASA 과학자들이 주노의 상태를 확인한 결과, 데이터는 큰 손상이 없었고 ‘다운링크’도 복구됐다고 발표했어. 언제 임무에 복귀하니?NASA는 12월 29일 주노를 ‘정상 모드’로 전환했어. 47번째 근접 통과 시기에 내가 찍은 목성과 목성의 ... ...
- [이달의 뉴스] 태아는 완전한 무균 상태 ‘자궁 무균설’ 재확인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태아가 자라는 엄마 뱃속이 무균 상태인지를 두고 벌어진 논란이 종지부를 찍는 모양새다. 전 세계 46명의 과학자들이 태반과 양수에 미생물군이 존재한다는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하며 기존 ‘자궁 무균설’에 힘을 보탰다. 캐서린 케네디 캐나다 맥마스터대 박사후연구원이 이끈 국제공동연구 ... ...
- [특집] 국내 최초 도입, 암 세포를 정조준할 탄소 탄환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알 수 있었다. 앞서 가속기실에서는 벽에 가려 빔 라인이 각각의 치료실로 이어지는 것만 확인할 수 있었는데, 그 벽 뒤에 갠트리가 설치돼 있었던 것. 이 갠트리가 360° 회전하기 때문에 갠트리와 연결된 조사기가 원하는 각도로 움직일 수 있다. 거대한 갠트리는 앞서 중입자 치료센터 로비 층고가 ... ...
-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폴리매스수학동아 l2023년 03호
- 폴리매스 문제는 수학자가 푸는 문제처럼 출제자도 답을 모르는 미해결 문제예요.폴리매스 홈페이지 → [폴리매스 문제] 게시판에서 댓글로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며 ... 문제이므로 언제든 문제 풀이에 참여한다. 해결된 문제도 새로운 풀이가 있다면 댓글 작성 후 정답 확인 요청을 한다 ... ...
- [만화 뉴스] 바이러스 먹는 미생물 할테리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번식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표했어요. 미생물이 바이러스를 먹는 걸 처음으로 직접 확인했지요. 연구팀은 실험용 접시에 민물과 할테리아를 담은 뒤, 바이러스의 일종인 ‘클로로바이러스’를 추가했어요. 실험 결과 할테리아는 이틀 만에 약 15배 증가했고, 클로로바이러스는 100분의 1 정도로 ... ...
- [기획] 미래일기 60여 년 뒤, 한반도의 겨울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 추워~!”이불 안까지 스며드는 한기에 몸을 부르르 떨며 잠이 깼다. 외부 온도를 확인해 보니, 영하 0.5℃다. ‘영하라니…, 정말 오랜만에 겨울다운 날씨군!’이렇게 추운 날엔 이불 밖은 위험하다. 과거에는 서울의 기온이 영하 20℃까지도 떨어졌다고 하던데…, 그땐 어떻게 살았을까? 과거에 ... ...
- [시민과학콘] 지구사랑탐사대 2023년 11기 모집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앱에서 기록해요.2탐사 방법 배우기팝콘플래닛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교육 일정 공지를 확인하세요. 온라인 강연을 통해 생태 전문가가 탐사 방법을 알려드려요. 영상과 가이드북으로도 탐사 방법을 배우세요.3탐사하기집 주변이나 배정받은 구역에서 탐사를 진행해 주세요. 직접 찍은 생물종 ... ...
- [출동, 슈퍼M] 온도와 체감온도는 어떻게 다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3호
- 화씨 122℉와 같이 쓰고, 읽을 때는 ‘화씨 122도’로 읽는답니다. 앗, 추워! 체감온도 확인하려면? “오늘 아침 기온은 영하 10℃이지만, 바람이 불어 체감온도는 더 낮습니다.” 날씨 정보에서 이런 말을 한 번쯤은 들어봤지요? 기온과 체감온도의 차이점을 슈퍼M이 알려줄게요. 체감온도란 ... ...
- [이달의 뉴스] 지구 내핵 회전 멈췄다 기후변화에 영향줄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지진파를 과거의 기록과 비교분석한 결과, 2009년 이후 지진파 경로가 변하지 않았음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내핵의 회전이 멈췄다고 결론을 내렸다. 연구팀의 계산에 따르면 내핵의 회전 방향은 60~70년 주기로 바뀌며, 미세한 지구 내부 전자기력과 중력의 불균형이 회전에 영향을 주는 ... ...
- [화보] I숨겨진 지구 이야기I KBS 2023 대기획 히든 어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10억 년 전 대륙이 충돌하면서 솟아오른 습곡 틈새에 계절마다 더운 지방과 추운 지방을 오가는 철새가 알을 낳는다. 백령도 남포리 습곡의 얘기다. 철새는 습곡 지형에 만족해 ... 흔적을 살펴봤다.*이 기사는 KBS의 제작지원을 받았습니다.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