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사용
응용
굴절
적용
끝바꿈
어미변화
뉴스
"
활용
"(으)로 총 15,824건 검색되었습니다.
누리호 아닌 다른 발사체가 국내서 발사?...'버진오빗'의 속사정은
동아사이언스
l
2022.08.19
소개하고 있다. 버진오빗은 “제이스페이스가 버진오빗의 특별한 발사 시스템을
활용
해 한국에 턴키 소형발사체 역량을 제공할 것”이라며 “공공과 민간, 군사 수요를 충족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버진오빗은 이어 “한국 소형 위성과 우주 솔루션 시장에 촉매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지역 ... ...
A형 신장이 'O형'으로…이식용 장기 혈액형 바꾸는 시대 오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8.19
따라 혈액형 유형은 O형이 됐다. 지난 2월 캐나다 토론토대 연구팀도 체내 효소를
활용
해 장기의 혈액형을 바꾸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A형 혈액형의 허파를 O형으로 바꾸는 실험에 성공했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중개의학’에 게재된 연구결과에 따르면 연구팀이 당단백질을 분해하는 ... ...
진짜 같은 인공장기 기술 어디까지 왔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8.18
나왔다. 포스텍(POSTECH)은 장진아 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 교수팀이 바이오프린팅을
활용
한 인공장기 제작법을 집대성해 국제학술지 '트렌드 인 바이오테크놀로지' 7월 28일자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인공장기는 인간의 장기를 대체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조직이다. 대표적으로 살아있는 세포를 ... ...
항암제 안통하는 원인 찾을까...살아있는 세포 RNA 분석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8
사라지는 셈이다. 연구팀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유체력현미경(Fluid Force Microscopy)을
활용
했다. 유체력현미경은 사람의 머리카락보다 얇은 미세 통로가 세포에 침투해 RNA를 담고 있는 세포질을 추출할 수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세포를 죽일 필요가 없어 하나의 세포에서 연속적으로 RNA를 추출하는 ... ...
"펌프 돌려 깨끗한 물 얻어요"...지구 위한 과학기술 선보인 과학축제
동아사이언스
l
2022.08.18
선임연구원은 "용융염은 끓는점이 높아 원자로의 열을 수소를 만드는 데
활용
이 가능하다"며 "모듈 형태로 선박이나 극지방 심지어 우주에도 설치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기계연구원도 스마트팜에 환경에너지기술을 접목하거나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을 관리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EMS)에 ... ...
위성영상 보안처리 기준 완화하고 온라인 배포도 허용
동아사이언스
l
2022.08.18
오마이스 태풍 천리안 위성 영상. 기상청 제공 국가 위성으로 촬영한 위성 영상의 신속한 배포를 위해 사전 보안처리가 필요한 위성영상 해상 ... 영상을 온라인으로 수요자에게 편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국내 위성정보
활용
산업 활성화와 경쟁력 확보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 ...
[과학게시판] 2022 무인이동체산업엑스포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8.18
대비하거나 해결할 수 있어, 산업뿐 아니라 환경, 재난재해, 도시 같은 공공분야에서
활용
된다. 개정판에는 기존 내용에 더불어 디지털 트윈의 개념과 정의, 기대효과, 종류와 모델링 방법 등이 담겼다. ■ 한국원자력연구원이 8월 29일부터 이틀간 경주 화백컨벤션센터에서 '제7호 사업화 유망 ... ...
팬데믹 교훈 발판 삼아 의료계도 '의사과학자' 양성 목소리
동아사이언스
l
2022.08.18
포스텍이 보유한 방사광가속기, 세포막단백질 연구소 등 바이오분야 인프라가 적극
활용
될 계획이다. 최종 목표는 공학 기반의 연구중심 의대의 설립이다. 이광형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은 2월 열린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과학기술의학전문대학원(과기의전원) 설립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 ...
단일분자 움직임 관측해 난치병 실마리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7
이번 연구 결과는 난치병의 원인을 밝히고 치료법 개발의 실마리를 밝히는 데
활용
될 예정이다. 질병의 원인이 되는 단백질이나 DNA 분자의 형태를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수준까지 샅샅이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 공기 중에 노출된 분자는 주변 환경과 수시로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며 ... ...
과기정통부, 기후미래포럼 준비위원회 발족
연합뉴스
l
2022.08.17
45명 내외의 다양한 분야 전문가가 분과별로 참여한다. 준비위원회는 ▲ 기후 데이터
활용
고도화 ▲ 기후 기술 스타트업 발굴 및 육성 ▲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통한 재원 연계와 국내 기후 기술의 해외 진출 지원을 주요 의제로 논의한다. 논의한 결과는 오는 12월에 제1회 기후미래포럼에서 ... ...
이전
508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