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응용
활용
적용
필요
수요
소용
d라이브러리
"
사용
"(으)로 총 10,471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탐사선 혜성 물질 낚아챘다
과학동아
l
200402
물질을 포획하기 위해 ‘에어로겔’이라는 특수 물질이 든 테니스라켓 모양의 채집기를
사용
했다. 혜성 물질은 총알보다 5배나 빠르지만, 에어로겔은 혜성 물질에 아무런 해를 주지 않고 포획할 수 있다. 이때 수집된 혜성 물질은 캡슐에 보관된다. 2006년 1월 탐사선이 지구로 귀환할 때 이 캡슐은 ... ...
양식연어 발암물질 함유 논란 일어
과학동아
l
200402
가장 적은 것은 칠레산이었다.발암물질은 연어의 먹이로 오염물질이 축적된 물고기를
사용
하기 때문이었다. 카펜터 교수는 이들 발암물질은 수십년 동안 체내에 축적돼 있다가 임신이나 수유를 통해 태아에게 전달될 수 있다며 월경전의 여성은 가급적 양식연어를 삼갈 것을 권고했다.그러나 미국 ... ...
공장과 제품을 디지털 세계로
과학동아
l
200402
” KAIST 산업공학과 신하용 교수는 이렇게 얘기를 시작한다.컴퓨터 속의 제품은 실제로
사용
할 수 없다. 가상공간 속 공장 역시 제품을 생산하지 못한다. 그렇다면 제품과 공장을 디지털 세상으로 가져온다는 게 무슨 의미가 있다는 것일까.미국에서 자동차회사인 크라이슬러에 근무하다가 2001년 ... ...
세계 최대의 초호화유람선 퀸 메리 2호
과학동아
l
200402
한다. 퀸 메리 2호의 추진기관은 총 4개의 프로펠러를
사용
하는 새로운 방식을 처음으로
사용
하고 있다. 2개는 고정돼 있고 2개는 3백60°로 회전이 가능하다. 추진기관을 이처럼 만든 이유는 더 강력한 추진력을 주면서 동시에 더 자유자재로 움직이게 하기 위해서다. 그 결과 퀸 메리 2호는 엄청난 ... ...
1. 공간_공간의 융합이 시작된다
과학동아
l
200402
배추나 무 같은 채소에도 이러한 태그가 탑재돼 원산지가 어딘지, 어떤 비료를
사용
해서 재배된 것인지 등 주요 정보가 기록돼,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식료품을 소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MEMS와 SoC은 인간의 눈과 귀, 팔을 대신해 극한 상황에서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다 ... ...
3. 거리_디지털 거리를 걷는다
과학동아
l
200402
고안된 공간이다. 키오스크, 현금서비스기, 인터넷 전화가 결합된다. 인포부스는 PC
사용
이 불편한 거리나 공공장소에 설치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이용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곳에서는 원하는 모든 정보를 손쉽게 안내받을 수 있으며 말로 설명하기 어려운 각종 시청각 정보를 제공받는다. ... ...
사카무라 겐 교수 인터뷰 : "2004년 유비쿼터스가 세상 밖으로 나온다"
과학동아
l
200402
리눅스가 서로 상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누구나 연구에 참여해 필요한 기술을 가져가
사용
할 수 있으며 또한 전체 기술 발전에 기여할 수도 있다. 유비쿼터스 시대에는 필요한 기술을 공유하고 서로 발전시키는 방식이 폐쇄적인 방식보다 더욱 경쟁력을 갖게될 것이다. 기술 표준화는 공개가 ... ...
누가 다윈의 진정한 후예인가?
과학동아
l
200402
도킨스의 설명이 다시 이어진다.이 용어가 낯설다면 대신 ‘정신 바이러스’라는 용어를
사용
하겠습니다. 바이러스가 어떤 놈인지는 대개 잘 아실 겁니다. 생물계에서 바이러스는 자신을 복제하는데 필요한 핵산(DNA 또는 RNA)과 같은 유전물질을 제외하고는 세포로서 어떤 특징도 갖추고 있지 ... ...
유인화성탐사
과학동아
l
200402
겨울 반년에 부는 북동풍을 몬순이라 불렀다 요즘에는 단순히 계절풍이란 뜻으로
사용
하기도 하고 여름의 계절풍을 초래하는 우기(雨期) 혹은 우기에 내리는 비를 말하기도 한다 몬순은 지역마다 다양하게 나타난다 우리나라, 일본, 중국에 나타나는 동아시아 몬순은 여름(따뜻한 남동풍)과 겨울 ... ...
인공미생물 탄생 머지않았다
과학동아
l
200402
해독하는 방법을 이용했다. 그러나 벤터 박사는 ‘샷건’(shot gun)이라는 새로운 방법을
사용
해 게놈해독 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였다. 간단히 말하면 전체 게놈을 조각내 개별 조각들을 해독한 다음 다시 이어붙이는 방법이다.사전을 예로 든다면 다국적팀은 첫장 A부터 Z의 마지막 단어까지 하나씩 ... ...
이전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