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
전문대학
대학교
유니버시티
단과대학
college
뉴스
"
칼리지
"(으)로 총 653건 검색되었습니다.
"'음식 알레르기' 걱정 성인 절반은 실제로 이상 없어"
연합뉴스
l
2019.01.07
생명을 위협하는 알레르기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런던 킹스
칼리지
의 기디언 랙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성인 이후 나타난 음식 알레르기는 지난 20년간 어린이들에게서 급격하게 증가한 음식 알레르기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은 사람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 해, 열 명의 이야기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3
과학자들을 소개하는 글을 올려 ‘다양성 챔피언‘으로 불린 제스 웨이드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물리학과 연구원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채택한 ‘1.5도 특별보고서‘를 이끌어낸 밸러리 메종 델모트 프랑스 기후환경과학연구소 수석연구원 △유럽우주국(ESA)의 ... ...
알츠하이머성 치매, 전염 가능성 높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통해 사람끼리 전염돼 치매에 걸릴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존 콜린지 영국 런던
칼리지
대 신경학과 교수 연구진은 ‘베타 아밀로이드’와 ‘타우’ 같은 알츠하이머병 유발 단백질이 뇌신경 수술같은 경로로 전염돼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유발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1 ... ...
2018년 네이처 선정 10대 인물에 그래핀 초전도체 개발한 22세 청년
2018.12.19
백과사전인 위키피디아에는 그녀에 대한 정보가 없었다. 제스 웨이드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물리학부 연구원은 이런 문제를 일찌감치 발견하고, 고치겠다고 마음먹었다. 그는 온라인 백과사전 위키피디아에서 과학 분야 여성과 유색인종이 차지하는 비중이 낮다는 현실을 바꾸고자 올해 400명이 ... ...
화성의 노래를 들어라…NASA, 첫 화성 바람 소리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09
진동을 관측한 뒤 소리로 변환했다. 인사이트의 센서를 설계한 톰 파이크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교수는 “바람이 깃발에 부딪히면 공기의 압력이 변해 진동이 발생하고 귀는 그것을 펄럭이는 소리로 인지하는데 이것과 비슷한 원리”라며 “인사이트 역시 태양광 패널이 만드는 진동과 대기의 ... ...
[여기에 과학] 퀸 기타리스트 브라이언 메이 '태양의 길'에 빠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8
관한 모델을 논문으로 작성했습니다. 1971년 테네리페 관측소에서 찍은 황도광-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제공 논문에서 메이는 “먼지 구름의 방향과 구조, 진화 과정을 이해하는 통찰력을 제공하려고 했다”고 말했습니다. 현재 과학자들은 우주망원경 등을 이용해 황도면뿐 아니라 우리 은하에 있는 ... ...
태아 뇌는 보헤미안 랩소디를 클래식으로 생각한다.과학으로 분석한 퀸 음악
2018.12.08
말한 바 있습니다. 프레디 머큐리. '퀸' 공식 유투브 캡쳐 미국 일리노이주 녹스
칼리지
의 심리학자 프랭크 T 맥앤드류에 따르면, 종교적 믿음이 영적인 체험을 결정하며 나아가 죽음에 대한 불안까지 지배한다고 합니다. 한 마디로 종교적인 신념이 신이나 영혼, 천사, 죽음의 사자 등을 보거나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간지럼은 왜 탈까?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결론부터 말하자면, 내가 간질이는 것은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사라-제인 블레이크모어 교수는 1998년에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을 통해 스스로 간질일 때와 남이 간질일 때의 뇌 반응을 비교했다. 분명한 차이를 보인 곳은 소뇌였다. 소뇌는 어떤 감각의 ... ...
세계가 다시 머리를 맞댔다…기후변화 막을 최후 대안 만들러
동아사이언스
l
2018.12.04
관련한 6000건의 연구 논문을 집대성한 결과다. 짐 스키 IPCC 공동의장(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환경정책센터 교수)은 “과학적으로는 목표달성이 가능하지만 각 국가가 그 계획을 어떻게 이뤄갈지는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고 재생에너지를 쓰는 것부터 다양한 ... ...
본격 의학 연구로 영역 넓히는 구글AI
동아사이언스
l
2018.12.03
방향전환을 할 것이란 전망은 지난해 말부터 나왔다. 지난 5월에는 딥마인드와 런던
칼리지
대 연구진은 동물 뇌에서 위치 감각을 담당하는 신경세포 기능을 모방해 포유류와 같은 길찾기 능력을 가진 AI를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