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식
풍
스타일
주의
식
여과기
sieve
뉴스
"
체
"(으)로 총 740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루궤이전, 니덤의 조수 혹은 스승
2019.05.09
바꾼 생화학자 http://www.eroun.net/news/articleView.html?idxno=4937 [김우재의 과학적 사회] 과학의
체
로 받아들인 기독교 사회주의 3. Li, L. A. (2018). Invisible Bodies: Lu Gwei-djen and the Specter of Translation. Asian Medicine, 13(1-2), 33-68. 위키백과에도 그에 관한 소개는 아주 짧게 기술되어 있을 뿐이다. https://en.wikipedia.org/wiki/Lu ... ...
궤도 조정 노력에도 뉴욕 한복판에 떨어진 소행성
연합뉴스
l
2019.05.08
소행성은 없다"고 했다. [ESA 제공] PDC 모의훈련 시나리오를 만든 NASA 지구근접천
체
연구센터(CNEOS) 폴 코다스 소장은 비즈니스 인사이더와의 회견에서 소행성이 대도시에 떨어질 가능성은 작으며 그보다는 바다 쪽일 더 가능성이 더 크다면서 "매일 최악의 상황에 관해 생각하지 않는다면 배울 ... ...
치매 원인 뇌 속 미세아교세포 실시간 관찰 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6
생겨 강한 붉은색 형광빛을 내는 것을 밝혀냈다. 장 부연구단장은 “살아있는 개
체
의 뇌 속 미세아교세포를 형질전환동물을 쓰지 않고도 볼 수 있게 만드는 최초의 형광물질을 개발한 것”이라며 “다른 뇌세포에서 발현되지 않는 특별한 효소와 반응해 형광을 내는 물질을 활용한 생명 분야의 ... ...
“한국, 로봇-AI 분야 선도하려면 정부 ‘간섭 없는 지원’이 중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4.22
말했다. 유럽의 대표적 소프트로봇 개발 프로젝트인 ‘옥토퍼스’ 책임자였던
체
칠리아 라스키 이탈리아 산타나고등연구소 교수와 루스 소장은 연구자의 다양성을 강조했다. 이들은 “로봇공학계에서 여성 연구자의 비율은 9%로 매우 낮다”며 “연구자의 다양성은 더 풍부한 답을 제공하고 새로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끈기는 구
체
적인 계획에서 나온다
2019.04.21
맞게 목표와 계획을 조정하는 과정에 문제가 생긴다. 또 계획이 충분히 현실적이고 구
체
적이어서 장애물을 만나는 것이 이미 시나리오에 포함되어 있다면 장애물의 존재가 ‘이제 다 끝’이라는 신호가 아니라 벌써 이만큼 왔다는 희망의 메세지를 주기도 한다. 이미 예상한 문제이므로 비교적 ... ...
항생제에 강해지는 한강의 세균들…내성 유전자 최소 300종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4.21
따른 정밀한 수질 관리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차창준 중앙대 항생제내성
체
연구센터장(시스템생명공학과 교수)은 이달 19일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19년도 한국미생물학회 창립 6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에서 진행된 ‘환경적 측면에서 본 항생제 내성’ ... ...
뇌에 초음파 쏴서 의사결정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문양을 보여주고 이 중 하나를 선택했을 때 보상을 준다. 다음에는 선택한 것을 배제한
체
다른 문양 두 개를 보여준다. 원숭이는 반사실적 사고로 이전 실험에서 선택한 심볼을 떠올리며 선택하게 된다. 이를 반복하면 경험이 쌓여 보상을 얻는 선택을 내리는 데 도움을 주게 된다. 연구팀은 실험 ... ...
"한국 AI대학원 성공하려면 로봇공학 함께 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몸이
체
, 그리고 상호작용을 담당하는 ‘덕’이 바로 머신러닝에 해당한다”며 “지덕
체
가 별도가 아니듯, 이들도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로봇공학에서도 특히 소프트로봇을 10년 이상 연구해 왔다. 왜 소프트로봇이냐는 질문에 "통제하기 쉽고 안전해 AI와 머신러닝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게임
체
인저가 될 '입자'로봇의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3.23
교수는 “자연의 모든 생물은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하는 세포로 이뤄진 유기
체
다”며 “로봇이 세포화된다면 여러 작업에서 요구되는 최상의 모양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세계 최초로 개발된 '입자' 로봇의 모습은 아래 동영상에서 볼 수 있다. 유튜브 주소: https://youtu.be/wrDdqjQvaoA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의 속도 경쟁
2019.03.20
남방차주머니나방 암컷 털겨울가지나방 암컷 항공기 탄생이 단 한 종에 불과한 인간을 전
체
생태계를 호령하고 주름잡는 최상위 포식자로 만들었다. 마침내 비행기 날개를 달고 하늘을 날기 시작하면서, 곤충이 날개를 진화시켰을 때처럼 인간은 지구의 모든 지역을 마음대로 요리하고 있다. 어디든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