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
글월
문장
wall
한달
매월
다달
d라이브러리
"
월
"(으)로 총 11,822건 검색되었습니다.
제2 지구 찾는 케플러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04
발견됐는데, 이 중에서 5개는 우리나라 연구진이 참여한 국제공동연구팀의 성과다.지난 2
월
에는 한국천문연구원의 연구진들이 2개의 별 주위를 공전하는 2개의 행성을 처음 발견하는 쾌거도 이뤘다. 영화 ‘스타워즈’에 나오는, 2개의 태양이 지는 타투인(Tatooine) 행성이 실제 존재한다는 사실을 ... ...
사촌이 땅 사면 정말 배 아픈 이유
과학동아
l
200904
윤리의식도 사소한 환경변화에 크게 씁향을 받는 셈이다. 연구자들은 지난해 12
월
8일자 ‘사이언스 ’에 실린 논문에서 “단지 낙서가 있을 뿐인데도 쓰레기를 버리거나 물건을 훔치는 사람의 비율이 2배 이상 늘어났다 ”며 “이 결과는 정책입안자나 경찰들에게 분명한 메시지를 던져 준다 ”고 ... ...
[기계공학] 로봇 물고기로 바닷속 오염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0904
오염물질을 탐지하는 로봇 물고기가 개발됐다.지난 3
월
20일 영국 경제신문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기계공학 분야 컨설팅 전문회사인 영국 BMT그룹은 영국 에식스대 연구팀과 3년 동안 공동 연구한 끝에 로봇 물고기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이 로봇 물고기는 잉어를 본 뜬 모양으로 크기는 약 1. ... ...
먼지 따라 떠나는 지구과학 여행
과학동아
l
200904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그렇지 않다.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므로 지구 공전궤도에서 6개
월
간격을 두고 같은 영역의 밤하늘을 찍어 비교하면 가까운 별이 먼 별을 배경으로 일정한 거리를 이동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각거리의 절반을 연주시차라고 한다. 별의 거리(pc, 파섹)는 연주시차(″)의 ... ...
광합성 고효율 비결은 양자 결맞음
과학동아
l
200904
반도체 고분자가 상온에서 양자 결맞음으로 에너지를 전달하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1
월
16일자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이런 양자 결맞음은 사슬 같은 분자에서 15~20개에 이르는 화학결합에 걸쳐 250fs 이상 유지됐다. 양자 결맞음이 광합성에 관여하는 천연색소와 단백질의 복합체뿐 아니라 ... ...
여성이 공학에 빠질때
과학동아
l
200904
여학생 규모로는 전국 2위인 부경대는 여학생 공학교육 선도사업(WIE)의 일환으로 2007년 10
월
부터 ‘엘리트 여학생 멤버십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엘리트 여학생은 서류 면접과 구술 면접으로 6:1이 넘는 높은 경쟁률을 뚫은 ‘엘리트 언니’들이다. 선발된 20명의 선배들은 후배 여학생들의 역할 ... ...
박물관 불청객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04
문화재 갉아먹는 인삼벌레와 권연벌레길고 긴 겨울이 가고 만물(萬物)이 깨어나는 4
월
에 자칫 관리를 잘못하면 박물관은 순식간에 해충 ‘천국’으로 변할 수 있다. 특히 박물관에 전시될 유물을 보관하는 ‘수장고’에 해충이 유입돼 급격히 퍼지면 피해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진다. 수장고는 유물의 ... ...
[의학] 목살 많으면 심장병 걸릴 확률 높아
과학동아
l
200904
가늘더라도 목에 살이 많이 붙어 둘레가 굵어지면 심장병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3
월
11일 미국 심장협회가 주최한 학술대회에서 발표했다.연구팀은 평균 51세인 남녀 3300명을 대상으로 목의 둘레를 쟀다. 그리고 모든 실험 대상자의 체내 고밀도 지방단백질(HDL)과 혈당 수치를 각각 측정했다. ... ...
[환경학]기후 변화가 빈곤한 ‘바다 밥상’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04
영양학적 가치가 떨어지고 있다고 네덜란드 과학연구기구(NWO)에 제출한 자료에서 3
월
14일 밝혔다. 미세 조류는 바다 먹이사슬의 최하위를 차지하는 하등 식물로 클로렐라가 대표적이다.연구진은 커다란 실험용 수조 두 개에 조류가 살고 있는 물을 가득 채운 뒤 각각 보통 공기와 이산화탄소 농도를 ... ...
[신경과학]남녀는 아름다움 느끼는 방식도 다르다
과학동아
l
200904
풍경을 볼 때 아름다움을 느끼는지 여부에 따라 뇌 활동성의 차이가 나는 부위를 발견해 3
월
10일자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연구자들은 뉴런의 시냅스가 활동할 때 발생하는 자기장의 변화인 뇌자도(magnetoencephalography, MEG)를 측정했다. 그 결과 작품이나 풍경을 보고 아름답다고 ... ...
이전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