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둘"(으)로 총 667건 검색되었습니다.
- 배수진 vs 빠져나갈 구멍 만들기, 어떤 것이 목표달성에 효과적일까2016.09.06
- 없어 보이거나 방향을 못 찾게 되는 일은 없는게 좋지 않겠냐는 것이다. 대안을 만들어 둘 때와 아닐 때를 구분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대안에 집중할 때가 아니라면 눈 앞에 있는,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일에 전력을 다 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 참고문헌 Shin, J., & Milkman, K. L. (2016). How ... ...
- 스킨십엔 정말 애정이 담겨 있을까2016.08.30
- 자연스럽게 스킨십을 하도록했고 다른 조건의 연인들에게는 스킨십을 하지 않도록 했다. 둘 중 한 명만 연구자로부터 지시를 받았으므로 다른 한 명은 지시사항을 알지 못했고 그 사람(타겟)이 느낀 감정이 연구자들의 관심사였다. 이번에도 연인으로부터 스킨십을 받은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 ...
- 유전자 하나만 꺼도 무더위 못 느낀다2016.08.22
- 10%에 불과했다. 즉 서늘함엔 좀 더 민감하게 반응했다. 한편 28도/33도와 33도/43도에서는 둘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즉 TRPM2가 고장날 경우 쾌적함을 느끼는 온도 범위가 기존의 불쾌하다고 느끼는 고온의 범위까지 확장되는 반면 고통스러운 고온(43도)을 느끼는 데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말이다. ... ...
- [타운이 만난 사람들-명사편] ‘욱’하는 마음에 맡은 회사가 대박나다동아사이언스 l2016.08.12
- 합니다. 변 박사는 화장품 원료를 고순도 정제할 수 있는 기술이 있었고, 이에 둘은 의기투합하여 먼저 새로운 국가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돈이 보였고 원자력 관련 직종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을 위해 개발하고 있던 건강기능식품까지 창업 품목에 합류시켜 창업을 ... ...
- 몸에 좋은 성격 이야기2016.08.02
- 09). 신경증이 건강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는 이유로는 우선 신경증과 건강에 취약한 특성 둘 다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유전적 요소가 지목된다. 또한 늘 부정적인 기운을 뿜어 내는 통에 사회적 관계를 잘 맺지 못해서 각종 스트레스 상황에 물적이나 심적으로 도움을 잘 받지 못하는 점도 ... ...
- 케톤음료, 도핑검사 걱정없는 에너지원?2016.08.01
- 유일한 대안이다. 역으로 포도당이 풍부할 경우 간은 케톤체를 만들지 않기 때문에 둘은 서로 만날 수 없는 사이인 셈이다. 한때 유행했던 ‘황제다이어트’가 바로 몸이 케톤체를 쓰게 하는 다이어트법이다. 즉 탄수화물이 거의 없는 식단으로 혈중 포도당의 농도를 떨어뜨려 지방세포가 저장하고 ... ...
- 국제학술지 표지논문 영광 뒤엔 화려한 그림 한 장동아사이언스 l2016.08.01
- 2등은 후면 겉표지에 실리고, 3등부터는 내지에 싣는다. 한마디로 연구 성과와 그림, 둘 다 최고 수준이어야 표지에 실릴 수 있다. 연구 내용이나 표지그림 이외에 다양한 변수가 작용하기도 한다. 조지프 카푸토 과학저널 ‘셀(Cell)’ 편집자는 “그림의 미적 아름다움, 창의성, 전문성을 판단해 ... ...
- 사람을 사냥꾼으로 부리는 꿀잡이새를 아시나요? 2016.07.25
- 진짜 신호가 54.2%인 반면(즉 새의 안내를 받을 경우 81%에서 성공) 가짜 신호일 때는 둘 다 16.7%에 불과했다. 즉 꿀잡이새는 사람에게서 사냥을 하자는 진짜 신호를 들었을 때 더 많이 반응을 했을 뿐 아니라 제대로 반응을, 즉 길안내를 한 것이다. 그렇다면 야오족과 하드자족은 길들이지도 않은 ... ...
- 1941년 하이젠베르크는 왜 보어를 방문했을까2016.07.19
- 미국인들이 뭘 하는가를 말해주는 게 아니라 멈추게 하라는 것? 하이젠베르크: 우리 둘 다 멈출 수 있다는 걸 말해달라는 것이었습니다. 보어: 난 미국인들과 접촉이 없었어! 하이젠베르크: 영국사람들과는 있었잖아요! 어쩌면 하이젠베르크는 뛰어난 옛 동료 대다수가 주변을 떠난 가운데 ...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2016.07.12
- 적극 지원했다. 아무튼 양 진영은 면역계의 실체를 두고 거의 20년을 다투었고 결국 둘 다 맞다는 식으로 논쟁이 가라앉았다. 그리고 1908년 양진영을 대표하는 메치니코프와 독일의 파울 에를리히가 노벨생리의학상을 공동수상하기에 이르렀다. 당시 에를리히는 공동수상에 대해 불만이 많았는데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