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너무 춥고, 너무 더운 날씨 북극에서 답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0호
-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에요.또 지난 보고서들은 1990년대 온실가스 농도 측정 자료를 사용한 반면, 이번 보고서는 2005년까지의 온실가스 자료를 분석해 작성했어요. 기상청은 “이번 보고서가 기존 보고서에 비해 10배 이상 정확해졌다”고 설명했답니다. 북극은 먼 나라라고만 생각했는데 이번 ... ...
- 제9의 예술 만화에 빠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9호
- 배우는 데에 라틴어로 된 ‘아스트릭스’라는 만화를 활용한 거지. 만화를 교과서로 사용하면서 학생들은 라틴어를 더 열심히 배우게 됐어. 이것은 만화를 통한 어학 교육의 가장 성공적인 예로 손꼽고 있대. 실제로 ‘학습 만화의 교육적 역할에 관한 연구’라는 논문에서 설문조사를 한 결과를 ... ...
- 괴물블랙홀 헌터 누스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9호
- NASA 과학자들은 지난해 6월, 먼지와 가스도 뚫고 지나갈 수 있는 고에너지 X선을 사용하는 누스타(NuSTAR, Nuclear Spectroscopic Telescope Array)를 우주로 쏘아 올렸어요. 누스타는 이전에 쏘아올린 위성망원경보다 X선에 대해 100배나 더 예민하고, 10배나 더 선명한 영상을 보낸답니다.지난 9월 3일 누스 ...
- 어린이 과학자가 밝혀낸 회암사지 ‘ㅌ’자 구들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9호
- 학생들이 받았지요.빙글빙글 순환하는 열로 따뜻한 겨울나기우리 조상들이 사용하던 구들은 대부분 아궁이가 하나이고 길이 여러 갈래로 난 ‘다로식’ 구들이었어요. 가운데 아궁이에서 나온 열기가 굴뚝 방향으로 흐르면서 온돌을 따뜻하게 데우는 구조랍니다. 그런데 회암사지터에서 발견한 ... ...
- 백두대간에는 신갈나무도 있고, 하늘다람쥐도 있고!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9호
- 지구 정복을 위한 새로운 정보를 입수해서 기분이 좋은 닥터 그랜마예요. 드디어 게임으로 키운 집중력과 멀티태스킹 능력을 100% 발휘할 때가 온 거죠! 이 ... 드러난 지역이 꽤 많았거든요. 더욱 자연을 사랑하기 위한 마음이 담긴 지도를 나쁜 의도로 사용하는 사람이 없었으면 좋겠어요 ... ...
- 미리 본 생태교통 수원2013 자동차 없이 생활하는 미래 도시 체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8호
- 미래 학자들은 이곳에서 사는 주민들과 방문객들의 생활을 모두 기록해 연구자료로 사용할 거래.이색교통수단도 보고 체험도 한다수원 행궁광장에 마련한 생태교통전시관에서는 국내외 39개 기업이 선보이는 기발하고 다양한 친환경 이동기구를 만날 수 있어. 또 이색이동수단 체험장에서는 여럿이 ... ...
- 전통놀이 연구 동아리 ‘한·설·사’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8호
- 놀이가 있다. 1980년대초부터는 우리나라 수학교과서에 소개해 도형을 이해하는 교구로 사용하고 있다.미션2 힘을 겨뤄 넘어뜨리는 씨름“두 번째 놀이는 씨름입니다. 씨름은 아주 오래 전부터 시작한 힘겨루기 경기죠.”고구려 고분벽화에도 씨름과 비슷한 그림이 있고, 조선시대에는 왕실부터 ... ...
- 조상님도 뵙고 까마득한 후손도 만나고 한가위 타임머신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8호
- 손가락이 점점 길어질 거라고 주장하고 있다. 화면을 넘기거나 글을 입력할 때 주로 사용하는 엄지와 검지가 특히 굵어지고 길어진다고 예측한다.문화를 전염시키는 ‘밈’편리해진 현대문명으로도 사람이 진화할 수 있다니 정말 놀랍고 무서워요. 언젠가는 사람에게 초능력이 생기는 날도 오는 ... ...
- 원자력이 안전해? 정말? 정말!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기기지. 빠르게 달리는 입자끼리 부딪히면 구조나 특성을 자세히 알 수 있고,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강하고 선명한 X선도 얻을 수 있거든. 이 방사선으로 살아서 피를 빠는 모기의 속을 입체로 촬영하거나, 휴대전화 반도체 속에 숨은 아주 조그마한 문제점까지 훤히 볼 수 있단다.3 세 ... ...
- 눈이 번쩍 뜨이는 시력짱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일으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지. 또 유전적 요인도 있단다.환경적 요인독서나 컴퓨터 사용 같이 가까운 거리에서 눈을 쓰는 일은 근시가 생기는 데 영향을 준다. 가까운 거리에서 눈을 쓰면 안구의 조절 작용이 일어나며 안구의 압력을 높인다. 사물을 계속 가까이 보면 안구의 압력이 지속적으로 ... ...
이전5105115125135145155165175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