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아우르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진행했다. DAC, ISLPED, DATE, ASP-DAC 학회 등 컴퓨터 공학계에서 영향력있는 학회에서 논문도
발표
했다. 특히 저명한 ISLPED 학회 저전력 디자인 콘테스트(Low-Power Design Contest)에서 저전력 영상장치 시스템(Low-Power Display System)을 주제로 3년 연속으로 상을 받은 것은 어쩌면 장 ...
[정보] 교과서만 있으면, ‘확률’은 문제없어!
수학동아
l
2012년 10호
글쓰기’를 설명하고 있으니까요. 만약 여기에 ‘나만의 풀이’를 더해 친구들에게
발표
하는 연습을 한다면 ‘논리적인 말하기’까지 훈련할 수 있답니다! 그러니 앞으로도 수학 교과서를 더욱 많이 사랑해 주세요 ... ...
미래 수명 예측하는 ‘생존곡선 수학모델’ 개발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다양한 동물들의 생존곡선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최근
발표
한 생존곡선 수학모델을 통해서는 2차 세계대전 이후 인간의 수명은 계속 늘어나고 점차 고령화되고 있음을 입증했다.원병욱 교수는 “인구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우리나라에도 생존곡선의 분석은 ... ...
Part 2. 엄마가 되면 뇌는 더 똑똑해진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일어난다. 김필영 미국 예일대 의대 박사팀은 지난 2010년 학술지 ‘행동신경과학’에
발표
한 논문에서 출산 전과 출산 뒤 2~4주, 3~4개월 뒤 엄마의 뇌를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측정해 부피를 비교한 결과 몇몇 영역의 회백질부피가 늘어났다고 보고했다. 회백질은 뇌에서 신경세포가 밀집된 영역이다. ... ...
다이아몬드 만큼 단단한 탄소구조체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성질의 탄소구조체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그 결과를 사이언스 8월 17일자에
발표
했다. 풀러렌이란 축구공과 모양이 똑같아 흔히 ‘탄소 축구공’이라 부르는 지름 1nm(나노미터)의 구형 탄소구조체다.연구팀이 발견한 새로운 구조체는 풀러렌을 고압으로 찌그러트린 형태다. 전체적으로 ... ...
UNIST 세계무대 떠오르는 강자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뛰어넘었다. 2차전지 분야에서 세계적인 명성을 쌓고 있고 학부생이 SCI급 논문을
발표
하기도 했다. 이제는 세계대학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이공계 특성화대학으로서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다.국내가 좁다. 우리는 세계를 본다UNIST는 개교를 준비할 때부터 세계 수준의 대학에 눈높이를 맞추고자 ... ...
꽉 막힌 도로 수학으로 해결하라!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있다. 이것을 ‘브래스의 역설’이라고 한다. 독일의 수학자 디트리히 브래스가 1968년
발표
한 ‘교통계획의 역설’이라는 논문에서 이 내용을 다뤄 그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그렇다면 브래스의 역설대로 교통체증을 더 유발하는 불필요한 도로가 있을까? KAIST 물리학과 정하웅 교수는 미국 ... ...
[변신] 일곱 손가락과 여덟 발가락 문제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생각해볼 필요가 있어. 유명한 고생물학자인 스티븐 제이 굴드 역시 ‘자연학’ 지에
발표
한 에세이에서 이 문제를 제기한 적이 있지.”수의사는 그림 하나를 보여 줬다. 어떤 동물의 다리 뼈를 그린 그림이었다. 처음 봤을 때는 크게 의식하지 않았는데, 뭔가 예사롭지 않다는 느낌을 받았다. 마치 ... ...
초기 인류, 혼자가 아니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호모 속 턱뼈 화석 세 구를 연구해 이같은 사실을 밝히고 그 결과를 8월 9일 ‘네이처’에
발표
했다.미브 리키 교수는 1972년 아프리카 케냐 북부 쿠비 포라 화석지에서 ‘KNM-ER 1470’이라고 이름 붙인 화석을 하나 발굴했다. 두뇌 크기가700cc 대로 당시 존재하던 다른 친척 인류에 비해 컸다. 비슷한 ... ...
뿔이 큰 수컷 장수풍뎅이가 더 매력적인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커다란 뿔이 장수풍뎅이 수컷에게는 필수다. 장수풍뎅이 암컷에게 매력적으로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커다란 뿔이 암컷에게 매력적인 까닭은 무엇일까.미국 몬타나 ... 가장 뿔이 큰 수컷을 고르는 암컷 장수풍뎅이의 눈은 정확했다.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8월 17일자에
발표
됐다 ... ...
이전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