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참여] 혼자만의 상상이 모두의 눈앞에 국립과천과학관 무한상상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처음 해보는 납땜이었지만, 박 디자이너의 도움 속에 모두 무사히 회로를 완성하는 데 성공할 수 있었다.“따라라라 따라라라~”여기저기서 익숙한 멜로디가 울려 퍼지기 시작했다.멜로디 카드를 완성하고 3D 프린터실로 돌아가자, 수학동아 기자단이 미리 보낸 모델이 눈앞에 완성돼 있었다.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수소차에 딱! 저렴한 탄소촉매 만든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수소차, 아직은 ‘그림의 떡’“현재 사용하는 수소연료전지로는 가격의 한계를 극복할 수 없습니다. 백금 촉매를 사용해야 하는데 너무 비싸거든요. 백금을 대신 ... 대체할 수 있는 가장 유망한 기술”이라며 “새로운 촉매로 연료전지 시대를 앞당기는 데 기여하고 싶다”고 밝혔다 ... ...
- PART1. 3D 프린터, 날개를 달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사용한 금속의 양은 기존의 절반. 구조적으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해 재설계한 덕분인데, 이런 디자인은 3D 프린터로만 만들 수 있다.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한 이 같은 ‘세이빙 프로젝트(saving project)’는 이제 어느 정도 성과를 축적했다. 2015년에는 더 다양한 분야로 확장될 예정이다.기존의 3D ... ...
- [Hot Issue] 고개 숙인 마린보이, 스테로이드의 유혹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치료를 담당한 의사 모두 조사에서 “문제가 되는 약품인지 몰랐다”고 말하고 있는데 그의 말이 사실이라고 하더라도 책임을 피할 수 없어 보이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치료를 담당하는 의사를 선택한 것도 박태환 본인이다. 만약 박태환 같은 운동선수가 병원을 방문했을 경우에는 자신이 도핑 ... ...
- [Life & Tech] 트랜스포머 엘리베이터가 온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정보를 알 수 있는 앱은 이미 출시가 돼 있고, 3월 말 승강기 호출이 가능하게 앱을 업데이트할 예정이다.“미리 한번 해보세요.” 우명제 현대엘리베이터 서비스기술부장이 스마트패드를 넘겼다. 앱에는 승강기가 현재 몇 층에 있는지, 상태는 어떤지 정보가 빼곡했다. 1층 버튼을 클릭하자 ... ...
- [Knowledge] 절대공간은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아인슈타인은 절대공간의 논쟁에 대해 라이프니츠의 편을 들고 있는 게 분명하다. 그런데 정말 일반상대성이론이 공간의 실체론이 아니라 관계론을 지지하는 걸까? 1980년대 이래 물리철학자들은 이 문제를 심각하게 살펴보면서 그것이 그리 간단하지 않다는 것을 알아냈다. 다음 편에 전개 될 ... ...
- 色시한 과학 色시한 라이프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기억색을 골라 ‘서울색 10’을 선정했습니다. 이런 색을 ‘지역색’이라고 하는데요. 그 지방 특유의 날씨와 흙, 지형에 따라 만들어진 풍토색입니다. 서울색 10이 선정된 뒤, 택시는 꽃담황토색이 됐고, 버스정류장과 구두 수선집은 기와진회색으로 변신했습니다. 회색 시멘트와 까만 아스팔트, ... ...
- PART3. 터치스크린 발표에 농담도 영어로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학교를 다니던 때까지도) 기계과, 전자과 등 일부 학과에서만 실시하던 ‘선택’이었는데 최근 2~3년 사이 ‘필수’ 코스로 자리 잡았다.인턴십 프로그램도 진화했다. ‘코업(co-operative· 현장실습)’ 프로그램이라고 해서 한 학기 동안 통째로 회사에서 인턴십을 수행하고 이것이 학점으로도 인정이 ... ...
- [Hot Issue] 인류, 예술가가 되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환경 극복에는 이념이 필요하다”며 “사회성을 강화해 집단의 적응 효율을 높이는 데 예술이 구심적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시기에 예술은 비로소 폭발적인 발전을 했다. 긴 고독과 침묵의 시대를 거친 뒤 터져 나온 목소리였다. 이 목소리는 한 곳에서가 아니라 지구 곳곳에서 ... ...
- [지식] 유리를 샌드위치처럼 만들면 어떨까?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앞유리창을 달게 됐다.베네딕투스의 3중 안전유리는 유리 파편에 찔리는 부상을 줄이는 데 매우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다른 문제가 있었다. 햇빛에 약한 니트로셀룰로오스는 시간이 지나면서 노랗게 변해 앞이 잘 안 보이게 만들었다. 요즘에는 이를 보완한 다른 물질로 3중 유리를 만든다.한편 ... ...
이전508509510511512513514515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