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터치는 경박하나 모션은 우아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광고 한 편만으로 이목을 집중시킨 휴대전화가 등장했다. 팬택이 모션 인식
기술
을 세계 최초로 적용한 ‘베가LTE’ 모델이다. 뭔가 손에 잔뜩 묻어있는데 전화가 ... 우아하다. 멀리서 움직여도 제대로 작동할까. 궁금증이 꼬리에 꼬리를 문다. 모션 인식
기술
의 속살을 파고들어가 보자 ... ...
신나게 꿈꾸고, 치열하게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기술
경영을 공부할 수도 있는 거지. 그리고 다른 나라로 유학을 가서 그 나라의
기술
과 경영을 공부하고 돌아와 벤처기업을 경영하겠다든지 하는 꿈을 꿔봐. 언제 이뤄질지 모르고 얼마든지 바뀔 수 있는 꿈이지만 이랬다저랬다 하면서 막 꿔보는 거야. 그럼 하고 싶은 게 생겨.”물론 꿈만 꾼다고 ... ...
고등학교 동아리의 한계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혹시 자동차항공기연구반을 아세요?”과학동아 편집부로 한 통의 e메일이 도착했다. “혹시 자동차항공기연구반을 아세요?”로 시작한 메일은 동아리에서 ... 뛰는 걸 느껴요.”열정과 도전정신으로 똘똘 뭉친 자항연 학생들에게서 우리나라 과학
기술
의 미래를 살짝 엿봤다면 과장일까 ... ...
How the Concept of Invention Changed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In the Age of Steve Jobs, it’s all about perfecting the final product. No one cares the inventor who had the idea in the first place. Let’s take a look at some stories of how we came to re-invent the ...
“남 배려하는 따뜻한 학생 뽑겠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무척 크신대요. 운동 잘 하셨겠습니다.“대학교때 조정 선수였어요. 김도연 국가과학
기술
위원회 위원장(전 서울대 공대 학장)이 당시 같은 학교 3학년이었는데 신입생 환영회 때 날 보더니 좋은 게 있다고 조정부로 꼬시더라고. 바로 배 타는 줄 알았는데 체력 키워야 한다며 엄청 뛰었어요. 덕분에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증가, 병충해 예방 등 다양한 목적을 충족시킬 것”이라고 내다 봤다.물론 반론도 있다.
기술
로 식량 생산량을 늘리기보다는 국가간, 지역간 편중이 심한 식량 자원을 잘 분배하는 것이 더 낫다는 주장이다. 유전자변형작물(GM)을 둘러싸고 아직 갈등이 여전한 점도 장애 요인이다.2 소행성 충돌위협 ... ...
Part2. 2085 화성일보 '화성을 만드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만드는 종류가 있다. 이 미생물로 구리, 아연, 금, 은 같은 금속을 녹여서 뽑아내는
기술
은 이미 오래 전부터 지구에서 쓰고 있다. 화성처럼 재활용이 특히 중요한 곳에서는 이처럼 못 쓰는 전자제품에서도 유용한 금속을 뽑아 써야 한다. 물속에 있는 중금속을 제거해 물을 정화할 수도 있어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수 있다. 며칠 이상이 걸리던 병원체 검출이 한 번에 이뤄지는 것이다. 김 교수는 “이
기술
을 초고집적 의료센서에 응용하려면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지만, 성공한다면 많은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다”고 말했다.[➊ 김봉수 교수 연구팀이 한자리에 모였다. ➋ 김 교수팀이 개발한 금나노선의 ... ...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로봇을 만드는 이유는 여기 있습니다. 로봇을 만들 때마다 우리 생활에 도움이 되는
기술
이 새로 나오기 때문이죠. 앞으로도 계속 이런 로봇을 만들 생각입니다.”[사진 속 물고기 로봇의 꼬리지느러미는 인공근육으로 제작했다. 쌍안정성을 가진 소재는 반응속도가 빨라 인공근육으로 개발하면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위해 연구팀은 반도체 소재인 실리콘을 선택했다. 반도체
기술
로 실리콘을 가공하는
기술
이 많이 발전돼 있어서다. 연구팀은 1kg짜리 실리콘 공이 필요했다. 완벽한 공을 만들어 공의 부피를 알아낸 후 공을 이루는 실리콘 원자 간의 간격을 알아내면 그 안에 몇 개의 원자가 들어있는지 계산해낼 수 ... ...
이전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