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d라이브러리
"
지구
"(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웃 은하를 공격하는 블랙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지구
에서 14억 광년 떨어진 3C321 은하계에서 거대한 블랙홀이 이웃 은하를 공격하는 장면이 최초로 관측되었어요. 이 은하계 안에는 거대한 블랙홀을 품고 있는 큰 은하와, 상대적으로 작은 은하가 서로를 축으로 삼아 회전하고 있었어요. 그런데 두 은하가 2만 광년 정도로 가까워졌을때, 큰 은하에 ... ...
유럽의 콜럼버스,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개발된 우주선이다 그러나 옛소련의 로켓개발 실패로 달착륙계획이 취소되자 소유즈는
지구
궤도용과 살류트 우주정거장의 수송선으로 개조됐다동물은 알을 낳거나 새끼를 낳음으로써 번식한다 알을 낳는 경우를 난생, 새끼를 낳는 경우를 태생이라고 한다 그런데 알이 밖으로 배출되지 않고 ... ...
아파트 숲에서 달을 쫓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소원을 빌어보자.● 1월 22일 수성 동방최대이각태양에 가장 가까이 있는 행성인 수성이
지구
에서 볼 때 가장 동쪽으로 치우친다. 저녁 해가 진 직후 서쪽 하늘에 고도 18° 정도(한 손을 앞으로 쭉 뻗어 손바닥을 폈을 때 엄지와 새끼손가락 한 뼘 높이)로 낮게 뜬다 ... ...
PART 2 나로우주센터서 자력으로 우리 위성 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GSLV를 각각 보유하고 있다. 일본과 중국이 달 탐사선을 성공적으로 발사한 배경에도
지구
중력권을 벗어나는 데 필요한 이같은 대형로켓의 역할이 컸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는 러시아의 도움을 받아 소형위성 발사체(KSLV-Ⅰ)를 개발하는 수준이다.우리의 우주개발 로드맵에는 한국형 발사체(KSLV-Ⅱ ... ...
생명 2.0시대 오는가?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오는가'라는 물음에 매달렸다면 이제 '생명을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라고 묻고 있는 것.
지구
에서 자연스럽게 진화한 버전 1.0 생명체를 연구하는 시대는 가고 인간이 직접 만든 게놈으로 새로운 생명체를 창조하는 '생명 2.0' 시대가 열리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생명 2.0시대 오는가? ... ...
intro 21세기 다시 쓰는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만드는 꿈. 이들은 ‘생명 2.0시대’를 그리고 있다. 인공생명체 만드는 두 가지 방법
지구
가 수십억년 동안 만든 생명의 버전을 1.0에서 2.0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합성생물학’이라는 강력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이에 도전하고 있다.합성생물학의 ... ...
다시 보면 고마운 '키다리 아저씨' 혐기성 미생물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발전소문명의 원동력이었던 석유를 포함한 탄소화합물이 천덕꾸러기가 되고 있다.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 지목되면서부터다. 최근 온실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는 수소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혐기성 미생물은 인간이 배출하는 쓰레기를 분해해 청정에너지로 만드는 데 유용하다. 더러운 ... ...
그믐달에서 보름달까지 변하는 '내 방 안의 달'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작은 천체다. 그렇다고 인류가 달의 중요성을 태양의 400분의 1 만큼 느끼는 것은 아니다.
지구
의 위성인 달은 스스로 빛을 내는 항성인 태양에 비해 그 지위가 한참 낮지만 인류에게 달은 밤을 밝히는 존재로 낮을 다스리는 태양과 동격이다. 달을 향한 염원은 태양을 향한 염원보다 오히려 크다. 달을 ... ...
러시아자연사박물관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선캄브리아대와 고생대엔 생명이 꿈틀꿈틀 생겨나 번성하기 시작했어. 중생대에
지구
를 지배한 건 공룡이야. 이번 전시엔 포악하고 무서운 티라노사우루스 렉스의 조상인 타르보사우루스가 왔단다. 아시아에서 가장 큰 육식 공룡인 타르보사우루스의 날카로운 이빨을 보면 섬뜩할거야.‘ ... ...
시간 공장, 새해를 만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될지도 모르는 시간이니까요.숲저는 숲입니다. 저에게 1초는 굉장히 끔찍한 시간이에요.
지구
에 있는 숲이 1초마다 2000m2씩 파괴되고 있거든요. 하지만 1초는 희망의 시간이기도 해요. 여러분들이 1초씩만 저에게 관심을 가져 준다면 더 푸르고 튼튼하게 자랄 수도 있거든요.전력저장장치저는 ... ...
이전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