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수명
삶
인생
생애
명
생계
d라이브러리
"
생명
"(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천랑성의 색깔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태양과 유사할 뿐이다.참고로 천랑성은 우리 태양보다 너무 크고 밝아 이 역시
생명
체를 지원하지는 못한다. 여기서 한가지 이야기 하고 싶은것은 천랑성은 앞으로도 10억년이상 '주(主)계열'에 속하지 않으리라는 것인데(대부분의 별들은 절대광도와 표면온도의 관계를 그린 도표상의 주계열에 ... ...
천마(天馬)로 환생한 메두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이르는 대략 3천억개의 별을 포함하고 있다. 지금 그 별들의 어느 행성에서 호기심 많은
생명
체가 우리를 보고 있을지도 모르는 일이다.우리 은하와 M31은 국부은하군(Local Group)이라고 불리는 대략 30여개의 은하가 모여 있는 은하단에 속해 있으며, 그중 가장 큰 은하다. 국부은하군에 속하는 다른 ... ...
시공(時空)의 모서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물리학자들은 어떤 특별한 분야에 대해 게으름을 고백하곤 한다. 예를 들면 눈송이
생명
체 일기의 형태 등을 규명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들은 원칙적으로 이러한 것들이 물리학 밖의 분야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물리학자들은 물리법칙과 더불어 경계조건 초기조건 구속조건 등에 관한 ... ...
1. 1천m이상 「수직도시」구상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진보로 건축물의 구조적인 특성도 초고층화에 따라 다양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대한
생명
빌딩(1984, 지상 60층, 2백49m)은 철골조의 형식으로 이루어진 현존 우리나라 최고층의 건물이다. 이 건물은 구조계획상 높이와 폭의 비가 상층부(40층 이상)에서 10 : 1이었다가 하층부로 내려오면서 점점 폭이 ... ...
하루살이의 진짜 수명은?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구하는 일이다. 하루살이의 성충은 그 수명이 무척 짧지만 결혼여행을 마칠 때까지는
생명
을 유지해야 한다. 결혼비행은 보통 저녁 일찍 물위에서 이뤄진다. 물위를 날고 있던 한떼의 수컷중 한마리가 암컷에게 달려든다. 암컷은 온몸이 생식기계라고 할 수 있을 정도인데 배에서 머리까지 알로 ... ...
2. 신소재와 정밀설계기술 총동원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수 있다. 진동 소음 승차감 때문에 더 이상 속도를 낼 수가 없다. 국내 최고층인 대한
생명
빌딩(60층)의 고속엘리베이터는 5백40m/분의 속도를 낸다. 이 엘리베이터를 처음 타본 사람은 한참동안 귀가 멍한 느낌을 받는다. 수직상승으로 중력가속도(g)가 줄어들기 때문이다.인텔리전트빌딩(IB)에서는 ... ...
유인탐사를 위한 전초전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것이 틀림없다. 어쩌면 이 기간중에 태양계 탄생의 비밀이 밝혀지거나 다른 천체에서
생명
체가 발견될 수도 있다. 또한 21세기 초에 있을 행성들의 유인탐사계획의 기반이 1990년대에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우주의 신비를 밝히려는 인간의 노력은 오늘도 계속되고 있다 ... ...
화산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화산학자가 하는 일이란 화산이 언제 폭발할는지를 미리 예측하는 것이다.화산은 흔히
생명
력을 잃은 사화산처럼 보인다. 일단 폭발과정이 끝나면 분화구에 용암이 집결되어 응고된 상태로 마개를 형성함으로써 다시는 폭발이 없을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그릇된 믿음일 뿐이다. 지구밑 ... ...
(2) 우주로 열린 지구의 창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유인생산기지 달 개발 모델달은 우주를 향한 전진기지다. 또한 넘쳐나는 지구의
생명
력을 담기 위한 우주식민지로서도 제1후보다. 지구는 인간의 왕성한 생산력을 감당하기에 역부족이다. 자원은 부족하고 환경은 오염되고 교통량은 넘쳐 흐른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유일의 돌파구는 ... ...
5.극심한 생물계의 수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최초의
생명
체는 적어도 30억년 전에 화학적 진화의 결과로 나타났다. 이 최초의
생명
체가 생물학적 진화를 거듭, 마치 나뭇가지가 갈라지듯이 종이 갈라져 생물종이 다양화됐다는 것이 통설이다.그런데 현재 지구상에 사는 대략적인 생물종의 수도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지금까지 발견돼 학명이 ... ...
이전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