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d라이브러리
"
기능
"(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글씨 못써도 기죽지 말자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불과 몇년전만 하더라도 우리말 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선택된 자만의 영광. 그러나 지금은 누구라도 마음만 먹으면···본래 성격이 급한 필자는 글씨를 급 ... 화면에서도 똑같이 확대 또는 축소되어 보여주는 것이므로 보석글에서도 이
기능
이 빨리 이루어지길 바란다 ... ...
활용률 100%를 목표로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종전것을 무조건 업수히 여겨서는 안된다. 일단 제품을 선택하고 나면 그 제품의 모든
기능
을 습득해 완벽하게 활용하는 태도를 기르자.매일 한뭉치씩 접수되는 우편물을 펼치다 보면 각종 판촉을 위한 광고지가 많이 들어 있다. 도서 혹은 복사기 에어콘 성가구(聖家具)등. 그 가운데 눈에 띄게 ... ...
유전공학 뜻밖의 재난가져올지도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구속력이 떨어졌다는 지적이 그것이다. 즉 사전규제 성격이 강한 RAC 권한이 사후 관리
기능
을 가진 미 식품의약국(FDA ;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이나 환경보호청(EPA ;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으로 이관되게 된 것에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는 말이다. 참고로 현재 미국 ...
97%가 잘못 사용 이런 안경은 눈을 나쁘게 한다.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노려보는 것이 근시의 원인인것 같다. 이 모순 되는것 같은 점을 이해하는데는 망막의
기능
을 좀더 상세히 알아둘 필요가 있다.망막 이라하여도 어느 위치에서나 일정하게 보이는 것이 아니다. 가장 잘 보이는 곳이 중심와(中心窩)라는 부분으로 핀트가 거기에 맞게 되어 있고 주위는 흐려진다. ... ...
컴퓨터와 문서편집 복잡한
기능
은 오히려 손해일수도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쓰면서 면을 옮기는 번거로움에서 해방시켜 주는 것은 사실이지만 어떤 경우에는 이
기능
을 너무 믿는 나머지 이용자에게 낭패를 가져오는 경우도 더러 있다. 글 중에 도표를 넣는 경우에 문서편집 전용기를 사용할 때는 각면이 구획되어 있어 면의 스페이스를 미리 알고 있기 때문에 그만한 ... ...
32비트 컴퓨터 개발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확장시킬 수 있다.한편 삼성전자는 문서편집
기능
외에 데이타베이스
기능
과 도형합성
기능
을 갖춘 통합형 워드프로세서인 MY-워드를 개발했다. MY-워드는 MY-이미지(도형편집 SW)로 작성한 도형파일을 읽어들여 문서의 일부로 이용할 수 있어 문서와 그래픽을 동시에 편집할 수 있다 ... ...
4배 수록 가능한 CD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있는 콤팩트디스크는 전에는 느낄 수 없었던 고성능의 음질을 재생할 수 있다. 이
기능
이 가능한 것은 음악을 디지틀식으로 코드화하기 때문인데 이런 방식으로 전환된 음악은 오래 보관하거나 자주 틀어도 훼손되지 않는다 ... ...
감시·탐색·공격용으로 훈련시켜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피부의 덕택으로 시속 40km정도의 빠른 속도를 낼수 있는데다 기막히게 발달한 청각
기능
을 갖고 있어 미 해군은 그 군사적 이용성에 대해 실험을 해왔다. 실험에 따르면 눈을 가리운 돌고래가 유조선 선복에 붙여논 비타민 알을 찾아 내기도 했고 알루미늄 박판과 구리 박판을 구별하기도 했다는것. ... ...
가정·사무실에 요긴한 첨단제품의 홍수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레코더로는 소니회사의 EV-S350이 소개되었다.전면 패널이 조정방식으로서 고화질과 편집
기능
등을 갖추고 있는데 고성능 헤드를 채용해 제작된 기기이다.EV-S800 모델도 8mm 비디오 레코더로서 디지탈 멀티 오디오 시스팀, 산요회사의 8mm 캠코더(CAMCORDER)VEEM-S1도 신상품으로 소개되었다.일체형 8mm ... ...
우리몸을 방어하는 장기 편도선, 수술하면 오히려 큰 손해볼수도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등 여러가지 주장이 있는데 이처럼 많은 학설이 있다는 것은 아직 편도선의 모든
기능
을 확실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도 할 수 있다. 하는 일이 무엇인지 잘 알지도 못하면서 편도선을 수술로 떼내 버려도 괜찮은가 하고 걱정하는 학자도 있을 정도이다.그러나 결론부터 말하면 ... ...
이전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다음
공지사항