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랑스의 실패한 달력 혁명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위 식에서 [A]는 A를 넘지 않는 가장
큰
정수다. 예를 들어 는 2.5를 넘지 않는 가장
큰
정수이므로 2가 된다. 한편 (mod 7)은 7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말한다. 예를 들어 17을 7로 나눈 나머지는 3이므로 17≡3(mod 7)이다.M월 D일에서 M과 D가 결정된다. 단, M의 값이 3월부터 12월까지는 각각 3 ...
로봇 소방수 머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받았다. 사다리 오르기도 샤프트와 KAIST, 두 팀이 만점을 받았다. 샤프트의 로봇 에스원은
큰
사다리를 계단처럼 성큼성큼 걸어 올라갔다. KAIST 팀은 로봇의 긴팔을 뒤로 돌려 사다리 양쪽 손잡이를 붙잡고 뒷걸음질을 치며 올라가, 사다리를 기어서 올라간 최초의 로봇으로 기록됐다. 쉬운 과제라고 ... ...
PART 1. 응답하라,장보고과학기지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지구에서 가장 추운 곳에 위치했다는 러시아의 보스토크 기지, 남극 기지 중에 가장
큰
미국의 맥머도 기지, 남극점 근처에 자리잡고 있는 아문센-스콧 기지 등이다. 지리적으로 가까운 칠레와 아르헨티나에서는 각각 5개(상주 4개)와 7개(상주 6개)의 기지를 운영한다. 심지어 칠레에서는 기지 옆에 ... ...
백혈병은 반도체 공장 때문이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호황기 이면의 비극유해화학물질을 사용하더라도 사실 안전관리만 제대로 한다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지금도 수만 명이 매일 반도체 공장에서 건강하게 일하고 있는 것이 그 증거다. 다만 과거에 있었던 일부 비정상적인 상황이 문제다.1990년대~2000년대 초반은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의 ... ...
고함만 쳐도 아이의 뇌는 멍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자녀를 때리거나 언어 폭력을 감행하곤 한다. 그러나 이런 행동은 아이들의 감정적 뇌에
큰
불을 지르고야 만다.버림받을까 두렵지만 순종하면 부모에게 조종당하거나 자신의 자율성이 침범 받을 것 같아 반항할 수밖에 없는 모순된 10대 초반 청소년들의 심리를 부모가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 ...
PART1 제1차 세계대전은 어이없이 일어났다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19세기 후반부터 전쟁계획에 열차운행 시간표를 짜는 일이 중요해졌다.철도의 가장
큰
맹점은 유연성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기차는 도로를 달리는 자동차와 달리 한 군데가 막힌다고 쉽게 비켜가거나 돌아갈 수가 없다. 건설에도 시간이 매우 많이 걸렸다. 따라서 철도를 이용한 동원계획은 사전에 ... ...
Part 3. 그녀들의 체형은 신의 선물일까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이뤄진 기자회견에서 “2010년에 비해 체중을 3kg 가량 줄인 것이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체지방이 감소한 대신 허벅지는 3cm 가량 더 굵어지는 등 상대적으로 근육은 늘면서 단거리 스케이팅에 더욱 적합한 몸으로 바뀐 것이다.발목 유연해 얼음을 끝까지 밀어낸다이상화 ... ...
지구온난화는 죄가 없다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기상 변화가 커질 수 있다. 브라질에 사는 나비 한 마리의 날갯짓이 미국 텍사스에
큰
바람을 일으킬 수 있다는 ‘나비효과’다. 엘니뇨는 남미 북쪽의 페루나 에콰도르의 해안선을 따라 찾아오는데, 엘니뇨가 강하면 이 지역에 대규모 홍수가 발생한다. 페루와 볼리비아의 고원지대에는 비정상적인 ... ...
말 타 보셨나요?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승용마를 개발하는 연구를 해왔다. 연구 초기에는 130cm 이하의 조랑말과 150cm 이상의 덩치
큰
말이 들쑥날쑥 태어나다가 최근에는 비교적 안정적인 말들이 태어나고 있다. 한국형 승용마는 ‘한라마’라는 별명으로 불리고 있고, 아직 공식 이름은 없다.그런데 이쯤에서 의문이 든다. 기마민족이었던 ... ...
LED 밑에서 잠 못 드는 닭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것이다. 화재나 누전 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어 2012년부터는 방수 LED 전구를 보급했다.더
큰
문제는 닭들의 반응이었다. 가장 먼저 닭들이 LED 전구 밑에 몰리는 현상이 나타났다. 닭이 밝은 곳을 좋아하기 때문이다. 백열전구는 빛이 사방으로 퍼져서 적당히 띄어서 설치하면 양계장이 고루고루 ... ...
이전
506
507
508
509
510
511
512
513
5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