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해
손상
재해
해
해독
악영향
폐
d라이브러리
"
위해
"(으)로 총 16,95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해저 광구는 보물창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4호
누가 해저 광구 위치 좀 알려 줘! 바닷속 화산을 발견하다!해저 광구를 탐사하기
위해
연구팀은 일단 열수분출공의 위치를 찾는 ‘지자기 탐사’를 시작했어요.지자기는 지구가 갖고 있는 자성을 말해요. 지구 외핵을 이루고 있는 액체 상태의 철이 움직이면서 자성을 만들지요. 그런데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로보트 태권 브이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4호
악의 무리와 싸우기
위해
서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해요. 그 정도로 큰 힘을 실제로 만들기
위해
서는 핵융합 에너지가 필요하답니다. 사이언스 랩에서는 가상으로 핵융합 에너지를 만드는 게임을 해 볼 수 있어요.한편 영화 속에서 훈이는 태권브이를 자유롭게 조종해요. 훈이가 태권도를 하면 ... ...
[과학뉴스] 눈 덕분에 육지로 올라온 고대 수중생물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되면서 물 밖으로 나오기 시작한 것으로 분석했다.클래버 박사는 “육지로 올라오기
위해
육체적인 변화보다 시각의 변화가 빨랐다는 사실은 생물진화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 ...
[Issue] 스마트폰이 불면의 원인? ‘꿀잠’의 비밀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시간이 부족하지 않은데도 눈꺼풀이 무거운가. 당신의 밤을 달콤한 꿀잠으로 채우기
위해
스마트폰을 내려놓고 규칙적인 생활을 시작할 때다. + 더 읽을거리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 ‘잠과 꿈의 몽상학’(2014.05)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405N043기획 ‘겨울잠 스위치 . ...
[Issue] 음식과 약 사이 위험한 ‘케미’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약을 복용하는 환자라면 음식도 주의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동일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먹는 약이라도 성분에 따라 몸속에서 작용하는 원리가 다르다. 그래서 약물 성분마다 음식과 상호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과 정도가 다르다. 하지만 약 성분마다 어떤 음식과 어떤 상호작용을 ... ...
[Culture] 이상한 용손 이야기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상대도 안 될 거란 말입니다.”나는 그 학생이 비가 오는 것을 최대한 분산시키기
위해
버스와 기차를 타고 가능한 한 먼 거리를 이동했다고 추측하고 있다. 그리고 그 들뜬 마음이 가라 앉을 때까지, 잠시 학교를 쉬며 한동안 가뭄으로 고생하고 있는 나라들을 여행하고 다닌 듯 하다.- 2017년, ... ...
알면 더 재미있는 오버워치 시크릿 노트
수학동아
l
2017년 04호
빠르고 정확히 겨냥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그게 말처럼 쉽지는 않다. 적을 조준하기
위해
재빨리 손을 움직여도 조준점이 적에게 닿지 않거나 혹은 휙 지나쳐 버린다. 긴장한 탓일까? 아니면 내 손이 ‘똥손’인 걸까? 비밀은 ‘마우스 패드’와 ‘감도 공식’에 있다.감도 = 마우스의 감도(DPI ... ...
앱 만드는 선생님 나훈희 교사
수학동아
l
2017년 04호
‘홀로그램 메이커’도 인기다. 과학 시간에 빛의 반사와 굴절을 재미있게 가르치기
위해
만들었지만, 학생들이 홀로그램의 원리를 이해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학생들이 워낙 재미있어해서 수업시간과 특별활동 시간에 활용 중이다. 유일하게 앱 이름이 영어라서 그런지 종종 앱을 사용하는 ... ...
[DJ CHO의 롤링수톤] 콜드플레이의 ‘더 사이언티스트’ 감성 충만 과학자
수학동아
l
2017년 04호
코발레프스카야의 이런 업적이 쉽게 이뤄진 것만은 아닙니다. 유럽으로 넘어가기
위해
생물학자와 위장결혼을 감행하기도 했지요. 코발레프스카야는 많이 배운 여성을 싫어하는 아버지가 인생의 걸림돌이라고 말할 정도로 당찬 사람이었습니다.냉철할 것 같기만 한 코발레프스카야는 수학자이지만 ... ...
Part 3. 인공지능도 역설을 이해할까?
수학동아
l
2017년 04호
러셀이 스스로 고안한 집합과 원소에 관한 역설인 ‘러셀의 역설’을 설명하기
위해
1918년에 만들어낸 이야기다. 러셀의 역설을 프로그래밍한다면 왼쪽의 논리식처럼 인공지능이 무한히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된다. 그런데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러셀의 역설에서 생긴 모순을 피해 다른 결론을 ... ...
이전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