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1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도포한 특수페인트의 화학 성분을 분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특수페인트는 스텔스
기술
의 핵심으로 적의 레이더가 쏘는 전파를 흡수하거나 교란한다. 또 이란이 드론을 나포하는 데 사용한 ‘전자공격’의 실체에 대한 의견도 분분하다. 이란은 전파방해로 GPS를 교란시켰다고 주장했지만 ... ...
생활을 인쇄하라, 3차원 프린터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작은 숨구멍이 숭숭 뚫려 있어 실제 뼈와 흡사하다. 그들은 인공뼈에 혈액을 공급하는
기술
을 완성해 가까운 미래에 상용화할 예정이다.줄기세포를 층층이 쌓아올려 ‘살아 있는 장기’를 만들겠다는 발칙한 연구를 하는 과학자도 있다. 미국 미주리대 생물물리학자인 가보 포르가츠 박사는 2006년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위해 연구팀은 반도체 소재인 실리콘을 선택했다. 반도체
기술
로 실리콘을 가공하는
기술
이 많이 발전돼 있어서다. 연구팀은 1kg짜리 실리콘 공이 필요했다. 완벽한 공을 만들어 공의 부피를 알아낸 후 공을 이루는 실리콘 원자 간의 간격을 알아내면 그 안에 몇 개의 원자가 들어있는지 계산해낼 수 ... ...
용을 찾아서 무無 용龍 담談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찾으려 애쓰지 않아도 생명공학
기술
로 바로 만들 수있지.”"용을 만드는 것은 현재의
기술
로는 불가능하지만 유전자를 더 해 만들어진 동물들이 이미 많은 사람들을 돕고 있어요. 예를 들어 유전자를 재조합해서 사람에게 장기를 줄 수 있는 돼지나 유전자를 재조합해서 특정한 병에 걸리게 한 쥐가 ... ...
행복 만드는 빛을 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단계에서 빛을 내보내는 시간을 단축시키면 아주 강한 출력을 얻을 수 있다. 고등광
기술
연구소는 이 시간을 30fs(펨토초, 1000조 분의 1초)까지 줄였다. 그 결과 레이저의 최대 출력을 1PW(페타와트, 1000조W)로 높일 수 있었다. 세계 최고 출력이다.“1PW가 어느 정도인지 잘 모르시겠다고요? 이 ... ...
꿈을 저장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분명 머리 외부에서도 뇌 활동을 측정할 수 있다. 2008년 일본 국제전기통신기초
기술
연구소(ATR) 연구팀은 다양한 흑백 사진 400장을 사람들에게 보여준 다음 fMRI로 대뇌 시각피질의 활성패턴을 측정했다. 측정자료를 이용했더니 이 사람이 보고 있는 문자나 도형이 어떤 것인지 읽어낼 수 있었다. 201 ... ...
터치는 경박하나 모션은 우아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광고 한 편만으로 이목을 집중시킨 휴대전화가 등장했다. 팬택이 모션 인식
기술
을 세계 최초로 적용한 ‘베가LTE’ 모델이다. 뭔가 손에 잔뜩 묻어있는데 전화가 ... 우아하다. 멀리서 움직여도 제대로 작동할까. 궁금증이 꼬리에 꼬리를 문다. 모션 인식
기술
의 속살을 파고들어가 보자 ... ...
신나게 꿈꾸고, 치열하게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기술
경영을 공부할 수도 있는 거지. 그리고 다른 나라로 유학을 가서 그 나라의
기술
과 경영을 공부하고 돌아와 벤처기업을 경영하겠다든지 하는 꿈을 꿔봐. 언제 이뤄질지 모르고 얼마든지 바뀔 수 있는 꿈이지만 이랬다저랬다 하면서 막 꿔보는 거야. 그럼 하고 싶은 게 생겨.”물론 꿈만 꾼다고 ... ...
고등학교 동아리의 한계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혹시 자동차항공기연구반을 아세요?”과학동아 편집부로 한 통의 e메일이 도착했다. “혹시 자동차항공기연구반을 아세요?”로 시작한 메일은 동아리에서 ... 뛰는 걸 느껴요.”열정과 도전정신으로 똘똘 뭉친 자항연 학생들에게서 우리나라 과학
기술
의 미래를 살짝 엿봤다면 과장일까 ... ...
발 없는 트위터가 천 리 가는 이유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지난해 11월, 트위터를 통해 갑자기 “인기가수 이효리 숨 쉰 채 발견”이라는 이야기가 떠돌았다. 숨 ‘쉰’ 채 발견은 숨‘진’ 채 발견인 것처럼 오해를 사게끔 만든 장난이었다. 최근 이렇듯 트위터와 페이스북 같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확인되지 않은 소문이 빠르게 퍼지는 일이 늘 ... ...
이전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